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는가장빠른우주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타이거마스크 조회 7회 작성일 2024-01-14 15:35:03 댓글 0

본문

광속의 30% 속도로 비행하는 최첨단 우주선! 연료도 필요없다고? ㄷㄷ...

광속의 30%로 비행하는 우주선 성간 램제트, 버사드 램제트가 있습니다. 게다가 버사드 램제트는 이론적으로 연료도 필요 없다고 하네요. 도대체 이게 어떻게 가능할까요? 근 미래에 우리 인간은 버사드 램제트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요?
리뷰엉이 구독하기 https://goo.gl/CuJFLJ


참고 자료 및 서적 정보

https://web.archive.org/web/20060207221408/http://www.alt-accel.com/ramjet2.htm
https://www.defense.gov/News/Releases/Release/Article/3180755/tactical-high-speed-offensive-ramjet-for-extended-range-thor-er-team-completes/
@See_Far : 형 미안한데 나는 그동안 형을 수면제로 이용해왔어..앞으로도 수면제 영상 많이 부탁해~
@LutePride : 인터스텔라를 설명하려다 고차원의 리뷰엉이와 만나 과학유튜버로 승천한 전 영화유튜버
@gegard821 : 실현 가능성을 떠나 이런 과학적 아이디어들이 너무 좋음
@user-ue5qx9ey6s : 우주가 지금처럼 알려지지 않은 옛날 과학자들도 이렇게 천재적인 아이디어를 내는데 지금은 얼마나 더 천재적인 아이디어가 나왔을지 기대하며 곧 이런 이론들이 실현이 될 미래가 곧 다가오지 않을까 싶네요
@user-ow8cc9mf4x : 아직까지는 알쿠비에레 드라이브 이론이 우리가 추구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성간이동 방법으로 보이네요.
핵융합로가 개발된다고 해도 저걸 우주선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려면 엄청난 시간이 필요할태니 말이죠.

광속의 10% 속도까지 비행하는 원자력 우주선. 이게 정말 가능하다고?

우리 인간은 태양계 조차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문제는 역시 우주선의 속도다. 그런데 어느날 한 과학자는 원자력을 우주선 동력으로 사용자는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이름하여 프로젝트 오리온.

광속의 12%속도까지 낼 수 있다는 최첨단 우주선이 있다. 헐 개대박.


참고 문헌 및 서적 정보

https://www.classe.cornell.edu/~seb/celestia/orion/index.html
https://web.archive.org/web/20060103021446/https://ntrs.nasa.gov/archive/nasa/casi.ntrs.nasa.gov/19770085619_1977085619.pdf
http://large.stanford.edu/courses/2013/ph241/micks1/docs/aiaa-2000-3856.pdf
https://web.archive.org/web/20120310070123/http://www.brookings.edu/projects/archive/nucweapons/figure1.aspx
https://www.bibliotecapleyades.net/ciencia/ciencia_uranium27.htm
@YTNSC : 과학인재가 있다고 해서 와봤습니다. 저희 채널로..스카우 ㅅ.. 아 아닙니다.
@ilovewangjazi : 항상 느끼는 건데 목소리도 좋으시고 어려운 과거사나 이런것도 잘 요약하시고 이해력도 좋으신게 영화리뷰하면 정말 대박이실듯 ㄷㄷ
@misti0101 : 새턴5와 팰컨9(헤비)의 연료는 같은 걸로 압니다.
둘 다 RP-1(등유)에 산화제로 액체 산소를 쓸 겁니다.
효율 차이는 연료가 아니라 그동안의 기술적 발전으로 나는 겁니다.

팔콘9(헤비)에 사용된 멀린 엔진의 초기형은 구 소련의 소유즈 우주선에 쓰인 RD-107의 카피형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 때는 새턴5와 별 차이가 나지 않았겠죠. 하지만 그 엔진을 계속해서 개량하고 연구한 끝에 지금의 효율이 나온 겁니다.
아마 영상에서 새턴5로 지칭하는 방식은 1단의 F-1엔진일 겁니다. 미국은 큰 엔진 몇 개를 다는 선택을 했고, 소련은 소유즈에서도 실패한 N1에서도 작은 엔진을 여러 개 다는 선택을 했습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미국이나 소련이나 진공상태에서 쓰이는 엔진의 설계 사상은 크게 다르지 않지만 지상에서 쏘아올리는 데에는 차이가 있었습니다. 두 방식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고, 이 둘을 온전히 비교한다는 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하나만 짚고 넘어가자면, F-1엔진은 하나의 엔진에서 막대한 추력을 발생시키고, 노즐의 크기도 커서 1단임에도 상당한 진공 효율을 가진 엔진입니다. 반면에 RD-180이나 멀린 엔진은 노즐이 작아 당장 대류권에서는 효율이 좋겠지만 성층권만 가도 차이가 나게 됩니다. 이론상 진공상태에서 엔진 노즐의 크기는 크면 클수록 효율적인데, 그렇지 못한 엔진이기 때문에 공기가 희박해질수록 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뭐 하지만 F-1엔진의 단순 효율은 확실히 멀린 엔진보다 떨어질 겁니다. 애초에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엔진을 최적화하니 설계 상황에서만 쓰인다면 진공 효율은 상관이 없겠죠.
로켓에 미쳐있는 한 사람으로서 그냥 한 마디 하고싶었습니다.
@user-mg7pk7fs4o : 1963년 핵으로 우주관련 연구를 막은 것도 문제였겠지만.. 예전에 다큐멘터리 보니까, 비행기나 전투기에도 원자력을 금지하고 안 쓰기로 미국과 소련? 각국의 나라가 합의했다고 한 게 기억나네요.
비행기나 전투기가 비행 혹은 전투시에 추락할 경우 추진원료가 원자력, 즉 핵이기 때문에 피해가 너무 클 수 있단 이유때문으로요.
원자력으로 움직이는 핵항공모함은 문제가 발생시에 바다 속으로 침몰되어서 민간인의 피해가 최소되는 것과 달리, 비행기와 전투기는 추락시에 민간지역의 피해가 너무 클 수 있다는 이유로 막은 것으로 기억합니다.
우주선에는 사고만 안 난다면 대기권 밖이니까 괜찮을 것 같네요. 아직 원자력을 대체할 에너지원이 없으니까요.
@user-se2yp9mx8b : 주말 아침부터 과학을 알려주는 엉이님 ㅋㅋㅋ 열일하시네요! ㅋㅋㅋ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1초를 간다면?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1초를 간다면?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1초를 간다면 어떨까요? 사실 그건 어렵습니다 빛의 속도는 1초에 30만 km를 갈수 있기 때문에 1초에 지구를 7바퀴 이상 돌수 있는데요 그래서 지구를 한바퀴 도는데 0.13초밖에 걸리지 않죠

저에게 좋아요와 구독은 많은 힘이됩니다~

경선 Joshua Kim
페이스북/Facebook: https://www.facebook.com/kyungsun.j.kim
인스타/Instagram: https://www.instagram.com/kimkyu20/
트위터/Twitter: https://twitter.com/kimkyu20
@1minute_shorts : 말했던 유튜버의 영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1BTxxJr8awQ&t=47s
@user-iv4vq1tb8o : 우주는 빛의 속도로 1억년을 날아가도 끝이 아닌데 진짜 대단하다
@Kyotaro_ : 음속도 인간한테는 진짜 빠른건데...
@komachi9897 : 사실 내가 한 걸음을 걸은게 아니라 지구를 7바퀴 정도 돌고 왔을 뿐이야.
@cos8925 : 실제로 아광속으로 이동하면 적색편이(도플러 효과와 비슷합니다)로 색도 다르게 보이고 가운데 부분을 제외하면 모두 검게 보일겁니다. 물론 시간도 팽창하겠죠

... 

#지구는가장빠른우주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366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