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샵학원수강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요리킹 조회 6회 작성일 2023-12-29 19:46:00 댓글 0

본문

국비지원 학원의 장단점 3분 정리

영상시청해주셔서 항상 감사드리고

모두사랑합니다!!!!




#국비지원 #개발자 #동기부여
@tkkkk1522 : 국비지원 알아보고있었는데 좋은정보네요
@user-vb8ms6bc2t : 여러 기관을 돌아 다니며 충분한 상담을 통해 수강을 결정하고 포기하지 않고 수료하면 어느 정도 성과를 이룰 수 있는게 국비지원 교육인 거 같습니다.
@user-fx1rt5ce5x : 국비지원 하고 있는 비전공자 학생 너무 힘이 되고 공감이 되는 말이네요 :) 저는 제가 멍청한가? 싶을 정도로 진도를 못 따라 잡았는데 그게 아니었네요 ㅎ 그래도 열심히 해야겠네요
@MySelf-kq5pr : 도움되는 후기 감사합니다. 지금 저도 강의 곧 들으려고 하거든요.
6개월 짧게 공부하고도 대기업에 취직하는 경우도 있나요?
아니면 대부분 소모품처럼 여겨지거나 기계적인 단순 코딩하는 곳들에 취업하나요?
@user-op9bc4ub1v : 서울권 vs 지방권으로 봤을 때 국비학원 수업의 질적인 부분에서 차이가 큰가요? 아무래도 외부강사를 초청해서 교육하는 시스템이다보니 교통비와 시간이 들더라도 서울까지 왔다갔다 하는게 더 나은지 궁금합니다.

이전에 정보처리기능사를 딸 때 시설문제, 강사님들과 원장님의 트러블 등의 문제들 덕에 스트레스가 컸었어요. 결국 답답해서 제가 알아서 찾아내어 반 대표로 수강생분들께 알려드리고, 저랑 다른 분까지 3명만 합격하고 나머지분들은 다 불합격되었던 경험때문에 학원 고르는게 더 고민됩니다.

국비지원 영상편집학원 후기

메이플스토리bold체 사용했습니다.
출처:http://levelup.nexon.com/font/index.aspx
@user-qg7sb2vm8s : 안녕하세요 현재 국비지원으로 서울에 5개월 과정으로 영상편집을 배우고 있는데 고졸이라 취업이 될지 걱정되서 검색하다 영상을 보게되었습니다. 모든 내용에 다 공감합니다.

5개월 과정인데 2D 3D파트 한달씩 번갈아가면서 배우고 있고 후에 웹디자인도 배우는데 솔직히 국비지원이라 국가에서 들어야하는 필기 인강에 매주 시험에 제출과제까지 너무 벅차게 배우고 있지만 확실히 실력은 빠르게 늘었고 기본툴을 배워도 모르거나 궁금한부분은 질문해도 되서 후에 실무근무 할때도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제가 생각하는 고급기술은 툴이나 효과는 이름만 알면되지만 그 툴을 얼만큼 활용하면 좋은지의 문제 같습니다. 빡샌 수업시간상 세부적인스킬은 알려주지는 않는편 입니다. 이건 스스로 모작 할 영상을 가져와서 그 프로그램을 몇시간씩 붙잡아야 어떻게 해야 빠르게 할지가 보입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손이 너무 느려서 수업에 뒤쳐지는 부분을 매꾸고 싶어서 고민한 방법이기도 합니다.

국비지원 영상편집 하시기전에 포토샵과 일러스트는 기본으로 깔아둔 후에 유튜브에 일러 포토샵 프리미어 프로 에펙 마야 기본 툴 사용하는 법을 보면 할 수는 있지만 수업을 따라오려면 이해도가 높아야하기 때문에 어도비 프로그램이 아니어도 2D면 타블렛으로 그림을 그려서 움짤을 만들어본다 던지 그림과 영상편집을 아예 안해보셨으면 이해하기 어려워서 따라오기 어렵고 3D 또한 3D모델을 불려와서 위치나 포즈를 잡아보거나 3D와 유사한 프로그램을 취미라도 한번도 안해보거나 혹은 인형이나 클레이등 만드는 취미가 없다면 더 힘듭니다. 저는 이쪽 취미가 많아서 이해도는 높지만 영어장벽과 손이 느린게 단점이지만 확실히 독학하면 미루기만 할게 뻔해서 학원에 다니길 정말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user-me9wn9ht4y : 자세한 내용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tm6it1ir8p : 맞습니다. 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건 첫번째가 무조건 잘가르치는 강사가 가장 중요합니다. 그다음이 부수적인거고요.
@user-fd6iq7hn6u : 지금 다니고 있는데 풀스텍 과정 배우고 있어요 국취 취지는 취업입니다 이건 누구도 부정 할수 없어요 고용센터와 국취 학원 의 목표는 취업을 두고 합니다 물론 실업자 기준입니다
짧은 과정에 많은 것을 배우기에 혼란합니다

집에서 복습도 많이 해야 합니다 학원에서 배웠다고
능력을 발휘하기는 힘듭니다 현업에서 바로 투입되 일을 해야하는데 복습을 하지 않고 실력 이 제자리면 6개월 과정이면 그냥 6개월 날린거나 다름 없지요 유튜브에서 학습 가능하지만 이 걸로 뭘 하지 막막합니다 결론은 사람 마다 목표 에 따라 국취가 맞는 사람 아닌 사람 좋다는사람 까는사람 분명 있다는것 태도와 습관 목표 또한 개인마다 다르니..

6개월에과정에 JAVA, javascript ,database, server, SQL, virtual mashin 배우는데 솔직히 이제 한달 넘었는데.. 복습만이 살길이다 밖에 표현 못할것 같아요..말도 쓰고 배터야 늘지 않겠습니다..
아무튼 국취의 목표는 취업이다 단순함...
@user-bs5uf7dp5m : 말씀하시는 거 유익하면서도 솔직하고 재미도 있어요 ㅎㅎ!!! 구독하고 갑니다, 감사해요ㅠㅠ!

포토샵 공부, 포토샵부터 시작하지 마세요

얼마 전에 6학년 초딩이 저한테 1시간 일러스트를 배우고 아이콘 세트를 만들었어요. 그걸 본 아는 동생이 어떻게 이럴 수 있냐고 하길래.. 포토샵이든 일러스트든 공부할때 포토샵부터 하면 안된다고 했죠. 그리고 아- 이 이야기를 구독자분들에게 얘기하면 좋겠구나 해서 만들었습니다-

요즘 영상이 뜸해서 기다리는 분들께 항상 죄송한 마음입니다.. 생업에 종사하면서 하는게 쉽지는 않네요 ㅠ 영상을 만들어놓고 타이밍을 놓쳐서 못올린것도 있고.. 그렇습니다 ㅠ 양해부탁드려요! 항상 여러분들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포토샵 #쉽게 #배우는법
@Lalalalala181 : 안녕하세요~ 저는 디자인 비전공자인데 디자인이 너무 하고싶어서 최근에 학원을 다녔습니다. 포토샵과 일러스트 과정을 다 마쳤지만, 확실히 연습을 안 하니 다 잊게 되더라고요 ㅠㅠ 그래서 너무 걱정이 많았고 제가 잘하고 있는 건지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근데 이 영상보고 제가 먼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스케치하고 그거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툴을 익히는 것이 진짜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힘이 많이 빠졌었는데 덕분에 다시 디자인에 대한 열정을 가질 수 있을 것 같고 두려움도 좀 사라졌네요! 감사합니다 ㅠㅠ
@user-cv9jd6nm5d : 디자인스케치 완성후 실전
표현 레퍼런스에 맞는 포토샵 혹은 일러스트를 적용하란 효율적인 강의에 공감하며 초보인 저에겐 유레카!! 감사합니다
@outwork2762 : 이거 참. 진짜 삶의 지혜 같네요. 말씀해주신 방법이 저에겐 딱이라고 생각해요. 포토샵의 전반에 대해 강의식으로 배우면 내게 당장 필요하지 않고 당장 흥미롭지 않은 것들을 마주치는게 70%에요. 근데 당장 흥미가 가서 배우고 싶은 것들 하나씩 찾아서 그 때 그 때 적용해보면 재밌고, 기억에 남고, 계속 해보게 되요. 그렇게 하면 장기적으로 포토샵을 사용하고 있지 않을까요? 그 때는 이미 실력도 스스로 자신할 만큼은 될거구요.
@ironship : 저는 웹디자이너 취준생이지만 아직 시작 단계이고 포토샵, 일러스트에 대해 문외한입니다. 실무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엔 무엇이 있을까요..현재 생각하고 있는 방안은 국비지원으로 웹디 과정을 이수해보려고 하고 있고 학원 외의 시간에 집에서 책상 앞에서 실무 연습을 할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해요.
@woolim28 : 이런 영상이 필요했어요.... 실무에 필요해서 혼자 한시간씩 기초영상 10시간짜리 다 들었는데,
하다보니 결국 이건 까먹을 것들이고.. 어떤식으로 연습을 해야되지? 중급강의를 들어야하나?
커리큘럼을 계----속 생각해봐도 답이 안나와서.. 역시 실전에 덤비면서 익혀야하네요.
일러스트하고 인디자인까지도 필요할거같아서 이것들 역시 기초까지는 좀 들어두고
실무에 필요한 디자인들을 찾아서 따라해보는 작업들 (연습용으로 한다는 뜻!) 을 해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

아.. 혹시 GTQ를 따는것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궁금합니다..!!!

... 

#포토샵학원수강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377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