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용어사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달나라에 조회 11회 작성일 2023-10-18 15:34:42 댓글 0

본문

불교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용어 해설

본문 영상에 해당되는 경전 법문
(대방등여래장경) “또 선남자야, 순금이 깨끗하지 않은 곳에 떨어짐과 같다. 빠져 감추어져서 나타나지 않고, 해가 쌓이고 세월이 지나도 순금은 무너지지 않음에도 능히 아는 자가 없다. 천안을 가진 자가 있어 뭇 사람에게 말하기를 ‘이 깨끗하지 않은 곳 안에 순금의 보배가 있다. 너희들은 이것을 찾아내어 뜻에 따라서 수용하라’고 한다. 이와 같이 선남자야, 부정(不淨)한 곳이란 곧 무량한 번뇌이다. 순금의 보배란 곧 여래장이다. 천안이 있는 자란 이를테면 곧 여래이다. 이 까닭에 여래는 널리 위하여 법을 설하고 여러 중생으로 하여금 번뇌를 없애어 남김없이 정각을 이루어 불사를 베풀게 한다.”

(여래장엄지혜광명입일체불경계경) 문수사리여, 여래의 법신은 나지도 않고 멸하지도 않으며 가지도 않고 오지도 않는 이것으로써 본체가 되었나니, 거울 속의 영상을 세상 사람이 볼 수 있는 것과 같아서, 모든 중생의 갖가지 믿는 힘을 따라 여래는 갖가지 다른 몸을 보이며, 저 중생의 길고 짧은 것이 있다고 느끼는 것을 따라 여래는 몸과 수명이 길고 짧음이 있는 것을 나타내며, 저 중생의 큰 보리(菩提)를 잘 믿는 힘이 있는 것을 따라 여래는 몸을 나타내며, 저 중생이 법을 듣고서 잘 믿어 받는 것을 따라 여래는 몸을 나타내며, 저 중생이 믿는 마음으로 3승(乘)의 법을 잘 아는 것을 따라 여래는 몸을 나타내며, 저 중생의 해탈함 얻는 것을 따라 여래는 몸을 나타낸다.

(능엄경) 세존이시여! 과위 중에 "보리와 열반, 진여와 불성, 아마라식과 공여래장, 대원경지"등 일곱 가지 명칭이 그 이름은 비록 각기 다르나 청정하고 원만해서 그 자체의 성품이 단단하게 엉김은 마치 금강왕(金剛王)이 항상 머물러서 무너지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만약 그 보고 듣는 것이 밝고 어둡고 움직이고 고요하고 통하고 막힘을 여의면 마침내 실체가 없음이 마치 생각하는 마음이 앞에 나타나는 대상인 물질을 여의면 본래 아무 것도 없는 것과 같으니, 어떻게 장차 끊어 버리는 것을 수행하는 원인으로 삼아 여래의 일곱 가지 항상 머무는 과업을 얻을 수 있겠나이까?

(40권 대반열반경) "만일 괴롭다고 말하면 어리석은 이는 이 몸이 무상하다 하여 모든 것이 괴롭다고 생각하고 몸에 즐거운 성품이 있음을 알지 못하며, 무상하다고 말하면 범부들은 모든 몸이 모두 무상하여 날기와 같은 줄로 알거니와, 지혜로운 사람은 마땅히 잘 분별하여 모든 것이 모두 무상하다고 말하지 말지니, 왜냐 하면 나의 몸에 불성의 종자가 있는 까닭이니라. 만일 내가 없다고 말하면 범부들은 모든 불법이 모두 내가 없다고 생각하려니와, 지혜로운 이는 내가 없다는 것이 일부러 하는 말이요 실답지 아니함을 분별할 것이며, 그렇게 알고는 의심하지 말지니라."

(40권 대반열반경) "만일 여래의 비밀한 법장이 고요하다[空寂]고 말하면 범부들이 듣고는 아주 없다는 소견을 내려니와, 지혜로운 이는 잘 분별하여 여래는 항상하여 변함이 없음을 알며, 해탈이 마치 환술과 같다고 말하면 범부들은 참 해탈을 얻더라도 곧 소멸하리라 여기거니와, 지혜로운 이는 잘 분별하여 사람 중의 사자(師子)는 비록 가고 옴이 있더라도 항상 머물고 변함이 없음을 아느니라."

(40권 대반열반경) "부처님이 중생을 위하여 불성이 있다고 말하여도, 일천제는 생사에서 헤매느라고 보지도 못하나니, 이런 뜻으로 여래의 짓는 바를 보지 못한다 하느니라. 또 일천제는 여래가 필경에 열반함을 보고는, 참으로 무상함이 마치 등불이 꺼지매 기름이 다한 것과 같다 하느니라. 왜냐 하면 이 사람은 나쁜 업이 줄지 아니하였으므로, 어떤 보살이 지은 선한 업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할 때에, 일천제들은 훼방하고 파괴하며 믿지 않더라도, 보살들은 여전하게 베풀어 주면서 위없는 도를 한가지로 이루려 하나니, 왜냐 하면 부처님 법은 으레 그러한 연고니라."

(40권 대반열반경) "선남자여, 크다는 것은 헤아릴 수 없음[不可思議]을 말함이니, 만일 헤아릴 수 없어서 중생들이 믿을 수 없으면 대반열반이라 이름하며, 부처님이나 보살들만이 보는 것이므로 대열반이라 하느니라. 무슨 인연으로 대(大)라 하는가. 한량없는 인연으로써 얻을 수 있으므로 대라 하느니라. 선남자여, 세상 사람들이 여러 가지 인연으로 얻은 것을 대라 하나니, 열반도 그러하여 여러 가지 인연으로 얻는 것이므로 대라 하느니라. 어찌하여 다시 대열반이라 이름하는가. 큰 나[大我]가 있으므로 대열반이라 하느니라. 열반에는 내가 없지만 크게 자재하므로 큰 나라 하느니라."

(대반열반경 40권본 447쪽) "무상함을 죽이면 항상(유상)한 열반을 얻고, 괴로움을 죽이면 즐거움을 얻고 (일체개고가 열반적정으로 바뀜), 공함을 죽이면 참됨을 얻고(공함 속에 묘한 진리가 있음. 진공묘유) 내가 없음을 죽이면 참나(진아 眞我)를 얻을 것이니, 대왕이여, 만일 무상과 괴로움과 공함과 나 없음을 죽인 이는 나와 같을(견성성불. 성품을 보는 자가 부처름 이룸) 것이오. 나도 무상과 괴로움과 공함과 나 없음을 죽이었으나 지옥에 들어가지 아니하였는데, 당신인들 어찌 지옥에 들어가리오."

(대보적경)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의식이 처음 태 안으로 들어가면 염부주(閻浮洲)에 있는 동산과 숲과 궁전과 못 등이 아주 잘 장식된 것을 보고 친족들이 모여서 정겹게 즐기는 것을 보며 또 하늘의 지혜와 광명으로 생각하는 대로 한량없는 백천 번 동안을 저 여러 곳에서 태어났음을 기억하면서 ‘저 분이 바로 나의 어머니로서 일찍이 5백 생(生) 동안 나를 낳아서 길렀구나’라고 하며, 이런 생각을 한 뒤에는 싫어하고 여의려는 마음을 내면서 부르짖되 ‘아마, 이 세간에서 그리도 많이 나고 죽고 하였구나. 모든 존재[有]에서 한없는 괴로움을 겪었으니, 이제는 영원히 쉬고 싶다’라고 하느니라.”

그때에 광박 선인이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그 의식은 이미 그토록 싫증을 내거늘 어찌 나고 죽음 가운데서 벗어나지 못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안 되느니라. 큰 선인이여, 그 의식에는 벗어나게 되는 모양이 없나니, 해탈할 수 있는 이치가 없느니라. 그 의식의 경계는 나고 죽는 가운데서 비록 그렇게 싫증은 낸다 하더라도 벗어날 수 있는 이면 마땅히 받아 나지[受生] 않아야 되느니라. 만일 그렇지 못하면 혹 어떤 이는 복을 닦기도 하고 죄를 짓기도 하면서 모두가 열반을 향하여 나아가야 하느니라. 그대가 말한 것과 같이 의식의 생각․사유(思惟)란 의식의 강성한 마음[增上心]이요 지혜의 강성한 마음은 아니니라. 그 까닭은 의식은 분별(分別)할 수 있고 지혜는 환히 알 수[了知]만 있기 때문이니, 이 의식과 지혜가 화합하여야 비로소 그대의 말과 같이 되느니라.”

#꿈해몽 #꿈 #불교 #힌두교 #종교 #영성 #행복 #힐링 #자기계발 #불성 #독서 #한류 #범아일여 #대승 #소승 #부처 #불경 #과학 #철학 #상식 #한류 #절 #스님 #공부 #공부법 #수행 #구도 #진리 #마음 #생각 #인격 #유교 #도교 #양생 #기수련 #능엄주 #신묘장구대다라니 #염불 #가피력 #진언 #다라니 #기독교 #천주교 #창의력 #교육 #대학 #인문 #사회 #관세음보살 #팔만대장경 #해인사 #불국사 #역사 #문화 #석굴암 #화두선 #묵조선
@user-sv3kq8lo1o : 감사합니다~^^

불교용어 바로알기_삼배와 삼귀의

불교용어 바로알기_삼배와 삼귀의

* 불교에서는 왜 세번 절을 할까요?
@shurike37 : 감사합니다
@user-zp5pb7uo2d : 여호와께 돌아가자 <<<<<검색해서 노래 들어보세요 당신의 인생이 바뀔거에요

불교용어나들이-부처님&불자

한국불교대표방송BTN www.btn.co.kr

... 

#불교용어사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421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