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동도미노피자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에 없는 도미노피자 메뉴
#도미노피자 #버블티 #치즈버거
-인도의 도미노 햄버거 피자
-대만의 버블티 피자
-싱가폴의 국민요리 칠리크랩 피자
-미국의 치즈버거 피자
-프랑스 라클렛 치즈 피자
-영국의 초콜렛 피자
-일본의 피자 라이스 볼
BGM:WEARETHEGOOD - Mood
저작권 걱정없는 유료 음원 사이트 'Artlist'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하단 링크를 타고 들어가시면 연간 구독 +2개월의 혜택과 저도 +2개월의 혜택을 받습니다!
https://artlist.io/lee-258810
@user-ty5lp1zq6x : 도미노 이탈리아 철수는 놀랍네요ㅋㅋ
@skyhighseason2 : 0:00 인도 피자버거
0:34 대만 버블티 피자
1:08 싱가폴 칠리크랩 피자
1:47 미국 치즈버거 피자
2:13 프랑스 라클렛 치즈
3:08 영국 초카
3:39 일본 피자볼
@user-xf9qp9rn6t : 10몇년전 인도에서 도미노 가보니 피자에 도울 만든 뚜껑이 다 있더라구요 나름 깔끔하게 먹을수있어 좋았음
@unhyang3602 : 인도 도미노피자에서 오로지 파스타 토핑을 넣은 피자가 있어서 궁금해서 먹어봤는데 소스가 새콤 매콤해서 호불호 갈리겠더라고요
발상이나 식감은 재밌었는데 나중에 인도 가실 기회 있으시면 도전해보세요
@choco-water : 일본 피자볼 먹어봤는데 진짜 맛있어요 한국에도 내줬으면 좋겠음
감히 본고장에 도전장 냈다가...도미노 피자의 굴욕 [국경없는영상] / YTN
세계 1위 피자 브랜드 도미노 피자가 ‘피자의 본고장’ 이탈리아에서 사업을 철수했습니다.
도미노피자가 지난 9일(현지시간), 이탈리아에 둔 29개 지점을 모두 폐쇄하고 시장에서 철수했습니다.
지난 2015년, 도미노피자는 파인애플 등 미국식 토핑을 올렸다는 차별점과 빠른 배달 서비스를 강점으로 앞세워 이탈리아에 진출했습니다.
하지만, 도미노피자는 예상치 못한 난관을 맞닥뜨리게 됩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외식이 어려워지자 현지 피자 전문점들 역시 배달에 눈을 돌리면서 경쟁력을 잃은 겁니다.
또, 피자에 대한 자부심 강한 이탈리아인들에게 베이컨과 파인애플 등 미국식 토핑은 넘기 힘든 진입장벽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게 야심 차게 이탈리아에 도전장 내민 도미노 피자는 결국 7년 만에 무릎을 꿇고 말았습니다.
이에 대한 이탈리아 현지인들의 반응을 모아봤습니다.
@giovkang7305 : 우리 동네 근처에도 하나 있는데, 이제는 있었는데... 한국에서 먹던 도미노 생각하고 한 번 먹어보려고 했는데, 결국 못갔습니다. 가격은 그나마 좀 저렴했어요.
@jsb5877 : 이탈리아인들의 음식부심.커피부심은 세계인 누구보다 대단합니다.
아주 아집에 가까울 정도?
도미노,스타벅스...
발을 뺄수 밖에.
@seanpark1229 : 감히 권위자에게 도전하다니...
@user-cd1zn4yu5c : 이탈리아 피자 체인점 내도 되겠다..대박
@su_wei : 한국에 미국 다국적 프랜차이즈 "캘리포니아 돼지 국밥"이 들어온 격인가... 웬만하면 망할만하다.
[재택플러스] 1년 내내 할인하는 피자의 '비밀' (2021.09.24/뉴스투데이/MBC)
◀ 앵커 ▶
"포장은 50%, 한 판에 한 판 더" 피자업체 광고 전단지에서 한번쯤은 보셨을 문구죠,
그런데 오픈 기념이나 특별한 날 이벤트 정도는 이해가 가는데, 연중 상시 할인하는 곳은 도대체 피자 원가가 얼마인 걸까요?
"배달도 50%, 포장도 50%"
최근 국내 대형 피자 프렌차이즈 업체들이 너나할 것 없이 앞다퉈 가격인하 경쟁에 들어갔습니다.
내용만 보면 값 비싼 피자를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것 같지만, 속사정은 다르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마치 할인 혜택이 큰 것처럼 보이려고 애시당초 피자값을 비정상적으로 비싸게 책정해 뒀었다는 건데요.
이른바 가격 착시현상을 노렸다는 건데,
실제 한 피자업체가 새롭게 선보인 라지사이즈 피자 정상가격은 3만 5천900 원이지만, 엣지에 치즈를 추가하면 4만 900원이 되는데,
같은 피자를 배달로 시키면 4분의 1 값인 25%를 깍아주고, 방문 포장을 하면 무려 35%를 할인해 주고 있는 겁니다.
단순한 '배달 인건비'만큼 줄여주는 혜택으론 보기 어렵지 않냐는 의혹이 제기된 건데요,
피자 재료원가가 정확하게 공개되지 않은데다 피자 업체마다 고무줄 가격 정책이 만연하다보니,
소비자들 사이에선 '제 값 주고 피자 사 먹으면 바보'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돌 정도로 피자 가격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는 모양샙니다.
◀ 앵커 ▶
피자 가격 경쟁, 예전에도 몇 번 있었죠, 치킨집처럼 창업 진입 장벽이 비교적 낮다보니 경쟁도 치열해지다보니 생긴 현상일텐데,
먹거리는 무엇보다 소비자 신뢰가 중요하다는 점, 염두에 두면 좋겠습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today/article/6302599_34943.html
#재택플러스, #피자할인, #반값피자
@hamchang1173 : 30~50%의 할인가가 정상 가격인 건 짐작하고 있었습니다. 문제는 이 할인 가격으로 사 먹을 수 있는 사람이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인 것 같습니다.(사실상 가격 차별) 피자를 정가로 사 먹으면 바보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죠.
@user-fs9bg3nf1u : 피자한판 원가는 얼마안되므로 처음부터 굉장히 비싸게 팔았던것인데
마치 선심 쓰듯이 50%할인해서 큰 혜택을 주는것처럼 광고함
50%할인해서 파는것이 정상적인 가격임
@user-mf4lz4zg3q : 옛날 외국음식 귀하던 시대
지금은 흔하디 흔한 음식이 되었지만
아직도 왜 비싼지 이해가 1도 안되는
대표음식 피자 스파게티
@AjoC1828 : 한국에서 처음 피자장사를 시작했을때(피자헛)는 이게 배달이 안됐고 직접 가게로 찾아가 먹는 음식이었으머 셀러드바가 따로 주문하는것이 아닌 아예 처음부터 결합되어있는 현재의 빕스와 비슷한 형태의 가게였다.
그래서 당시대로 치고도 피자는 비싼편이었으며 일종의 뷔페(셀러드바의 규모가 지금보다 크고 다양했음) 형태였기때문에 비싼 가격도 어느정도 받아들여졌음.
근데 이게 포장시 셀러드바를 이용하지않으니 -20% 정도 할인율을 보였고 소비자입장에서 오 20%나 할인해줘?? 하면서 이용율이 점점 높아지며 나중에 이게 배달을 시작하면서 괴리가 시작됨.
@S2___ : 마지막 멘트 : 소비자와의 신뢰..
그딴 거 없어도 잘 팔리니 변화가 없는거겠죠...
우리나라만큼 베블렌 효과가 잘 먹히는 나라는 없을겁니다.
#도미노피자 #버블티 #치즈버거
-인도의 도미노 햄버거 피자
-대만의 버블티 피자
-싱가폴의 국민요리 칠리크랩 피자
-미국의 치즈버거 피자
-프랑스 라클렛 치즈 피자
-영국의 초콜렛 피자
-일본의 피자 라이스 볼
BGM:WEARETHEGOOD - Mood
저작권 걱정없는 유료 음원 사이트 'Artlist'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하단 링크를 타고 들어가시면 연간 구독 +2개월의 혜택과 저도 +2개월의 혜택을 받습니다!
https://artlist.io/lee-258810
@user-ty5lp1zq6x : 도미노 이탈리아 철수는 놀랍네요ㅋㅋ
@skyhighseason2 : 0:00 인도 피자버거
0:34 대만 버블티 피자
1:08 싱가폴 칠리크랩 피자
1:47 미국 치즈버거 피자
2:13 프랑스 라클렛 치즈
3:08 영국 초카
3:39 일본 피자볼
@user-xf9qp9rn6t : 10몇년전 인도에서 도미노 가보니 피자에 도울 만든 뚜껑이 다 있더라구요 나름 깔끔하게 먹을수있어 좋았음
@unhyang3602 : 인도 도미노피자에서 오로지 파스타 토핑을 넣은 피자가 있어서 궁금해서 먹어봤는데 소스가 새콤 매콤해서 호불호 갈리겠더라고요
발상이나 식감은 재밌었는데 나중에 인도 가실 기회 있으시면 도전해보세요
@choco-water : 일본 피자볼 먹어봤는데 진짜 맛있어요 한국에도 내줬으면 좋겠음
감히 본고장에 도전장 냈다가...도미노 피자의 굴욕 [국경없는영상] / YTN
세계 1위 피자 브랜드 도미노 피자가 ‘피자의 본고장’ 이탈리아에서 사업을 철수했습니다.
도미노피자가 지난 9일(현지시간), 이탈리아에 둔 29개 지점을 모두 폐쇄하고 시장에서 철수했습니다.
지난 2015년, 도미노피자는 파인애플 등 미국식 토핑을 올렸다는 차별점과 빠른 배달 서비스를 강점으로 앞세워 이탈리아에 진출했습니다.
하지만, 도미노피자는 예상치 못한 난관을 맞닥뜨리게 됩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외식이 어려워지자 현지 피자 전문점들 역시 배달에 눈을 돌리면서 경쟁력을 잃은 겁니다.
또, 피자에 대한 자부심 강한 이탈리아인들에게 베이컨과 파인애플 등 미국식 토핑은 넘기 힘든 진입장벽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게 야심 차게 이탈리아에 도전장 내민 도미노 피자는 결국 7년 만에 무릎을 꿇고 말았습니다.
이에 대한 이탈리아 현지인들의 반응을 모아봤습니다.
@giovkang7305 : 우리 동네 근처에도 하나 있는데, 이제는 있었는데... 한국에서 먹던 도미노 생각하고 한 번 먹어보려고 했는데, 결국 못갔습니다. 가격은 그나마 좀 저렴했어요.
@jsb5877 : 이탈리아인들의 음식부심.커피부심은 세계인 누구보다 대단합니다.
아주 아집에 가까울 정도?
도미노,스타벅스...
발을 뺄수 밖에.
@seanpark1229 : 감히 권위자에게 도전하다니...
@user-cd1zn4yu5c : 이탈리아 피자 체인점 내도 되겠다..대박
@su_wei : 한국에 미국 다국적 프랜차이즈 "캘리포니아 돼지 국밥"이 들어온 격인가... 웬만하면 망할만하다.
[재택플러스] 1년 내내 할인하는 피자의 '비밀' (2021.09.24/뉴스투데이/MBC)
◀ 앵커 ▶
"포장은 50%, 한 판에 한 판 더" 피자업체 광고 전단지에서 한번쯤은 보셨을 문구죠,
그런데 오픈 기념이나 특별한 날 이벤트 정도는 이해가 가는데, 연중 상시 할인하는 곳은 도대체 피자 원가가 얼마인 걸까요?
"배달도 50%, 포장도 50%"
최근 국내 대형 피자 프렌차이즈 업체들이 너나할 것 없이 앞다퉈 가격인하 경쟁에 들어갔습니다.
내용만 보면 값 비싼 피자를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것 같지만, 속사정은 다르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마치 할인 혜택이 큰 것처럼 보이려고 애시당초 피자값을 비정상적으로 비싸게 책정해 뒀었다는 건데요.
이른바 가격 착시현상을 노렸다는 건데,
실제 한 피자업체가 새롭게 선보인 라지사이즈 피자 정상가격은 3만 5천900 원이지만, 엣지에 치즈를 추가하면 4만 900원이 되는데,
같은 피자를 배달로 시키면 4분의 1 값인 25%를 깍아주고, 방문 포장을 하면 무려 35%를 할인해 주고 있는 겁니다.
단순한 '배달 인건비'만큼 줄여주는 혜택으론 보기 어렵지 않냐는 의혹이 제기된 건데요,
피자 재료원가가 정확하게 공개되지 않은데다 피자 업체마다 고무줄 가격 정책이 만연하다보니,
소비자들 사이에선 '제 값 주고 피자 사 먹으면 바보'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돌 정도로 피자 가격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는 모양샙니다.
◀ 앵커 ▶
피자 가격 경쟁, 예전에도 몇 번 있었죠, 치킨집처럼 창업 진입 장벽이 비교적 낮다보니 경쟁도 치열해지다보니 생긴 현상일텐데,
먹거리는 무엇보다 소비자 신뢰가 중요하다는 점, 염두에 두면 좋겠습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today/article/6302599_34943.html
#재택플러스, #피자할인, #반값피자
@hamchang1173 : 30~50%의 할인가가 정상 가격인 건 짐작하고 있었습니다. 문제는 이 할인 가격으로 사 먹을 수 있는 사람이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인 것 같습니다.(사실상 가격 차별) 피자를 정가로 사 먹으면 바보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죠.
@user-fs9bg3nf1u : 피자한판 원가는 얼마안되므로 처음부터 굉장히 비싸게 팔았던것인데
마치 선심 쓰듯이 50%할인해서 큰 혜택을 주는것처럼 광고함
50%할인해서 파는것이 정상적인 가격임
@user-mf4lz4zg3q : 옛날 외국음식 귀하던 시대
지금은 흔하디 흔한 음식이 되었지만
아직도 왜 비싼지 이해가 1도 안되는
대표음식 피자 스파게티
@AjoC1828 : 한국에서 처음 피자장사를 시작했을때(피자헛)는 이게 배달이 안됐고 직접 가게로 찾아가 먹는 음식이었으머 셀러드바가 따로 주문하는것이 아닌 아예 처음부터 결합되어있는 현재의 빕스와 비슷한 형태의 가게였다.
그래서 당시대로 치고도 피자는 비싼편이었으며 일종의 뷔페(셀러드바의 규모가 지금보다 크고 다양했음) 형태였기때문에 비싼 가격도 어느정도 받아들여졌음.
근데 이게 포장시 셀러드바를 이용하지않으니 -20% 정도 할인율을 보였고 소비자입장에서 오 20%나 할인해줘?? 하면서 이용율이 점점 높아지며 나중에 이게 배달을 시작하면서 괴리가 시작됨.
@S2___ : 마지막 멘트 : 소비자와의 신뢰..
그딴 거 없어도 잘 팔리니 변화가 없는거겠죠...
우리나라만큼 베블렌 효과가 잘 먹히는 나라는 없을겁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