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북와이브로요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동대문시장 조회 7회 작성일 2024-01-29 23:54:26 댓글 0

본문

[과학본색]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와이브로…제한속도 낮추면 사고 줄까? / YTN 사이언스

[앵커]
화제의 뉴스를 골라서 과학 기자의 시선으로 분석하는 '과학 본색' 시간입니다.

오늘은 양훼영 기자와 함께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떤 이야기를 나눠볼까요?

[기자]
올해 말까지 서비스를 종료하겠다고 말한 와이브로라는 통신 서비스가 있거든요. 이 이야기를 먼저 해볼까 합니다.

[앵커]
SK텔레콤과 KT가 올해 말까지 와이브로 서비스를 종료하겠다고 발표했는데요. 우선 서비스를 이용하던 고객들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기자]
SK텔레콤은 12월 31일, 올해 말까지만 와이브로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2019년 1월 1일 자정부터 모든 서비스를 정지시키고, 비 과금 처리됩니다.

KT의 경우, 서비스 종료에 따른 고객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돌아오는 16일 오전 10시부터 차례로 서비스를 종료하겠다고 했는데요.

두 통신사는 기존 와이브로 가입자들이 LTE로 잘 넘어갈 수 있도록 데이터를 불편 없이 쓸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LTE 전환에 따른 신규 단말기를 사야 하는데 그걸 무료로 지급하기로 했고요, 만약 더 이상 이 서비스를 사용하고 싶지 않을 수 있잖아요.

그래서 해지하면 원래 위약금이 발생하잖아요. 그 위약금이나 단말기 잔여 할부금 등을 모두 면제해주는 방식으로 처리하기로 했습니다.

[앵커]
기존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최대한 서비스를 해주는 것 같은데요.

와이브로라고 하면 예전 2010년대 초반에 노트북 USB 포트에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 꽂거나 에그, 이런 것들이 와이브로 서비스인가요?

[기자]
네. 맞습니다. 와이브로라는 건 무선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2002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와 삼성전자가 함께 주도해 개발한 순수 토종 통신 기술입니다.

옛 정보통신부가 한국의 미래 10년을 책임질 IT 기술로 야심 차게 개발에 착수하고 지원했던 사업인데요.

2005년에 세계 최초로 와이브로 상용 시스템이 개발됐고요, KT와 SKT는 1년 만에 상용화 준비를 잘 끝낸 덕분에 2006년 6월 서울에서 세계 최초로 와이브로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이후 2007년 10월에는요, 국제전기통신연합 ITU라고, 국제 표준을 정하는 회의인데, 여기에서 와이브로가 3세대 이동통신 중에서도 6번째 국제표준 기술로 채택되면서 차세대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를 굉장히 많이 했습니다.

[앵커]
한때는 굉장히 인정받는 기술이었던 셈인데, 그럼 와이브로가 3G나 4G LTE하고 어떤 점이 다른 건가요?

[기자]
우선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쓸 수 있다는 점에서 와이브로나 3G나 LTE처럼 똑같은데요.

와이브로 같은 경우 최대 전송 거리가 이론적으로 1km 정도 된다고 하고요, 시속 120km로 달리거나 움직이는 차 안, 공간 안에서도 끊기지 않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와이브로 개발을 시작했던 2002년만 해도 데이터 속도가 사실 와이브로가 가장 앞섰던 기술이에요.

LTE가 상용화된 게 2011년이기 때문에 와이브로는 상용화 시기만 두고 봐도 5년이나 앞섰던 굉장히 빠른 기술이었죠.

그래서 와이브로를 3.5세대 이동통신서비스라고도 언론에서 불렀는데요.

당시 와이브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40Mbps로 저희가 그 당시 핸드폰에서 쓰던 3G보다 3배 정도 빠른 속도를 보였다고 합니다.

[앵커]
그렇게 말씀하시니까, 체감되는데요.

우리나라가 최초로 개발해 세계 상용화를 꿈꿨던 와이브로 서비스가 왜 결국 종료하게 된 걸까요?

[기자]
2011년에 상용화된 LTE, 지금 거의 대부분 사람들이 LTE를 쓰고 있잖아...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u0026s_hcd=0017\u0026key=201812101616325304
@r55ification : 제한속도 줄이는거 무인차 운행을 위해서 미래에 무인차만 운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행자 안전도 포함이지
@mywar7 : 단말기 무료지급 한번도 온적도 없고 위약금도 없고 5500원에 30기가인데 내가왜 이걸 내손으로 해지하고 10기가에 11000원에 기계값을 내야되는지 속도도 와이브로 속도 그대로고 홍보할 시간에 보상이나 재대로 해주면 좋겠네...
@bbiri_deux : 와이티엔 말을 믿으면 골로가지
@mekopark3201 : 3g속도 얼만진 알고 3배 거리나 ㅋㅋㅋ 그시절 3g 는 wcdma 가 대부분이라 메가 단위도 못내는곳 천지였음. 거기다 lte가 3g에서 중계기 속도만 올리는 방식이라니 ㅋㅋㅋ 같은 가솔린이라고 티코에서 엑셀만 밟으면 페라리 쫓아간단 소리나 다를게 없음. lte도 중계기 바꿔야했고 심지어 이동 데이터기술 미비로 와이브로 기술 끌어다 복붙했었구만 ㅋㅋㅋ VoLTE 가 뭔지 알고 음성통신 어쩌구 중이신가? 심지어 현재도 VoLTE 지원 안되는 폰이나 국가도 많은데. 뭣보다 3g조차 volte처럼쓰는 3g hd 가 나왔었고 와이브로는 애초에 데이터서비스라서 음성채널 문제랑은 별개로 운영 가능했음.

그런거 다 떠나서 LTE 조차 초반엔 75메가 속도 못냈음 ㅋㅋㅋ 그거 넘긴건 lta-a가 나오고 나서나 나올 이야기지. 그것도 '그 속도만 올리면 된다는 기지국'문제로 음영지역 천지였고.

와이브로가 망한 진짜 이유는 그냥 투자는 없고 요금제는 너무 싸서지. LTE대비 20배나 싼 요금제인데(고액 100기가 요금제가 프로모션 받으면 3만 얼마로 훨씬 더 싸져버리고ㅋ) 전국망 서비스까지 투자가 이뤄지지도 않았고 이걸 이끌던 정통부는 명박이가 해체시켜버렸잖아. 그래서 정통부가 주관하던것들이 싹다 자빠진거고 ㅋㅋㅋ 그럼에도 이후 와이맥스 200Mbps 까지 상품 만들었었다.

wibro와 wi fi의 차이점이 뭔가요?

wibro와 wi fi의 차이점이 뭔가요?

와이브로넷북

와이브로 넷북 hp 미니 가입시, 대형밧데리 한개더 증정.

... 

#넷북와이브로요금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354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