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uld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허클베리핀 조회 9회 작성일 2023-11-13 19:34:18 댓글 0

본문

Alice In Chains - Would? (Official HD Video)

Watch the official music video for “Would?” by Alice In Chains
Listen to Alice In Chains: https://aliceinchains.lnk.to/listenYD

Subscribe to the official Alice In Chains YouTube channel: https://aliceinchains.lnk.to/subscribeYD
Watch more videos by Alice In Chains: https://aliceinchains.lnk.to/listenYD/youtube

Follow Alice In Chains:
Facebook: https://aliceinchains.lnk.to/followFI
Instagram: https://aliceinchains.lnk.to/followII
TikTok: https://aliceinchains.lnk.to/followYx
Twitter: https://aliceinchains.lnk.to/followTI
Website: https://aliceinchains.lnk.to/followWI
Spotify: https://aliceinchains.lnk.to/followSI
Apple Music: http://bit.ly/AICAppleMusic

#AliceInChains #Would #Rock #HD #Remastered

Chorus:
Into the flood again
Same old trip it was back then
So I made a big mistake
Try to see it once my way
@layneooo9574 : My parents loved aic soo much that they named me layne
@communityprepper6153 : In 1992 I woke up, going to the first day of my freshman year of high school. While eating breakfast this song came on MTV. I'm 45 now and I still remember this like yesterday. Time is terrifying.
@dadawomack : 66 years on this planet and this still gives me chills
@user-ng5dl3jp8d : His vocals are just kick ass!!!!!. Layne's voice is like a sledge hammer wrapped in velvet..
@jefffriedmann1482 : AIC, Soundgarden, Pearl Jam, Nirvana, STP, all gr8 bands, funny how Eddie Vedder is the only lead singer still alive at this point. RIP Layne, Chris, Kurt, and Scott. We miss you guys man.

would와 could 올바르게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법

========= 보충 설명 =========
"I could marry her."
만약, could가 can의 '과거형'이라면 위의 예문은 "나는 그녀랑 결혼할 수 있었다."라고 해석을 할 수 있어야 하지만, 전혀 그렇지가 않습니다. 오히려 현재시점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난 걔랑 결혼을 할 수도 있어." - 내포하는 의미는 "내가 마음만 먹으면 가능은 하다" (물론 이것도 상황에 따라 달라짐)
여기까지만 봐도 더 이상 설명을 추가할 필요도 없이 could는 can의 과거형이 아닙니다.
("사전에는 그렇게 나와있다"라고만 계속 주장하시는데 사전은 우리가 언어를 사용하는 다양한 모습을 다 말해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생각하셨으면 좋겠습니다)

could의 활용은, 기준에 따라서 조금씩 달라질 수 있지만, 크게 7가지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댓글로 그 7가지를 자세히 정리해드릴 수는 없지만 간략하게나마 나열해 놓겠습니다)
1. "I haven't checked but it could be snowing outside now." - 확인되지 않았지만 실제 가능성 (현재시점)
2. "You could just send it to me via email." - 제안 (현재시점)
3. "I guess it could be a little different now but I'm sure it's more or less the same." - 믿기 어렵거나 배제하고 싶은 가능성 (현재시점)
4. "How could this happen?" - 의문의 형태로 놀라움 표현 (현재시점)
5. "When I was in college, I could eat a whole pizza by myself and I wouldn't feel full." - 과거에 지녔던 능력 (과거시점) -- 많은 사람들이 보통 이거에만 신경 씀
6. "You could've just called." - 과거에 존재했던 대안(과거시점 - 완료시제와 함께 쓰임으로 could에 대한 활용으로만 볼 수는 없음)
7. "Could you hold on for a second?" - 공손한 어투로 부탁(현재시점)

위에서 볼 수 있다시피(5번) 오직 1가지가 can의 과거형처럼 쓰이는데 'can의 과거형'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도 큰 제약이 있습니다.
could가 can의 과거형처럼 쓰일 수 있는 것은 딱 1가지의 맥락에서만입니다 : 과거에 지녔던 '능력'에 대한 얘기를 할 때입니다.
위의 예문처럼, "When I was in college, I could eat a whole pizza by myself and not feel full."
이 예문에서 하는 얘기는 내가 과거에 지녔던 능력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아주 조금 다른 예문을 보겠습니다.
"걱정했는데 다행히 어제 보고서를 제시간에 제출할 수 있었어." 이 문장을 영어로 할 때는 "I was worried but fortunately I could submit the report on time yesterday."라고 하면 의미전달도 물론 제대로 되지 않을 수가 있고 더 중요한 것은 어색하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과거에 지녔던 능력이 아니라, 과거에 성공한, 완료한 일, 행동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보고서를 어제 제시간에 제출할 수 있었어." 라고 하려면 영상에서도 설명했듯이, "I was able to..." 내지는 "I managed to..." 아니면 그냥 "--했다." (I submitted the reported on time yesterday)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바로 이와 같은 이유로 couldn't는 can't의 과거로 사용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 "할 수 없었던 일"은 언제나 완료한 일이나 행동이 아니기 때문.

이렇게 could의 여러가지 활용 중 can의 과거형 '비슷하게' 쓰이는 경우가 1가지가 있고(could have p.p 포함하면 겨우 2가지), 심지어 그 1가지도 큰 조건이 하나 있는 셈이죠.

* 이쯤에서 다시 한번 언급하고 싶은 것은 : 언어라는 것은 처음부터 모든 규칙을 모두 정해놓고 하는 것이 아닌, 오랫동안 사용되면서 이런 저런 규칙성이 자리잡게 되는 것 뿐입니다..

결론:
auxiliary verb 혹은 modal verb 를 검색해서 그 뜻풀이를 보면 can, could, will, would, must, should .. 등을 나열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could가 can의 과거형이라 같은 목록에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조동사이기 때문입니다. 단, could가 의미하는 바가 때로는 can의 과거형과 같은 성격을 띄는 경우가 있을 뿐입니다.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원어민은 'could'라는 조동사를 쓸 때, 'can'의 과거로 인지하면서 쓰지 않고 could 자체를 하나의 조동사로 인지하고 쓴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can의 과거형'이라고 예전부터 각인돼 왔기 때문에 이것을 분리해서 생각하기가 많이 어렵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could가 가지고 있는 여러가지(약 7가지) 쓰임새 중 1-2가지만이 '과거형'과 관련이 있는 정도이고 나머지는 현재시점에 대해서 말할 때 사용합니다.
'could는 can의 과거형이다'라고 하는 것은 "스마트폰은 음악 재생기야."라고 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P.S.
이 내용이 어렵게 느껴질 수 밖에 없는 것은 지금까지 정리한 내용은 영어를 배우는 사람이 '공부'를 통해서보다는 언어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감으로 익혀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심지어 제가 위에서 정리한 내용이 100% 다 커버하지도 못했을 정도로 하나의 단어만 놓고 봐도 그 활용의 범위는 어마어마하죠 :)

==========================
'알 줄 알았어'와 '아는 줄 알았어'의 차이에 대해서 물으시는 댓글이 꾸준히 올라 오는 것 같아서 설명해 볼게요 :

[사실로 받아들인 확신]과 [예상]의 차이입니다. 예를 들어, 어려운 수학 문제를 똑똑한 친구한테 푸는 방법을 알거라는(안다는X) 기대로 보여줬는데 모른다고 했을 때 :
"난 너가 어떻게 푸는지 알 줄 알았는데."라고 해야지 "어떻게 푸는지 아는 줄 알았는데"라고 할 수는 없겠죠(보여주지도 않았던 것에 대해서 사실로 확신할 수 없으니까요)

또 다른 상황에서, 상대방이 이미 어떤 소식에 대해서 들었다고 확신을 한 상황에서, 막상 알고보니 몰랐다고 했을 때, "어?! 난 너 아는 줄 알았는데?!" 라고 하겠죠. 이때는 "알고 있을거라고 예상을 했던게 아니라, 알고 있다고 확신을 한 상태였으니까요."
=========================
I thought I couldn't 와 I didn't think I could에 대해서 :

일단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은, 영어로는 문장이 긍정인지 부정인지가 가능하면 일찍 결정을 짓게 문장을 구성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I think'가 포함된 문장이 만약 부정문으로 쓰일 때는, 가능하면, "I don't think"라고 처음부터 부정으로 결정을 짓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물론 예외인 경우도 있습니다.

정리/복습 채널 :
https://www.youtube.com/channel/UC2RrA_-QBjnu800xevk4N_Q

채널을 후원하고 추가영상도 보세요!
https://www.youtube.com/channel/UCGDA1e6qQSAH0R9hoip9VrA/join

⭐️라이브아카데미 블로그에 다양한 예문과 추천강의를 상시 업데이트 중입니다 :
https://liveacademy.co.kr

I think + 부정형으로 말하는 경우 중 하나가, "~이 아닌 것으로(하면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와 같은 얘기를 할 때입니다.

"I thought we weren't supposed to bring our smartphones."
라고 하면 "난 스마트폰을 가지고 오면 안된걸로 알고 있었어요."라는 의미입니다. 즉, '판단'이 아닌 '지식'인 것입니다.

"I didn't think we were supposed to bring our smartphones."라고 하면 "스마트폰을 가지고 오면 안될거 같았다." 라는 의미로 '판단'에 대한 얘기가 됩니다.

I thought I couldn't가 위의 I thought I wasn't supposed to 라고 하는 것과 비슷한 의미가 됩니다.
========================
@LVACDMY : 보충 설명:
"I could marry her."
만약, could가 can의 '과거형'이라면 위의 예문은 "나는 그녀랑 결혼할 수 있었다."라고 해석을 할 수 있어야 하지만, 전혀 그렇지가 않습니다. 오히려 현재시점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난 걔랑 결혼을 할 수도 있어." - 내포하는 의미는 "내가 마음만 먹으면 가능은 하다" (물론 이것도 상황에 따라 달라짐)
여기까지만 봐도 더 이상 설명을 추가할 필요도 없이 could는 can의 과거형이 아닙니다.
("사전에는 그렇게 나와있다"라고만 계속 주장하시는데 사전은 우리가 언어를 사용하는 다양한 모습을 다 말해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생각하셨으면 좋겠습니다)

could의 활용은, 기준에 따라서 조금씩 달라질 수 있지만, 크게 7가지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댓글로 그 7가지를 자세히 정리해드릴 수는 없지만 간략하게나마 나열해 놓겠습니다)
1. "I haven't checked but it could be snowing outside now." - 확인되지 않았지만 실제 가능성 (현재시점)
2. "You could just send it to me via email." - 제안 (현재시점)
3. "I guess it could be a little different now but I'm sure it's more or less the same." - 믿기 어렵거나 배제하고 싶은 가능성 (현재시점)
4. "How could this happen?" - 의문의 형태로 놀라움 표현 (현재시점)
5. "When I was in college, I could eat a whole pizza by myself and I wouldn't feel full." - 과거에 지녔던 능력 (과거시점) -- 많은 사람들이 보통 이거에만 신경 씀
6. "You could've just called." - 과거에 존재했던 대안(과거시점 - 완료시제와 함께 쓰임으로 could에 대한 활용으로만 볼 수는 없음)
7. "Could you hold on for a second?" - 공손한 어투로 부탁(현재시점)

위에서 볼 수 있다시피(5번) 오직 1가지가 can의 과거형처럼 쓰이는데 'can의 과거형'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도 큰 제약이 있습니다.
could가 can의 과거형처럼 쓰일 수 있는 것은 딱 1가지의 맥락에서만입니다 : 과거에 지녔던 '능력'에 대한 얘기를 할 때입니다.
위의 예문처럼, "When I was in college, I could eat a whole pizza by myself and not feel full."
이 예문에서 하는 얘기는 내가 과거에 지녔던 능력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아주 조금 다른 예문을 보겠습니다.
"걱정했는데 다행히 어제 보고서를 제시간에 제출할 수 있었어." 이 문장을 영어로 할 때는 "I was worried but fortunately I could submit the report on time yesterday."라고 하면 의미전달도 물론 제대로 되지 않을 수가 있고 더 중요한 것은 어색하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과거에 지녔던 능력이 아니라, 과거에 성공한, 완료한 일, 행동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보고서를 어제 제시간에 제출할 수 있었어." 라고 하려면 영상에서도 설명했듯이, "I was able to..." 내지는 "I managed to..." 아니면 그냥 "--했다." (I submitted the reported on time yesterday)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바로 이와 같은 이유로 couldn't는 can't의 과거로 사용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 "할 수 없었던 일"은 언제나 완료한 일이나 행동이 아니기 때문.

이렇게 could의 여러가지 활용 중 can의 과거형 '비슷하게' 쓰이는 경우가 1가지가 있고(could have p.p 포함하면 겨우 2가지), 심지어 그 1가지도 큰 조건이 하나 있는 셈이죠.

* 이쯤에서 다시 한번 언급하고 싶은 것은 : 언어라는 것은 처음부터 모든 규칙을 모두 정해놓고 하는 것이 아닌, 오랫동안 사용되면서 이런 저런 규칙성이 자리잡게 되는 것 뿐입니다..

결론:
auxiliary verb 혹은 modal verb 를 검색해서 그 뜻풀이를 보면 can, could, will, would, must, should .. 등을 나열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could가 can의 과거형이라 같은 목록에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조동사이기 때문입니다. 단, could가 의미하는 바가 때로는 can의 과거형과 같은 성격을 띄는 경우가 있을 뿐입니다.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원어민은 'could'라는 조동사를 쓸 때, 'can'의 과거로 인지하면서 쓰지 않고 could 자체를 하나의 조동사로 인지하고 쓴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can의 과거형'이라고 예전부터 각인돼 왔기 때문에 이것을 분리해서 생각하기가 많이 어렵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could가 가지고 있는 여러가지(약 7가지) 쓰임새 중 1-2가지만이 '과거형'과 관련이 있는 정도이고 나머지는 현재시점에 대해서 말할 때 사용합니다.
'could는 can의 과거형이다'라고 하는 것은 "스마트폰은 음악 재생기야."라고 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P.S.
이 내용이 어렵게 느껴질 수 밖에 없는 것은 지금까지 정리한 내용은 영어를 배우는 사람이 '공부'를 통해서보다는 언어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감으로 익혀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심지어 제가 위에서 정리한 내용이 100% 다 커버하지도 못했을 정도로 하나의 단어만 놓고 봐도 그 활용의 범위는 어마어마하죠 :)

정리/복습 채널 :
https://www.youtube.com/channel/UC2RrA_-QBjnu800xevk4N_Q

채널을 후원하고 추가영상도 보세요!
https://www.youtube.com/channel/UCGDA1e6qQSAH0R9hoip9VrA/join

⭐️라이브아카데미 블로그에 다양한 예문과 추천강의를 상시 업데이트 중입니다 :
https://liveacademy.co.kr
@HOON883 : 세금 처발라서 만든어 놓은 공교육이 어떻게 16분짜리 영상보다 못함 ㅅㅂ 평생 조온na 헷갈렸었는데 잘 배우고 갑니당
@arm-jjang : 미국인들이 could와 would를 자유롭게 써서 굉장히 신기했지만 학교에서는 한번도 could와 would를 사용해 스피킹하는 법을 배운적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영상에서 정말 명쾌하게 사용법을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user-hp7pj8oy1j : 형님 오픽 공부시작하면서 보기 시작했는데 이건 진짜 한국어 공부하는 영어권 사람들한테 더 도움이 될 정도로 어느 교재에도 담지 못한 뉘앙스 차이와 맥락이랑 실용성을 가진 포인트들을 짚어주는거 같아요. 댓글 잘 안다는데 교재 내시면 정말 외국인들한테 도움 많이 될거 같아여
@hyesukim5632 : 갑자기 외국에 살게 되면서 영어로 선생님과 학부모들과 어떻게 소통해야 하나 걱정했는데 선생님 수업 들으면서 많은 도움 받고 있어요, 그동안 궁금했던 것들도 많이 해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렇게 계속 수업 해주세요.^_^

[영어쉐도잉300문장] would, could, should 완벽 정복 훈련 (미드에서 엄선한 리얼 네이티브 300문장)

would, could, should가 들어간
미드, TED에서 엄선한 리얼 네이티브 300문장입니다.
헤일리 쌤의 영어 쉐도잉과 함께, 이제는 정복할 수 있습니다.
#헤일리쌤 #영어쉐도잉

would 편 | 한+영 4번 반복

would 편 | 한+영 10번 반복

would 편 | 영어만 4번 반복


could 편 | 한+영 4번 반복

could 편 | 한+영 10번 반복

could 편 | 영어만 4번 반복


should 편 | 한+영 4번 반복

should 편 | 한+영 10번 반복

should 편 | 영어만 4번 반복


would, could, should 몰아서 하기 편 | 한+영 4번 반복

would, could, should 몰아서 하기 편 | 영어만 4번 반복


would \u0026 could \u0026 should 편 스크립트와 해설 (PDF e-book)
would) https://haileyssam.imweb.me/?idx=7
could) https://haileyssam.imweb.me/?idx=8
should) https://haileyssam.imweb.me/?idx=9

would have pp, could have pp, should have pp 편 | 한+영 4번 반복

would have pp, could have pp, should have pp 편 | 한+영 10번 반복

would have pp, could have pp, should have pp 편 | 영어만 4번 반복


would have pp, could have pp, should have pp 편 스크립트와 해설 (PDF e-book) https://haileyssam.imweb.me/?idx=14

0:00:00 영어 쉐도잉 100문장 주제 \u0026 방법 소개
0:00:57 [would-1] 과거에 했던 말이나 예상 | 1~20번 문장
0:06:38 [would-2] 상상을 한 결과 | 21~40번 문장
0:11:54 [would-3] 누군가가 할 만한 행동 | 41~60번 문장
0:17:47 [would-4] 의견을 부드럽게 표현 / 불확실한 의견 | 61~75번 문장
0:22:26 [would-5] 가정 상황 | 76~85번 문장
0:25:53 [would-6] 'I would' 패턴으로 조언 | 86~90번 문장
0:27:33 [would-7] 의지 표현 | 91~93번 문장
0:28:29 [would-8] wouldn’t - 거부, 거절을 하는 상태 | 94~96번 문장
0:29:30 [would-9] 과거에 자주 있었던 일 | 97~98번 문장
0:30:58 [would-10] so / so that과 함께 목적 표현 | 99~100번 문장

0:32:26 [could-1] 약한 가능성, 불확실한 가능성 | 1~20번 문장
0:39:21 [could-2]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 자체 | 21~25번 문장
0:41:16 [could-3] 제안 | 26~45번 문장
0:47:34 [could-4] can보다 공손하게 요청 | 46~50번 문장
0:49:15 [could-5] 의지를 과장해서 표현 | 51~55번 문장
0:51:59 [could-6] can 과거 (1) 과거에 했던 말, 생각, 예상 | 56~62번 문장
0:54:25 [could-7] can 과거 (2) 감각 동사 사용 | 63~65번 문장
0:55:48 [could-8] can 과거 (3) 무언가를 ‘최대한’ 할 수 있었던 상황 | 66~70번 문장
0:57:19 [could-9] can 과거 (4) so that 또는 so와 함께 사용 | 71~75번 문장
0:59:32 [could-10] can 과거 (5) 부정형 couldn’t | 76~80번 문장
1:01:25 [could-11] couldn’t와 비교급의 조합으로 최상급을 표현 | 81~90번 문장
1:04:42 [could-12] how could (1) 뭔가를 할 수 없다는 말을 질문으로 돌려 표현 | 91~95번 문장
1:06:23 [could-13] how could (2) 못마땅함을 표현 | 96~100번 문장

1:08:30 [should-1] 약한 필요성, 좋거나 바람직한 상황 - should (~하는 게 좋다) | 1~30번 문장
1:18:53 [should-1] shouldn’t (~하지 않는 게 좋다) | 31~45번 문장
1:23:31 [should-1] should 의문문 | 46~62번 문장
1:28:49 [should-1] shouldn’t 의문문 | 63~67번 문장
1:30:24 [should-1] 의문사와 함께 쓰인 should 의문문 | 68~75번 문장
1:32:36 [should-2] 높은 가능성을 예상, 추측 - should (~할 것이다) | 76~95번 문장
1:39:09 [should-2] shouldn’t (~하지 않을 것이다) | 96~100번 문장

1:20:46 [오타 정정] 37. I don't want to get you sick. → I don't want you to get sick.
1:26:35 [오타 정정] 56. I should I invite → I should invite

헤일리 쌤
e-mail) hailey.ssam@gmail.com
instagram) https://www.instagram.com/hailey_k7
@haileyssam : ‘욷 쿧 슏’ 정복 300문장~!

would 편 | 한+영 4번 반복

would 편 | 한+영 10번 반복

would 편 | 영어만 4번 반복


could 편 | 한+영 4번 반복

could 편 | 한+영 10번 반복

could 편 | 영어만 4번 반복


should 편 | 한+영 4번 반복

should 편 | 한+영 10번 반복

should 편 | 영어만 4번 반복


would, could, should 몰아서 하기 편 | 한+영 4번 반복

would, could, should 몰아서 하기 편 | 영어만 4번 반복


would & could & should 편 스크립트와 해설 (PDF e-book)
would) https://haileyssam.imweb.me/?idx=7
could) https://haileyssam.imweb.me/?idx=8
should) https://haileyssam.imweb.me/?idx=9

would have pp, could have pp, should have pp 편 | 한+영 4번 반복

would have pp, could have pp, should have pp 편 | 한+영 10번 반복

would have pp, could have pp, should have pp 편 | 영어만 4번 반복


would have pp, could have pp, should have pp 편 스크립트와 해설 (PDF e-book) https://haileyssam.imweb.me/?idx=14

01:20:46 [오타 정정] 37. I don't want to get you sick. → I don't want you to get sick.
01:26:35 [오타 정정] 56. I should I invite → I should invite
@user-cv8fe3vq8v : 진짜 이건 대박 자료이다... 제가 하려했던 대신의 노고를 평생 구독과 좋아요로 갚겠습니다..
@strawberry11111 : Would

0:57 1. 과거에 했던 말이나 예상을 이야기할 때 (1~20) [~할 거라고, ~일 거라고]

6:38 2. 상상한 결과를 이야기할 때 (21~40) [~하겠다, ~할 것 같다, ~일 것이다]

11:57 3. 누군가가 할 만한 행동을 이야기할 때 (41~60) [~할 것이다, ~할 만하다]

17:47 4. 의견을 부드럽게 표현하거나 불확실한 의견을 말할 때 (61~75) [~라고 하겠다, ~할 것 같다]

22:28 5. 가정 상황에 대해 이야기할 때 (76~85) [~하겠다, ~할 것이다]

25:53 6. I would 라는 패턴으로 조언을 할 때 (86~90) [나라면 ~하겠다]

27:35 7. 의지를 표현할 때 (91~93) [~할 것이다, ~하겠다]

28:35 8. 무언가가 거부, 거절을 하는 상태를 말할 때 (94~96) [~하지를 않는다]

29:30 9. 과거에 자주 있었던 일에 대해 말할 때 (97~98) [~하곤 했다(=used to)]

30:59 10. so that 또는 so와 함께 목적을 말할 때 (99~100) [(~가) ~하도록]


Could

32:27 1. 약한 가능성, 불확실한 가능성을 이야기할 때 (1~20) [~할 수도 있다, ~일 수도 있다]

39:23 2.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 자체를 이야기할 때 (21~25) [~할 수도 있다, ~할 수 있다]

41:16 3. 제안을 할 때 (26~45) [~할 수도 있다, ~해도 된다]

47:34 4. can보다 공손하게 요청을 하거나 허락을 구할 때 (46~50) [~해 줄 수 있니, ~할 수 있을까]

49:15 5. 의지를 과장해서 표현할 때 (51~55) [~할 수도 있다 (~할 수도 있을 정도다)]

can의 과거 could 50:58

51:59 6. can 과거(1) - 과거에 했던 말, 생각, 예상을 이야기할 때 (56~62) [~해도 된다고, ~할 수 있다고]

54:26 7. can 과거(2) - 감각 동사를 쓸 때 (63~65) [~할 수 있었다]

55:49 8. can 과거(3) - 무언가를 '최대한' 할 수 있었던 상황을 이야기할 때 (66~70) [~할 수 있(었)다]

57:20 9. can 과거(4) - so that 또는 so와 함께 쓰일 때 (71~75) [(~가) ~할 수 있도록]

59:33 10. can 과거(5) - 부정형 couldn't를 쓸 때 (76~80) [~하지 못 했다, ~할 수 없었다]

1:01:26 11. couldn't 와 비교급의 조합으로 최상급을 표현할 때 (81~90) [이보다 더~할 수 없다 (최상으로 ~하다, 매우 ~하다)]

1:04:42 12. how could(1) - 뭔가를 할 수 없다는 말을 질문으로 돌려 표현할 때 (91~95) [어떻게 ~할 수 있겠어? (~할 수는 없지)]

1:06:24 13. how could(2) - 못마땅함을 표현할 때 (96~100) [어떻게 ~할 수가 있어?]


Should

1:08:30 1. 약한 필요성, 좋거나 바람직한 상황에 대해 이야기할 때 should (1~30) [~해야 한다, ~하는 게 좋다, 맞다]

1:18:53 shouldn't (31~45) [~하면 안 된다, ~하지 않는 게 좋다, 맞다]

1:23:31 should로 시작하는 의문문 (46~62) [~해야 할까? ~하는 게 좋을까? 맞을까?]

1:28:50 shouldn't로 시작하는 의문문 (63~67)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게 아니냐?]

1:30:25 의문사로 시작하는 should 의문문 (68~75)

1:32:36 2. 충분히 높은 가능성에 대해 예상, 추측을 표현할 때 (76~95) [~할 것이다, ~하겠다]

1:39:10 shouldn't (96~100) [~하지 않을 것이다]
@user-ez4mo8dy5k : [would]
1:01 would 첫 번째 용법
6:38 would 두 번째 용법
11:56 would 세 번째 용법
17:48 would 네 번째 용법
22:27 would 다섯 번째 용법
25:56 would 여섯 번째 용법
27:36 would 일곱 번째 용법
28:33 would 여덟 번째 용법
29:31 would 아홉 번째 용법

[could]
32:27 could 첫 번째 용법
39:27 could 두 번째 용법
41:18 could 세 번째 용법
47:38 could 네 번째 용법
49:17 could 다섯 번째 용법
52:07 could 여섯 번째 용법(can의 과거)
54:26 could 일곱 번째 용법 (can의 과거)
55:50 could 여덟 번째 용법 (can의 과거)
57:23 could 아홉 번째 용법 (can의 과거)
59:35 could 열 번째 용법 (can의 과거)
1:01:27 could 열한 번째 용법
1:04:43 could 열두 번째 용법
1:06:24 could 열세 번째 용법

[should]
1:08:33 should 첫 번째 용법
1:18:55 shouldn’t (~하면 안 된다, ~하지 않는 게 좋다, 맞다)
1:23:33 should 로 시작하는 의문문
1:28:51 shouldn’t 로 시작하는 의문문
1:30:26 의문사로 시작하는 should 의문문
1:32:36 should 두 번째 용법
1:39:12 shouldn’t (~하지 않을 것이다)
@user-gj6lv9fj3y : 32:27 could 약한 가능성, 불확실한 가능성을 이야기할 때
39:27 could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 자체를 이야기할 때
41:18 제안을 할 때(~할 수도 있다, ~해도 된다)
47:38 can 보다 공손하게 요청을 하거나 허락을 구할 때(~해 줄 수 있니? , 할 수 있을까?)
49:17 의지를 과장해서 표현할 때(~할 수도 있다(~할 수도 있을 정도다))
51:04 can의 과거
52:07 (1) 과거에 했던 말, 생각, 예상을 이야기할 때 (~해도 된다고, ~할 수 있다고)
54:26 (2) 감각동사를 쓸 때(~할 수 있었다)
55:50 (3) 무언가를 최대한 할 수 있었던 상황을 이야기할 때 (~할 수 있(었)다)
57:23 (4) so that 또는 so 와 함께 쓰일 때
((~가) ~ 할 수 있도록)
59:35 (5) 부정형 couldn't 를 쓸 때 (~하지 못 했다, ~할 수 없었다)

... 

#woul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406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