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기록번역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짧고굴게 조회 8회 작성일 2023-11-10 11:29:15 댓글 0

본문

[보험 실무] 의무기록분석(진료차트) 실무 (초진기록지, 응급기록지, 간호정보조사지 등) - 김윤아 교수님

손해사정사 정보 보러가기 : https://www.instv.net/INDEX.ASP

손해사정사 수험도서 보러가기 : https://www.instv.net/sub/book/list.asp

보험/금융/기타자격증 강사지원 : https://www.instv.net/ETC/INVITE.ASP

출판의뢰 : insbook@instv.net

강의 문의하기 : 02-363-0606
@user-cw4fo8zo5f : 감사합니다
@user-li4ry5vj3d : 어디 대학병원에 의뢰를 해야하는지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 궁금 합니다

" 의무기록지 해석 대결: 챗봇이 실제로 도움이 될까? | ChatGPT와 New Bing의 의료 영역 활용!"

"이번 영상에서는 인공지능 챗봇, ChatGPT와 New Bing을 활용하여 의무기록지를 해석해봅니다!
과연 챗봇이 실제 의료 영역에서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함께 챗봇의 놀라운 능력을 확인해 보세요. 놓치지 마세요!"


의료 분야에서도 인공지능 기술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챗지피티(ChatGPT)와 뉴빙(New Bing)을 이용해 의무기록지를 해석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두 AI 기술을 활용하여 의료 전문가들이 더욱 효율적으로 의무기록지를 이해하고 환자의 치료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챗지피티와 뉴빙의 협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장점들:

빠른 의무기록지 해석: AI의 빠른 처리 속도로 인해 의료 전문가들이 더 빠르게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정확성 향상: 인공지능의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해석의 정확성이 향상됩니다.
더 나은 진단 및 치료 계획: AI가 해석한 의무기록지를 바탕으로 의료 전문가들이 더 나은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참조 블로그 링크: https://blog.naver.com/medterm/223030413166

이 영상을 통해 챗지피티와 뉴빙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의료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의무기록지해석 #챗지피티 #뉴빙 #인공지능 #의료분야 #보건의료 #AI활용 #의료기록

"병원 의무기록 믿기 어려워요"…의무기록지 관리 '구멍' [MBN 종합뉴스]

【 앵커멘트 】
법이 통과된 수술실 CCTV 못지 않게 의료 분쟁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게 병원의 의무기록지입니다.
환자들이 어떤 진료를 어떻게 받았는지 알 수 있는 기록인데, 일부개선되기는 했지만 나중에 병원에서 이를 고쳐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만일 의료사고가 일어나면 환자들에게 불리할 수밖에 없는거죠.
김보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지난 2014년 30대 A 씨는 대학 병원에서 수술을 받다 뇌사에 빠져 숨졌습니다.

전공의 B 씨가 A 씨에게 마약성 진통제 펜타닐을 과다투여한 것으로 드러났고, 당시 이 사실이 병원에 보고됐습니다.

하지만 정작 사고 당일 경과기록지에는 이런 내용이 없었습니다.

▶ 인터뷰 : 장성학 / 고인 유가족
- "교수가 (병원에) 펜타닐 과다투여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를 드렸다는 걸 재판과정에서 알았습니다. 사망진단서나 서류에는 펜타닐이라는 말이 전혀 언급이 없어요."

경과기록지엔 석연치 않은 점이 있었습니다.

A 씨는 12월 31일까지 성형외과에 입원했다가 수술 직후 내과로 옮겨졌습니다.

그런데 12월 기록지가 작성된 곳은 성형외과가 아닌 내과로 표시돼 있었습니다.

수술 뒤 기록지가 다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피해자 측은 주장하고 있습니다.

성형외과에서 수술 도중 숨진 권대희 군 사례도 비슷합니다.

집도의가 옆방으로 수술을 보러 간 사이, 다른 의사가 대신 수술을 이어갔지만 이 사실은 어디에도 기록되지 않았습니다.

▶ 인터뷰 : 이나금 / 고 권대희 군 어머니
- "유령의사 들어와서 수술하는 게 화면에 두 시간 이상 다 찍혔잖아요. 의무기록지도 의사들이 적잖아요. 엉터리로 쓴 걸 가지고 싸우면 이길 수가 없죠."

현행법상 의무기록지를 고치는 건 문제가 되지 않지만, 허위 기재 논란이 계속되자 수정할 때 원본도 함께 보관돼야 한다는 조항이 신설됐습니다.

하지만, 정작 수정 사유나 기록 방법 등 구체적인 시행 규칙은 없어 의사가 어떤 이유로 고쳤는지 환자들은 알기가 어렵습니다.

▶ 인터뷰(☎) : 정이원 / 의료법 전문 변호사
- "뒷받침할 수 있는 규칙이 정비돼야하는 데 그게 없습니다. 그 이유는 아직까지 수기 차트로 쓰는 곳도 많고 수정 전이랑 후를 다 남겨놓을 수 있도록 전산시스템이 구축이 안 돼서…."

환자들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환자와 의료진 간에 의료 분쟁을 줄이기 위한 세부 규칙 도입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MBN뉴스 김보미입니다. [spring@mbn.co.kr]

영상취재: 임채웅 기자· 김회종 기자
영상편집: 이우주

#MBN #종합뉴스 #제보M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https://goo.gl/6ZsJGT
MBN 유튜브 커뮤니티 https://www.youtube.com/user/mbn/community?disable_polymer=1

MBN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mbntv
MBN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mbn_news/
@user-zv2iw3zf3l : 판사도 조작된 의무기록만보고 판결말고 신체감정도 의사가하는거니 참고해야합니다~
@heartorse.9792 : 전공의 과다투여의 사인 등. 일방적 기록이니 환자에 불리
@user-yy8ny6rp5c : 이제알앗나? 당해보면 다 안다!자격도안되는 교수들 너무많타!
@user-ux5vd9gt8f : 병원기록지는 보건복지부에 속해? 아니면 의협에 속해?
@user-ux5vd9gt8f : 대우조선의 민노총과 한노총의 있어서 실상은 노동자들이 어떻게 돌아갔는가?

... 

#진료기록번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409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