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자기소개서양식
페이지 정보
본문
영문이력서 (CV/Resume) 쓰는 법 공개
저번에 올리겠다고 약속드렸던 영상... 드디어 올립니다! 모두 잘 활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이력서 템플렛: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x_Iq04LH0vJAZOdcOoXvBWkBhpeQIyq-?usp=share_link
@user-wf6rv2fj9v : 대학교 졸업반 취준생인데 이런 핵심만 담긴 영상 너무 좋아요✨✨
@shinhee5044 : 이게 바로 레쥬메 쓰는 방법이군요... 막학기 때 취업영어커뮤니케이션이라는 수업을 들으면서 한 학기 내내 레쥬메 쓰고 CV 쓰고 인터뷰 준비했던 게 정말 잘못된 방향이었다는 걸 깨닫고 갑니다 외국인 교수님이 템플릿도 창의적이게 하라고 해서 상단에 배너처럼 색깔 넣고 가로줄로 항목구분하고...ㅎ 알려주신 대로 비즈니스 용어로 변환해서 경험 푸는 작업을 해얄 것 같습니다. 소중한 영상 너무 감사드립니다
@user-kg3hq8kk6p : 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ㅎㅎ 인턴십 경험만 있는 대졸 신입도 예시를 토대로 이력서 작성해도 될까요? 보여주신 이력서는 경력직에 맞춘 이력서라는 느낌을 받아서요!
@yuan1984 : 정말 도움 되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reve78080 : 오랜만에 영상 감사합니다. 유용한 정보들이 많아 첫영상부터 재밌게 봤습니다. 싱가폴에 사는 구독자인데 팬이라 기회가 된다면 한번 만나뵙고싶네요. ☺️
외국계 취업을 위한 영문이력서 작성법? 이것부터 보세요!
#레쥬메 #샘플 #다운로드
영문이력서 샘플과 Action Verb 다운로드 하러가기: https://inthiswork.com/archives/9242
우수기업의 신입 및 주니어경력 채용정보 보러가기 : https://inthiswork.com/
취업관련 질문 남기기 : https://inthiswork.com/community
외국계기업에 처음 지원하실 때 많은 분들이 당황하는게 있습니다
바로 자유 이력서, 거기다 영문으로 된 자유이력서를 작성하는 것인데요
이미 우리는 대기업이나 공기업의 형식화된 이력서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그렇죠
구글에서 국문이력서만 검색해봐도 굉장히 많은 도식화된 이력서를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력서는 빈 칸에 요청된 정보만 입력하면 되는 거죠
그런데 외국계기업의 채용공고에서 본 영문 자유이력서라는 것은 굉장히 생소합니다
어떻게 작성을 시작해야하는지 부터 고민이 되기 시작하고
그래서 구글에 영문이력서를 검색하면 너무 많은 이력서포멧들이 나와 어디서 부터 시작해야할지를 모르죠
물론 구글에서 본 이력서를 참고로 작성할 순 있지만 이력서를 처음 작성하시는 분들이 어느정도 힌트를 얻을 수 있도록
어떤 정보를 기입해야하는 지 어떤 포멧을 구성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 오늘 설명드리려 합니다
먼저 영문 이력서는 Resume(레쥬메)라고 불리는 것과 CV라고 불리는 것이 있습니다
이 때의 CV는 Cover letter 가 아니라 (일부 오해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설명드립니다)
Curriculum Vitae 라는 것인데 경력기술서라는 것입니다 보통 학술적인 프로젝트와 연구성과들을 주로 담고 있는 문서죠
그리고 레쥬메는 본인의 학력, 경험, 역량을 포괄적으로 담은 문서입니다
신입과 주니어레벨에서는 Resume 와 CV 를 큰 차이없이 이력서라고 생각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국내에서는 레쥬메와 CV를 영문이력서의 개념으로 혼용해서 많이 쓰니깐 굳이 차이를 두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제 영문이력서의 종류를 아셨다면 레쥬메와 CV로 불리는 영문 이력서를 어떻게 구성하면 좋을지 설명드리겠습니다
구성요소는 크게 4가지 입니다
SKILL SUMMARY, EDUCATION, EXPERIENCE, CERTIFICATE \u0026 OTHER SKILLS
먼저 가장 상단에 이름과 연락처를 쓰시고 나면 그 다음 SKILL SUMMARY 를 작성하시게 됩니다
이 SKILL SUMMARY 는 여러분이 가지고 계신 역량의 핵심 키워드를 기재하는 곳입니다
특히 이 핵심 키워드는 여러분이 지원하고자 하는 공고에 맞게 3개~4개 정도를 기입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영업직에 지원하는 지원자분들은 보통 공고에서 Opportunity creation (혹은 Pipeline generation) 이라는 문구와
Energetic, Passionate 이라는 태도, 그리고 Presentation 과 Communication 같은 스킬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러면 이러한 문구에 해당 하는 본인의 경험과 역량을 SKILL SUMMARY 에 적어 인사담당자에게 나의 직무적합도와 차별점을 어필하는 거죠
SKILL SUMMARY 는 이력서의 가장 상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SKILL SUMMARY 를 어떻게 적느냐가 인사담당자가 본인의 이력서를 자세히 읽을지 말지를 결정하는 문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인사담당자가 찾는 사람인지 아닌지를 첫 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하는게 이 SKILL SUMMARY 라는 거죠
그렇기 때문에 이 SKILL SUMMARY 에 채용공고를 바탕으로 한 나의 직무적합도를 여실히 보여줘야 합니다
그렇게 작성된 SKILL SUMMARY 를 바탕으로 EDUCATION, EXPERIENCE, CERTIFICATE \u0026 OTHER SKILLS 를 작성하는 것이 영문이력서 작성의 기본입니다
그렇게 첫번째 이력인 EDUCATION 즉, 학력에 대해서 적어보도록 합시다
EDUCATION 에는 먼저 본인의 대학명과 전공명 그리고 입학년도 및 졸업년도를 기재하게 됩니다
물론 여기에 교환학생이나 해외연수 그리고 외국어 실력을 증명할 수 있는 외국어고등학교 졸업 등을 같이 기재해 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이곳은 학교명만 적는 곳은 아닙니다
학교생활에서 배웠던 직무스킬들을 같이 적는 곳이죠
예를 들어 마케팅 직군에 지원하는 지원자가 있다고 한다면 마케팅 관련해서 어떠한 수업을 듣고 과제를 했는지를 기술해야 합니다
또한 해당 기업이 모바일이나 리테일산업에 속한 스타트업이라고 한다면
모바일 / 리테일 / 스타트업과 관련해서 어떤 프로젝트나 수업을 들었는지도 같이 기재를 한다면
지원자의 학력사항은 채용공고의 직무, 산업, 기업에 대해 한 층 더 관련성이 높아지는 것이죠
이렇게 단순 학력외에 학교생활에서 경험했던 모든 관련경험을 기술하여 나의 직무적합도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제 슬슬 여러분은 이력서를 어떠한 목적으로 적는지 감이 오실 겁니다
이력서는 산업, 기업, 직무관련도를 최대한 보여주는 나의 광고전단지 같은 느낌이죠
그럼 이제 EXPERIENCE 를 보도록 하죠
EXPERIENCE 는 정규직, 인턴, 파트타임, 계약직 혹은 과외활동에서 겪었던 직무관련 경험을 모두 기재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험들도 역시 채용공고에 나와있는 직무설명을 바탕으로 연관된 키워드를 기재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거기에 더해서 그러한 연관경험들을 수치적으로 구체적인 설명을 해주면 더욱 설득력있는 경험이 될 수 있죠
특히 국내기업에 제출하는 이력서에 비해 영문이력서에 경험을 기재할 때 가장 큰 자이점은 경험의 상세설명(Details)를 기술한다는 점입니다
경력을 쌓은 회사나 단체명, 기간, 직무 및 직책을 기재한 다음 아래 줄에 경험의 상세설명을 적으면 되는데요
이 때 해당 경력에서 보여줬던 성과와 프로젝트 내용을 인과관계로 기술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잘 만들어진 제안서를 통해 17개의 계약을 성공시켰다"나
"콜드콜 혹은 이메일 마케팅을 통해 잠재고객을 찾아내 55개의 새로운 영업기회를 발굴했다"와 같은 이야기를 적는거죠
결과 + 과정의 순서로 적으면 한 눈에 들어오는 경력 상세설명이 됩니다
이 상세설명은 주어(I)를 뺀 과거동사를 첫 단어로 해서 적으시면 되는데
아래 예문처럼 I 라는 주어를 빼고 Won 이나 Achieved 같은 과거 동사로 문장을 시작하면 되죠
이때 동사는 Action Verb 라는 능동적인 동사를 사용해 주시는 것이 좋은데
예를 들면 Talk 대신에 Communicate 를 쓴다거나 Help 대신 Assist 를 쓰는 등 조금 더 능동적인 고급단어가 Action verb 입니다
이 단어들은 다운받으실 수 있도록 하단 설명에 링크를 기재해 두었습니다
다만 일부 단어이므로 구글에서 Action verbs for resume 를 검색하시면 더 많은 단어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작성한 경력사항은 최신순 혹은 관련도 순으로 적을 수 있습니다
물론 통상적으로는 최신순으로 경력을 기재하기는 하나
관련도 순으로도 기재는 가능하므로 최신 경험보다 과거의 경험이 더 직무관련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관련성이 높은 순으로 경험을 기재할 수도 있다는 점도 참고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말그래도 자유이력서이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쓰이는 방식 외에도 더 좋은 이력서를 위해 포멧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자 이제 마지막 파트 CERTIFICATE \u0026 OTHER SKILLS 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곳에서는 관련 자격증, 그리고 자격증은 부여되지 않지만 스킬셋이 될 수 있는 관련 스킬을 기재하는 곳입니다
앞에서도 지겹게 많이 들으셨듯이 직무관련성과 산업관련성을 바탕으로 기재해야 합니다
그러니 너무 관련없는 자격증은 기재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재무관리자를 모집하는데 운전면허증 같은 자격증은 기재하지 않아도 되겠죠
대신 외국계기업이라 하면 외국어 관련 자격증이나
사무직일경우 오피스 프로그램 관련 자격증을 기재해 주시면 직무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도움되겠죠
예를 들어 콘텐츠 마케터를 모집하는 직무에는 포토샵이나 일러스트레이터 혹은 프리미어 프로같은 콘텐츠 관련 스킬을 기재해 주시면 더욱 관련성이 높아집니다
또 퍼포먼스 마케터를 뽑는 경우에는 구글 애널리틱스같은 분석툴을 기재해 두면 좋겠죠
물론 구글애널리틱스를 활용해서 직접 해본 블로그 제작이나 포토샵을 통해 만들어본 디지털 콘텐츠 등을
노션같은 포트폴리오 링크에 담아서 이력서에 추가를 해놓는다면 더욱 좋은 이력서가 될 겁니다
이제 이렇게 기본적인 이력서 틀을 완성하였으면
구글에서 English Resume Format 이라는 문구를 검색해 다양한 포멧을 다운로드 받아 적용해 지원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지금 보여드린 이력서 포멧은 제가 하단 설명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도록 링크를 남겨두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직무관련성 높은 좋은 이력서 작성하셔서 취업에 성공하시길 빌게요!
@inthiswork : 취업관련 질문 하러가기 : https://inthiswork.com/community
@user-kc7cg9fk8w : 안녕하세요! 올려주신 영상 참고하여 첫 레쥬메 작성을 쉽게 해낼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혹시 토익 성적의 경우 어떤식으로 작성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오픽의 경우 올려주신 양식을 참고하여 'Conversational level - OPIC IH certified in ~'이런식으로 작성하였는데 토익의 경우에는 말 그대로 'TOEIC(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 Total score 850 certified in~' 이런식으로 작성하면 될까요? 아니면 굳이 영어를 풀어쓰지말고 'TOEIC - Total score 850 certified in~' 이렇게만 적어도 될까요? 혹은 다른 작성법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gpt에 의존하니 어렵네요ㅠ
@user-el4lc2wv7b : 안녕하세요! 혹시 학교가 아닌 학원에서 배운 직무 관련 경험도 기재해도 될까요? 기재한다면 education에 써야할까요 아님 experience에 써야할까요?
@user-fb7tx4qd6l : 감사합니다. 덕분에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었어요!
@eyhwang6425 : 영문이력서 작성시 크게 도움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면접관이 5초만 봐도 합격시키고 싶은 자소서 작성법 3가지
이형님이 알려주는 방법으로 취뽀하는 [체인지업]
https://bit.ly/3wWZklk
자소서 가이드가 필요하다면 [자소서바이블 2.0]
http://bit.ly/3FdOHOb
60초만에 면접에서 합격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면접바이블 2.0]
https://bit.ly/3O4XPZ5
온라인으로 체계적인 취업, 이직준비를 하고 싶다면 [신흥학교]
https://bit.ly/3NmtTt6
스트리밍 안내와 구독자 이벤트 등 소식을 듣고 싶다면
공지방1: http://bit.ly/3VD0Lie (참여코드:0122)
공지방2: https://bit.ly/3vRx1ld (참여코드:2216)
* 제휴 문의 official@alivecommunity.co.kr
COPYRIGHT 2020. ALIVECOMMUNITY ALL RIGHTS RESERVED.
저작자와의 협의 및 동의가 없는 영상의 사용을 금합니다.
@leebro_interview : 취준하면서 어려운 점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컨텐츠로 다뤄볼게요~!
@mongsul2692 : 요약하자면 일단, 한게 있어야한다
@minsun6424 : [1] 상대가 듣고 싶은말로 작성하기! – 경험의 결과와 어떻게 (성과와 주요 액션을 결과중심적으로!) [2] 열심과 열정을 단어로 강조하지 않기 - 수치화, 근거 만들기 [3] WHY를 5번 이상 물어보고 쓴다 >> 이건 필살기를 정리하고 자소서를 쓰면서 계속 돌려봐야겠어요 잊지 않도록!
@applekim7320 : 어쩜 이렇게 취준생들의 멘탈을 보호하면서도 깨달음을 주시는지 대단하세요.
꼭 멘토랍시고 안그래도 너덜너덜한 멘탈을 후벼 파는 분들 많은데 요런 섬세한 화술에서 부터 이형님의 품격이 느껴지네요.
좋은 가르침 얻고갑니다 감사합니다.!!
@__life : [요약정리]
1. 내가 하고 싶은 말이 아니라 상대가 듣고 싶은 말 작성
★ 자소서 핵심포인트★ - 자서전이 아닌 자소서를 쓰자
: 나의 스토리를 나열 X, 상대가 알고 싶은 것 O
① 경험의 결과(Result) ② 어떻게 결과를 얻었나?(How)
ⓐ 두괄식 - 성과와 주요액션(핵심)을 맨 앞줄에 넣기
기승전결 X, 무조건 [두괄식]으로 읽기 쉽게
1:17 : 좋은 예
1:44 : 나쁜 예
ⓑ 결과중심적
2. 열심과 열정을 자소서에서 '단어'로 강조하려고 하지 않는다.
- 태도는 글(자소서)이 아닌 눈빛과 음성톤(면접)으로 어필해라!
"열심" "열정" "노력" 같은 단어는 추상적이라 검증할 수 없다.
※ 면접 - 자소서 : 면접과 자소서는 한 맥락이라고 생각하고 같이 준비
- 차이점 : 글(자소서)에서는 감정을 느끼기 쉽지 않다.
- 감정을 써놓으면 So What? 그래서 어쨌다는거냐? 결과가 뭐냐?
열정 - 구체적인 내용?
노력 - 핵심이 무엇인가?
→ 가장 좋은 방법은 "숫자"로 표현하기
3:16 나쁜 예
3:49 좋은 예 : "약 2000만원" 상당의 매출, "주 5회 이상" 소통
[근거 없는 자소서가 진부한 자소서다.]
3. why라는 질문을 5번 이상 물은 다음 작성한다.
- Drill down : 본인에게 '왜?'라는 질문을 해본다.
① 내가 이 경험을 통해 어떤 결과를 얻었나?
② 왜 아무 결과도 못 얻었나?
③ 진짜 아무 결과도 못 얻은게 맞나?
④ 사소한 결과라도 어떻게 내가 얻을 수 있었나?
⑤ 내가 한 행동들 중에 가장 고객을 만족시켰던 행동이 무엇인가?
→ 묻다보면 정말 중요한 핵심 알맹이들만 남게 된다.
5:43 나쁜 예
6:12 좋은 예 : 면접관이 알고 싶은 내용을 작성하는게 핵심!
사소한 정보까지 다 주려고 하지 말아라.
면접관은 결과, 핵심행동만 알고 싶어한다. 핵심만 남겨라!
저번에 올리겠다고 약속드렸던 영상... 드디어 올립니다! 모두 잘 활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이력서 템플렛: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x_Iq04LH0vJAZOdcOoXvBWkBhpeQIyq-?usp=share_link
@user-wf6rv2fj9v : 대학교 졸업반 취준생인데 이런 핵심만 담긴 영상 너무 좋아요✨✨
@shinhee5044 : 이게 바로 레쥬메 쓰는 방법이군요... 막학기 때 취업영어커뮤니케이션이라는 수업을 들으면서 한 학기 내내 레쥬메 쓰고 CV 쓰고 인터뷰 준비했던 게 정말 잘못된 방향이었다는 걸 깨닫고 갑니다 외국인 교수님이 템플릿도 창의적이게 하라고 해서 상단에 배너처럼 색깔 넣고 가로줄로 항목구분하고...ㅎ 알려주신 대로 비즈니스 용어로 변환해서 경험 푸는 작업을 해얄 것 같습니다. 소중한 영상 너무 감사드립니다
@user-kg3hq8kk6p : 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ㅎㅎ 인턴십 경험만 있는 대졸 신입도 예시를 토대로 이력서 작성해도 될까요? 보여주신 이력서는 경력직에 맞춘 이력서라는 느낌을 받아서요!
@yuan1984 : 정말 도움 되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reve78080 : 오랜만에 영상 감사합니다. 유용한 정보들이 많아 첫영상부터 재밌게 봤습니다. 싱가폴에 사는 구독자인데 팬이라 기회가 된다면 한번 만나뵙고싶네요. ☺️
외국계 취업을 위한 영문이력서 작성법? 이것부터 보세요!
#레쥬메 #샘플 #다운로드
영문이력서 샘플과 Action Verb 다운로드 하러가기: https://inthiswork.com/archives/9242
우수기업의 신입 및 주니어경력 채용정보 보러가기 : https://inthiswork.com/
취업관련 질문 남기기 : https://inthiswork.com/community
외국계기업에 처음 지원하실 때 많은 분들이 당황하는게 있습니다
바로 자유 이력서, 거기다 영문으로 된 자유이력서를 작성하는 것인데요
이미 우리는 대기업이나 공기업의 형식화된 이력서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그렇죠
구글에서 국문이력서만 검색해봐도 굉장히 많은 도식화된 이력서를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력서는 빈 칸에 요청된 정보만 입력하면 되는 거죠
그런데 외국계기업의 채용공고에서 본 영문 자유이력서라는 것은 굉장히 생소합니다
어떻게 작성을 시작해야하는지 부터 고민이 되기 시작하고
그래서 구글에 영문이력서를 검색하면 너무 많은 이력서포멧들이 나와 어디서 부터 시작해야할지를 모르죠
물론 구글에서 본 이력서를 참고로 작성할 순 있지만 이력서를 처음 작성하시는 분들이 어느정도 힌트를 얻을 수 있도록
어떤 정보를 기입해야하는 지 어떤 포멧을 구성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 오늘 설명드리려 합니다
먼저 영문 이력서는 Resume(레쥬메)라고 불리는 것과 CV라고 불리는 것이 있습니다
이 때의 CV는 Cover letter 가 아니라 (일부 오해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설명드립니다)
Curriculum Vitae 라는 것인데 경력기술서라는 것입니다 보통 학술적인 프로젝트와 연구성과들을 주로 담고 있는 문서죠
그리고 레쥬메는 본인의 학력, 경험, 역량을 포괄적으로 담은 문서입니다
신입과 주니어레벨에서는 Resume 와 CV 를 큰 차이없이 이력서라고 생각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국내에서는 레쥬메와 CV를 영문이력서의 개념으로 혼용해서 많이 쓰니깐 굳이 차이를 두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제 영문이력서의 종류를 아셨다면 레쥬메와 CV로 불리는 영문 이력서를 어떻게 구성하면 좋을지 설명드리겠습니다
구성요소는 크게 4가지 입니다
SKILL SUMMARY, EDUCATION, EXPERIENCE, CERTIFICATE \u0026 OTHER SKILLS
먼저 가장 상단에 이름과 연락처를 쓰시고 나면 그 다음 SKILL SUMMARY 를 작성하시게 됩니다
이 SKILL SUMMARY 는 여러분이 가지고 계신 역량의 핵심 키워드를 기재하는 곳입니다
특히 이 핵심 키워드는 여러분이 지원하고자 하는 공고에 맞게 3개~4개 정도를 기입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영업직에 지원하는 지원자분들은 보통 공고에서 Opportunity creation (혹은 Pipeline generation) 이라는 문구와
Energetic, Passionate 이라는 태도, 그리고 Presentation 과 Communication 같은 스킬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러면 이러한 문구에 해당 하는 본인의 경험과 역량을 SKILL SUMMARY 에 적어 인사담당자에게 나의 직무적합도와 차별점을 어필하는 거죠
SKILL SUMMARY 는 이력서의 가장 상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SKILL SUMMARY 를 어떻게 적느냐가 인사담당자가 본인의 이력서를 자세히 읽을지 말지를 결정하는 문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인사담당자가 찾는 사람인지 아닌지를 첫 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하는게 이 SKILL SUMMARY 라는 거죠
그렇기 때문에 이 SKILL SUMMARY 에 채용공고를 바탕으로 한 나의 직무적합도를 여실히 보여줘야 합니다
그렇게 작성된 SKILL SUMMARY 를 바탕으로 EDUCATION, EXPERIENCE, CERTIFICATE \u0026 OTHER SKILLS 를 작성하는 것이 영문이력서 작성의 기본입니다
그렇게 첫번째 이력인 EDUCATION 즉, 학력에 대해서 적어보도록 합시다
EDUCATION 에는 먼저 본인의 대학명과 전공명 그리고 입학년도 및 졸업년도를 기재하게 됩니다
물론 여기에 교환학생이나 해외연수 그리고 외국어 실력을 증명할 수 있는 외국어고등학교 졸업 등을 같이 기재해 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이곳은 학교명만 적는 곳은 아닙니다
학교생활에서 배웠던 직무스킬들을 같이 적는 곳이죠
예를 들어 마케팅 직군에 지원하는 지원자가 있다고 한다면 마케팅 관련해서 어떠한 수업을 듣고 과제를 했는지를 기술해야 합니다
또한 해당 기업이 모바일이나 리테일산업에 속한 스타트업이라고 한다면
모바일 / 리테일 / 스타트업과 관련해서 어떤 프로젝트나 수업을 들었는지도 같이 기재를 한다면
지원자의 학력사항은 채용공고의 직무, 산업, 기업에 대해 한 층 더 관련성이 높아지는 것이죠
이렇게 단순 학력외에 학교생활에서 경험했던 모든 관련경험을 기술하여 나의 직무적합도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제 슬슬 여러분은 이력서를 어떠한 목적으로 적는지 감이 오실 겁니다
이력서는 산업, 기업, 직무관련도를 최대한 보여주는 나의 광고전단지 같은 느낌이죠
그럼 이제 EXPERIENCE 를 보도록 하죠
EXPERIENCE 는 정규직, 인턴, 파트타임, 계약직 혹은 과외활동에서 겪었던 직무관련 경험을 모두 기재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험들도 역시 채용공고에 나와있는 직무설명을 바탕으로 연관된 키워드를 기재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거기에 더해서 그러한 연관경험들을 수치적으로 구체적인 설명을 해주면 더욱 설득력있는 경험이 될 수 있죠
특히 국내기업에 제출하는 이력서에 비해 영문이력서에 경험을 기재할 때 가장 큰 자이점은 경험의 상세설명(Details)를 기술한다는 점입니다
경력을 쌓은 회사나 단체명, 기간, 직무 및 직책을 기재한 다음 아래 줄에 경험의 상세설명을 적으면 되는데요
이 때 해당 경력에서 보여줬던 성과와 프로젝트 내용을 인과관계로 기술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잘 만들어진 제안서를 통해 17개의 계약을 성공시켰다"나
"콜드콜 혹은 이메일 마케팅을 통해 잠재고객을 찾아내 55개의 새로운 영업기회를 발굴했다"와 같은 이야기를 적는거죠
결과 + 과정의 순서로 적으면 한 눈에 들어오는 경력 상세설명이 됩니다
이 상세설명은 주어(I)를 뺀 과거동사를 첫 단어로 해서 적으시면 되는데
아래 예문처럼 I 라는 주어를 빼고 Won 이나 Achieved 같은 과거 동사로 문장을 시작하면 되죠
이때 동사는 Action Verb 라는 능동적인 동사를 사용해 주시는 것이 좋은데
예를 들면 Talk 대신에 Communicate 를 쓴다거나 Help 대신 Assist 를 쓰는 등 조금 더 능동적인 고급단어가 Action verb 입니다
이 단어들은 다운받으실 수 있도록 하단 설명에 링크를 기재해 두었습니다
다만 일부 단어이므로 구글에서 Action verbs for resume 를 검색하시면 더 많은 단어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작성한 경력사항은 최신순 혹은 관련도 순으로 적을 수 있습니다
물론 통상적으로는 최신순으로 경력을 기재하기는 하나
관련도 순으로도 기재는 가능하므로 최신 경험보다 과거의 경험이 더 직무관련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관련성이 높은 순으로 경험을 기재할 수도 있다는 점도 참고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말그래도 자유이력서이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쓰이는 방식 외에도 더 좋은 이력서를 위해 포멧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자 이제 마지막 파트 CERTIFICATE \u0026 OTHER SKILLS 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곳에서는 관련 자격증, 그리고 자격증은 부여되지 않지만 스킬셋이 될 수 있는 관련 스킬을 기재하는 곳입니다
앞에서도 지겹게 많이 들으셨듯이 직무관련성과 산업관련성을 바탕으로 기재해야 합니다
그러니 너무 관련없는 자격증은 기재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재무관리자를 모집하는데 운전면허증 같은 자격증은 기재하지 않아도 되겠죠
대신 외국계기업이라 하면 외국어 관련 자격증이나
사무직일경우 오피스 프로그램 관련 자격증을 기재해 주시면 직무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도움되겠죠
예를 들어 콘텐츠 마케터를 모집하는 직무에는 포토샵이나 일러스트레이터 혹은 프리미어 프로같은 콘텐츠 관련 스킬을 기재해 주시면 더욱 관련성이 높아집니다
또 퍼포먼스 마케터를 뽑는 경우에는 구글 애널리틱스같은 분석툴을 기재해 두면 좋겠죠
물론 구글애널리틱스를 활용해서 직접 해본 블로그 제작이나 포토샵을 통해 만들어본 디지털 콘텐츠 등을
노션같은 포트폴리오 링크에 담아서 이력서에 추가를 해놓는다면 더욱 좋은 이력서가 될 겁니다
이제 이렇게 기본적인 이력서 틀을 완성하였으면
구글에서 English Resume Format 이라는 문구를 검색해 다양한 포멧을 다운로드 받아 적용해 지원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지금 보여드린 이력서 포멧은 제가 하단 설명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도록 링크를 남겨두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직무관련성 높은 좋은 이력서 작성하셔서 취업에 성공하시길 빌게요!
@inthiswork : 취업관련 질문 하러가기 : https://inthiswork.com/community
@user-kc7cg9fk8w : 안녕하세요! 올려주신 영상 참고하여 첫 레쥬메 작성을 쉽게 해낼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혹시 토익 성적의 경우 어떤식으로 작성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오픽의 경우 올려주신 양식을 참고하여 'Conversational level - OPIC IH certified in ~'이런식으로 작성하였는데 토익의 경우에는 말 그대로 'TOEIC(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 Total score 850 certified in~' 이런식으로 작성하면 될까요? 아니면 굳이 영어를 풀어쓰지말고 'TOEIC - Total score 850 certified in~' 이렇게만 적어도 될까요? 혹은 다른 작성법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gpt에 의존하니 어렵네요ㅠ
@user-el4lc2wv7b : 안녕하세요! 혹시 학교가 아닌 학원에서 배운 직무 관련 경험도 기재해도 될까요? 기재한다면 education에 써야할까요 아님 experience에 써야할까요?
@user-fb7tx4qd6l : 감사합니다. 덕분에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었어요!
@eyhwang6425 : 영문이력서 작성시 크게 도움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면접관이 5초만 봐도 합격시키고 싶은 자소서 작성법 3가지
이형님이 알려주는 방법으로 취뽀하는 [체인지업]
https://bit.ly/3wWZklk
자소서 가이드가 필요하다면 [자소서바이블 2.0]
http://bit.ly/3FdOHOb
60초만에 면접에서 합격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면접바이블 2.0]
https://bit.ly/3O4XPZ5
온라인으로 체계적인 취업, 이직준비를 하고 싶다면 [신흥학교]
https://bit.ly/3NmtTt6
스트리밍 안내와 구독자 이벤트 등 소식을 듣고 싶다면
공지방1: http://bit.ly/3VD0Lie (참여코드:0122)
공지방2: https://bit.ly/3vRx1ld (참여코드:2216)
* 제휴 문의 official@alivecommunity.co.kr
COPYRIGHT 2020. ALIVECOMMUNITY ALL RIGHTS RESERVED.
저작자와의 협의 및 동의가 없는 영상의 사용을 금합니다.
@leebro_interview : 취준하면서 어려운 점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컨텐츠로 다뤄볼게요~!
@mongsul2692 : 요약하자면 일단, 한게 있어야한다
@minsun6424 : [1] 상대가 듣고 싶은말로 작성하기! – 경험의 결과와 어떻게 (성과와 주요 액션을 결과중심적으로!) [2] 열심과 열정을 단어로 강조하지 않기 - 수치화, 근거 만들기 [3] WHY를 5번 이상 물어보고 쓴다 >> 이건 필살기를 정리하고 자소서를 쓰면서 계속 돌려봐야겠어요 잊지 않도록!
@applekim7320 : 어쩜 이렇게 취준생들의 멘탈을 보호하면서도 깨달음을 주시는지 대단하세요.
꼭 멘토랍시고 안그래도 너덜너덜한 멘탈을 후벼 파는 분들 많은데 요런 섬세한 화술에서 부터 이형님의 품격이 느껴지네요.
좋은 가르침 얻고갑니다 감사합니다.!!
@__life : [요약정리]
1. 내가 하고 싶은 말이 아니라 상대가 듣고 싶은 말 작성
★ 자소서 핵심포인트★ - 자서전이 아닌 자소서를 쓰자
: 나의 스토리를 나열 X, 상대가 알고 싶은 것 O
① 경험의 결과(Result) ② 어떻게 결과를 얻었나?(How)
ⓐ 두괄식 - 성과와 주요액션(핵심)을 맨 앞줄에 넣기
기승전결 X, 무조건 [두괄식]으로 읽기 쉽게
1:17 : 좋은 예
1:44 : 나쁜 예
ⓑ 결과중심적
2. 열심과 열정을 자소서에서 '단어'로 강조하려고 하지 않는다.
- 태도는 글(자소서)이 아닌 눈빛과 음성톤(면접)으로 어필해라!
"열심" "열정" "노력" 같은 단어는 추상적이라 검증할 수 없다.
※ 면접 - 자소서 : 면접과 자소서는 한 맥락이라고 생각하고 같이 준비
- 차이점 : 글(자소서)에서는 감정을 느끼기 쉽지 않다.
- 감정을 써놓으면 So What? 그래서 어쨌다는거냐? 결과가 뭐냐?
열정 - 구체적인 내용?
노력 - 핵심이 무엇인가?
→ 가장 좋은 방법은 "숫자"로 표현하기
3:16 나쁜 예
3:49 좋은 예 : "약 2000만원" 상당의 매출, "주 5회 이상" 소통
[근거 없는 자소서가 진부한 자소서다.]
3. why라는 질문을 5번 이상 물은 다음 작성한다.
- Drill down : 본인에게 '왜?'라는 질문을 해본다.
① 내가 이 경험을 통해 어떤 결과를 얻었나?
② 왜 아무 결과도 못 얻었나?
③ 진짜 아무 결과도 못 얻은게 맞나?
④ 사소한 결과라도 어떻게 내가 얻을 수 있었나?
⑤ 내가 한 행동들 중에 가장 고객을 만족시켰던 행동이 무엇인가?
→ 묻다보면 정말 중요한 핵심 알맹이들만 남게 된다.
5:43 나쁜 예
6:12 좋은 예 : 면접관이 알고 싶은 내용을 작성하는게 핵심!
사소한 정보까지 다 주려고 하지 말아라.
면접관은 결과, 핵심행동만 알고 싶어한다. 핵심만 남겨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