산학
페이지 정보
본문
[#4 기획영상] 산학협력단 역할과 기능✨ l 법과 제도 근간
⚙️영상 '화질' 클릭1080p로 감상하세요!
✔️00:30 '대학의 연구개발' 현황(2022년도 기준)
✔️03:58 '대학의 연구개발 활동' - 예산과 성과
✔️04:40 '산학협력단의 역할'
✔️08:08 '산학협력법' 관련 법과 시행령
✔️11:50 '산학협력단 근거 및 관련 법' 변화(산업교육 - 산학협력 - 연구개발)
✔️18:10 '산학협력법'과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서의 연구기관과 연구개발기관
✔️19:40 대학(원)의 역할? 교육과 연구 - 교육기본법과 고등교육법(자주성, 전문성, 자율성)
✔️25:02 교육과 연구의 불균형 - 고등교육의 정부조직과 예산
✔️26:51 어떻게 바꾸어 나갈 수 있나?
✔️33:46 교육기관, 연구기관으로서의 대학(원)
✔️37:30 국가연구개발혁신법
✔️38:45 산학연협력기관으로 역할 변경 및 확장 제안
✔️40:05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내 예다(YEDA) 조직 소개
✔️41:49 어떻게 바꾸어 갈 수 있나?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지원 확대방안 논의 필요
본 영상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과기정책연, STEPI) 문미옥 원장이
2022년 전국 산학협력단장 및 연구처장 협의회 추계 세미나에서 발표한 영상입니다.
'산학협력단의 역할과 기능을 법과 제도를 통해 살펴보고, 주요 현안과 앞으로 우리의 과제는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기정책연은 이와 관련한 정책연구를 지속 및 확대할 예정입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기정책연 #STEPI #산학협력단 #정책연구 #대학 #교육 #연구 #고등교육 #산학연협력기관
산학협력단은 무엇을 하는 곳일까?(대학교 부서와 하는 일, 마지막 편)
이번 영상은 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어떤 일을 하는 곳 인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아마 궁금하셨을 분들이 많으실텐데 이 영상을 통하여 산단에 대해 어느정도 파악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로써 대학교 부서와 하는 일 시리즈가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다음 편부터는 대학교 교직원 생활에 관련한 재미있고, 여러분들이 알고 싶어하는 정보가 있는 영상을 올릴테니 기대 많이해주세요.
그리고 영상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도 꼭 눌러주세요 :)
- 폰트 출처 : Noto Sans CJK KR Black, Noto Sans KR, 배달의 민족 주아체
- 유튜브 썸네일 : 미리캔버스에서 제작하였습니다.
[대담한K] 위기의 지역대학…‘산학 협력’으로 돌파? / KBS 2021.07.06.
[앵커]
학령인구 감소로 지역 대학 위기는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최근, 2천 9백억 원을 투입, 대학과 산업현장의 협력을 강화해, 새로운 혁신 도시를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박형준 시장의 핵심 공약이기도 한데요.
산학협력 혁신도시 조성, 그 의미와 과제에 대해 성열문 경성대학교 링크사업단장과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영상 '화질' 클릭1080p로 감상하세요!
✔️00:30 '대학의 연구개발' 현황(2022년도 기준)
✔️03:58 '대학의 연구개발 활동' - 예산과 성과
✔️04:40 '산학협력단의 역할'
✔️08:08 '산학협력법' 관련 법과 시행령
✔️11:50 '산학협력단 근거 및 관련 법' 변화(산업교육 - 산학협력 - 연구개발)
✔️18:10 '산학협력법'과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서의 연구기관과 연구개발기관
✔️19:40 대학(원)의 역할? 교육과 연구 - 교육기본법과 고등교육법(자주성, 전문성, 자율성)
✔️25:02 교육과 연구의 불균형 - 고등교육의 정부조직과 예산
✔️26:51 어떻게 바꾸어 나갈 수 있나?
✔️33:46 교육기관, 연구기관으로서의 대학(원)
✔️37:30 국가연구개발혁신법
✔️38:45 산학연협력기관으로 역할 변경 및 확장 제안
✔️40:05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내 예다(YEDA) 조직 소개
✔️41:49 어떻게 바꾸어 갈 수 있나?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지원 확대방안 논의 필요
본 영상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과기정책연, STEPI) 문미옥 원장이
2022년 전국 산학협력단장 및 연구처장 협의회 추계 세미나에서 발표한 영상입니다.
'산학협력단의 역할과 기능을 법과 제도를 통해 살펴보고, 주요 현안과 앞으로 우리의 과제는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기정책연은 이와 관련한 정책연구를 지속 및 확대할 예정입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기정책연 #STEPI #산학협력단 #정책연구 #대학 #교육 #연구 #고등교육 #산학연협력기관
산학협력단은 무엇을 하는 곳일까?(대학교 부서와 하는 일, 마지막 편)
이번 영상은 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어떤 일을 하는 곳 인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아마 궁금하셨을 분들이 많으실텐데 이 영상을 통하여 산단에 대해 어느정도 파악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로써 대학교 부서와 하는 일 시리즈가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다음 편부터는 대학교 교직원 생활에 관련한 재미있고, 여러분들이 알고 싶어하는 정보가 있는 영상을 올릴테니 기대 많이해주세요.
그리고 영상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도 꼭 눌러주세요 :)
- 폰트 출처 : Noto Sans CJK KR Black, Noto Sans KR, 배달의 민족 주아체
- 유튜브 썸네일 : 미리캔버스에서 제작하였습니다.
[대담한K] 위기의 지역대학…‘산학 협력’으로 돌파? / KBS 2021.07.06.
[앵커]
학령인구 감소로 지역 대학 위기는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최근, 2천 9백억 원을 투입, 대학과 산업현장의 협력을 강화해, 새로운 혁신 도시를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박형준 시장의 핵심 공약이기도 한데요.
산학협력 혁신도시 조성, 그 의미와 과제에 대해 성열문 경성대학교 링크사업단장과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