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탄소아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불광동싸나에 조회 9회 작성일 2023-11-29 13:45:47 댓글 0

본문

문 닫고 진료 줄이는 소아과…의사들도 “타과 전환” / KBS 2023.06.09.

최근 동네에서 문 닫는 소아과가 늘고 있습니다. 저출생으로 소아 환자가 줄어든 게 큰 원인인데요. 급기야 소아과를 포기하고 다른 진료과목으로 전환하려는 의사들이 늘고 있습니다. 송락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소아과 전문의는 7년 넘게 운영하던 개인병원 문을 닫았습니다.

지금은 다른 병원에 취업해 월급을 받으며 진료 과목 변경을 준비 중입니다.

[나○○/소아청소년과 전문의 : "제 평생 토요일에 쉬어본 적이 없고 그런데 내가 이렇게 일을 해도 주 6일을 일을 하는데 수입은 점점 줄고 비용은 늘어나고…."]

폐업을 결심한 건 환자가 줄었기 때문입니다.

인건비와 임대료 부담에 거의 제자리인 진료비도 한 이유였습니다.

[나○○/소아청소년과 전문의 : "(20년 전) 그때 간호조무사 월급 백만 원 줬어요. 지금 삼백만 원 줘요. 수가는 1년에 150원에서 200원 정도 올라요. 그러면 10년에 2천 원 오르는 거죠."]

최근 5년 사이 전국 소아과는 100곳 가까이 줄었습니다.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지원율도 2019년 첫 미달 이후 올해 상반기엔 16.6%, 역대 최저 수준입니다.

소아과 의사가 귀해지면서 국내 1호 어린이전문병원인 소화병원은 지난주부터 휴일 진료를 중단했습니다.

[이가형/서울시 용산구 : "너무 곤란하죠. 아기가 아팠을 때 제일 당황하는 게 아무래도 엄마, 아빠인데 갈 곳이 없으니까 급하게 응급실을 가도 사실 오래 걸리고."]

정부는 내년까지 야간과 휴일, 소아 진료가 가능한 '달빛어린이병원'을 100곳까지 늘리겠단 계획이지만, 아동병원협회 측은 오늘 기자회견을 열어 실효성이 없다며 폐지를 요구했습니다.

[이홍준/대한아동병원협회 정책이사 : "달빛어린이병원을 자꾸 만들겠다고 이야기하는 정부는 78시간으로 일하는 사람한테 90시간 일하라고 몰아세우는 격입니다."]

소아청소년과의사회는 진료 과목 전환을 위한 세미나를 모레 열 계획인데, 전체 회원의 20%가 넘는 700여 명이 참가를 신청했습니다.

KBS 뉴스 송락규입니다.

촬영기자:정현석 조은경/영상편집:최정연/그래픽:채상우 \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7695768\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소아과 #저출생 #의사
@raziquantelp8607 : 널린게 소아과 전문의이다. 온갖 갑질과 소송에 그들은 소아진료를 보고 싶어도 볼 수가 없다. 그들도 부양해야할 가족이 있고 건강을 해치면서까지 스트레스 받으며 일할 수 없기 때문이다.
@pediatricschannel : 의사들이 소아청소년과를 하고 싶게, 기존에 전문의자격증을 딴 소아과 의사들이 다른 곳으로 전향하지 않을 수 있게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Ryan-df7od : 갑질 부모들이 초래한 결과라 쌤통임. 무릎꿇고 제발 우리 아이 진료좀 봐달라고 할 때까지 소아과는 줄여야됨.
@laddergold7721 : 혼자 살기도 쉽지않습니다.부모님챙겨야함..자녀키우는분들 존경합니다..
@user-gf8op6bf5y : 내과 외과 소아과 산부인과 같은 필수 의료에 대해 보험 진료 수가를 현실화해주지 않으면 100년이지나도 해결이 안될 문제.. 이는 흉부외과, 일반외과같은 비인기과들도 특히나 마찬가지인 상황임.. 소아 인구까지 줄어드는 마당에 의사를 십만명 더 뽑아도 그중에 소아과 갈 사람은 앞으로 지금보다 더 줄어들 것임.. 툭하면 소송당하는 의료 진료권 부분도 정부차원에서 의료사고에 대해 환자와 의사 모두 곤란해지지 않도록 사회적 보험 제도나 구제 제도를 만드는게 필요하다.. 응급의학과 의사들도 요즘 다 그만두려고하고 다른 일 찾고 있음..

소아과 대란을 해결하러 노예슬이 왔다? 동탄신도시의 소아과 대란 해결책을 제시합니다(1)

요즘 동탄신도시를 비롯하여 전국에서는 소아과 대란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저 역시 소아과 대란 때문에 아픈 아이랑 같이 소아과에서 1시간 넘게 대기해본 적이 있는데요. 이런 소아과 대란과 관련된 문제의 해결책은 무엇인지, 소아과 대란이 발생한 근본적인 원인과 해결책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kang1010 : 아이들은 정말 소중한 존재죠. 소아과 관련 대책들이 잘 수립되었으면 좋겠네요.
@user-hj2jz3ie3k : 아이들을 위한 대책이 하루 빨리 마련 됐으면 좋겠네요
@user-jz2gh8ku5j : 아이들을 위해서 빨리 좋은 방안이 나오길 응원합니다
@user-nt7se3ib3e : 소아과 관련 대책들이 잘 마련되어서 아이들 키울 때 불편함이 없었으면 하네요 응원합니다
@talkup1290 : 항상 수고가 많으십니다

소아과 대란을 해결하러 노예슬이 왔다? 동탄신도시의 소아과 대란 해결책을 제시합니다(2)

요즘 동탄신도시를 비롯하여 전국에서는 소아과 대란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저 역시 소아과 대란 때문에 아픈 아이랑 같이 소아과에서 1시간 넘게 대기해본 적이 있는데요. 이런 소아과 대란은 소아과 의사의 인원부족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소아과 의사를 증원할 수 있는 해결책은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user-dd4kj9ye1q : 의견을 제시해주는 분들이 많아야 좋은 세상이 오겠죠
@user-og5fw1zd2e : 잘 해결되었으면 좋겠어요 ㅠㅠ 평화로운 세상이 오길
@user-gk7hd2hh6s : 출산와 육아에 관한 장려 정책이 시급해요 진짜
@mickyjeong2619 : 소아과 대란 이렇게 심각한줄 몰랐네요.
@user-vd7rs4vv8t : 아이들도 안낳는데 소아과 대란이라니 참 빨리 해결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 

#동탄소아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395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