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mp3신제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악어 조회 6회 작성일 2023-11-01 11:34:02 댓글 0

본문

[유물] 삼성 yepp u3 u5 mp3 플레이어 꺼내봤습니다

집구석에서 하나하나 나오는 전자기기들
이제는 유물이라 할 수 있는 그 녀석들
삼성 yepp u3 와 yepp u5

전자기기 하면 MP3였던 그시절, 애플과 삼성 콜라보로 나오자마자 망한 하드디스크를 소개합니다 / 오목교 전자상가 Ep.142

'하드디스크' 하면 어떤 모습이 떠오르세요? 주로 PC나 노트북에 들어가는 3.5인치 2.5인치 하드디스크를 생각하실 텐데요, 한 때 IT업계에선 10원짜리 동전보다 약간 큰 하드디스크가 만들어지는 등 '초소형 하드디스크'에 대한 열풍이 불었던 적이 있습니다. 2000년대 초반 세상을 풍미했던 '아이팟'의 탄생과 함께 초소형 하드디스크에 대한 관련 업계의 수요가 폭발했기 때문이죠. 그런데, 여기서 이상한 점이 있습니다. 초소형 하드디스크가 출현한 2000년대 초반은 사실 '플래시 메모리'가 세상에 등장해 상용화가 꽤나 이뤄진 때거든요. 하드디스크보다 훨씬 우월한 '플래시 메모리'가 이미 등장한 시점에서, 왜 굳이 업계에선 '하드디스크'의 크기를 줄이는 일에 몰두했던 걸까요? '세계에서 가장 작은 하드디스크'로 기네스북에 오른 0.85인치 규격의 하드디스크와 함께 오목교 전자상가 팀이 그 역사를 되짚어 봤습니다.

0:00 인트로
0:11 초소형 하드디스크(HDD)
1:42 초소형 하드디스크가 필요했던 이유
2:57 mp3 플레이어의 발전 과정
6:20 초소형 하드디스크의 사라진 이유
7:54 삼성 플래시 메모리의 반격
9:47 마무리

#SSD #아이팟 #HDD
@OMG_electronics : 02년생 인턴 한 분은 '아이팟'이 뭔지 모르시더라고요...ㅠ


0:00 인트로
0:11 초소형 하드디스크(HDD)
1:42 초소형 하드디스크가 필요했던 이유
2:57 mp3 플레이어의 발전 과정
6:20 초소형 하드디스크의 사라진 이유
7:54 삼성 플래시 메모리의 반격
9:47 마무리
@go-kh5oi : 당시 삼성이 자사 mp3 브랜드인 yepp이 애플보다 잘 나갔던(네 믿기 힘들지만 사실입니다) 아이리버를 이길 방법이 안보이자 아예 몰락시킬 작정을 하고 애플과 손잡았다는 카더라가 있죠
@KrenT117 : 저 때 국내 업체들(아이리버, 코원 등...) 대비 말도 안되는 가격에 애플에 플래시를 납품하면서 국내 MP3 업체들도 덩달아 망하는 결과를 불러왔다고 하던데... 시장 주도권을 잡은 애플이 규모의 경제로 협상력을 잡으면서 삼성이 다시 플래시 가격을 올리기도 힘들어 지고... 애플은 이후 지금까지 승승장구하고. 여러모로 역사가 신기하게 흘러갑니다.
@Rt-Kaen : 제가 당시 COWON U3 256MB MP3 플레이어에 256곡 이상 담아본 적 있습니다. 한 곡당 5분 남짓이었지만 턴테이블급 음질(22khz 22kbps)로 낮추면 1MByte 정도로 만들 수 있거든요. 그게 벌써 20년 전이네요. 놀라운건... 해당 음악 파일은 '아직도' 제 하드디스크에 고스란히 백업되어 있네요
@Hall8652 : 초창기 아이팟클래식때 소형HDD는 혁명이었습니다.ㅋㅋㅋㅋ
MP3 용량이 보급형은 64MB, 중급형은 128MB, 고급형은 256MB정도였을 당시 크기는 크더라도 기가바이트 단위의 MP3플레이어는 정말 혁명이었죠 ㅎㅎ
보통 128Kbps급의 MP3를 담아서 들었고.. 좀 더 넣으려고 64Kbps급으로 줄여서 듣던 시대였는데.. 기가단위의 아이팟클래식 1세대는 320Kbps급 고음질 MP3를 넣더라도 엄청 들어갔었죠 ㅎㅎ

2022년에 출시한 MP3는 어떤 모습일까?

불과 10~20년 전만해도, 사람들은 각자 핸드폰과 MP3를 따로 들고다녔습니다. 핸드폰은 전화, 문자, 더 나아가서 카메라나 게임 정도로만 사용을 했기 때문이죠. 당시 핸드폰으로 음악을 들으려면 어댑터를 따로 들고다녀야하기도 했고, 음원을 다운받으려면 비용이 많이 들었기 때문에 MP3를 별도로 많이 들고다녔습니다. 혹은 영상을 보려면 MP4는 필수였죠. 하지만 여전히 스마트폰이 그 역할을 대체하기 때문에 큰 의미가 없지만요. 그런데 계속 조금 조금씩 MP3가 신규 출시되고 있는데, 요즘은 어떤 모습일지 궁금해서 한번 구매해봤어요.



뻘짓연구소에게 컨텐츠 추천하기
https://bit.ly/bullslab


▪ Spec.
모델명 : 에듀플레이어 EM500
디스플레이 : 360x640 / 3인치
메모리 : 8GB
무선 : 블루투스 4.2
기타 : FM라디오, 음성 녹음
크기 : 87.5 x 50.5 x 12.5 (mm)
무게 : 112g
가격 : 약 8만원


▪ Chapter
00:00 오프닝
00:18 MP3 잡썰ㅋㅋ
01:25 MP3와 MP4의 차이점
02:43 최신 MP3 둘러보기
03:57 묘하게 닮은 외형
05:11 블루투스 탑재!
06:39 핵심은 동영상
08:24 품질이 참...


▪ Tag
#MP3 #MP4 #스마트폰


▪ 뻘짓연구소
E-MAIL : lab4dead@gmail.com
INSTAGRAM : https://www.instagram.com/BullsLab

영상 내의 정보 등은 쉬운 이해를 위한 비전문 용어 사용 및 시청 흐름을 위한 생략 · 편집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오류 혹은 시청하는데 참고해야 할 사항은 고정 댓글에 기재하고 있습니다.
@BullsLab : 어째 더 퇴보한듯... ㅋㅋㅋ
제품이 나오긴 나오네요.

▪ Chapter
00:01 오프닝
00:18 MP3 잡썰ㅋㅋ
01:25 MP3와 MP4의 차이점
02:43 최신 MP3 둘러보기
03:57 묘하게 닮은 외형
05:11 블루투스 탑재!
06:39 핵심은 동영상
08:24 품질이 참...
@user-gj2or8lg8d : 뻘짓연구소님 초창기부터 봤는데, 점점 채널도 커지고 얼굴도 커지시는거 같네요. 잘보고 갑니다.
@user-xr2ti6on1j : Mp3가 아직도 제조하고 팔린다는것 자체가 신기하네요 ㅋㅋ 역시 이번에도 말그대로 뻘짓 제대로 하셨네요 ㅋㅋㅋㅋ 덕분에 잊고있던 추억도 떠올라서 좋았어요
@Veruveto : 아이리버사에서 아스텔앤컨 이라는 80만원정도 가격의 DAP가 처음 출시됐을 때 FLAC 음원 즐겨듣는 입장에서 진짜 사고 싶었었는데,
뻘짓님 영상보고 오랜만에 생각나서 검색해보니 아직도 50만원~450만원대로 다양하게 판매중이네요 ㅋㅋ
그 때보다 경제력이 좀 더 갖춰졌음에도 여전히 부담스러운 가격이네요 흑흑
추억의 미키마우스부터 음원플레이어의 현주소까지 재밌게 보고 갑니다 ㅎㅎ
@user-mb8cn6eu5u : MP3 플레이어를 소개해주셔서 반가웠습니다.^^ 최근 코로나 때문에 외부 모임이 줄고, 친구들 만나기도 힘들어서 음악감상 취미가 생겼는데 확실하게 예전보다 관련 시장은 줄어든 것 같습니다. MP3에서 스마트폰, 유선에서 무선이어폰으로 넘어간 것 같고, DAP(무손실음원을 지원하는 플레이어, FLAC 파일 등), 유선 이어폰/헤드폰을 사용하는 매니아층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DAP을 사용하고 있는데 스마트폰보다 반응속도가 느리지만 음질은 확실히 좋네요.^^ (그래도 고가의 DAP은 나름 빠른 조작이 가능한 것 같습니다.) 다음에는 뻘짓연구소 연구소장님께서 다양한 DAP 기기들과 유선이어폰 소개도 살짝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ㅋㅋㅋ 오늘도 컨텐츠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국내 DAP 제품이 아이리버사의 아스텔앤컨 1개만 남아 아쉽네요..ㅠㅠ)

... 

#삼성mp3신제품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415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