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잘하는 비법
페이지 정보
본문
(ko, vi)수학 스타강사가 가르쳐주는 공부 잘하는 비법 | 정유빈 EBS 수학 대표강사, YTN 수다학 전문패널 | 공부 수학 시험 공부법 | 세바시 1138회
✻ 강연 소개 : '자뻑'이 심한 학생과 성실하게 '찍는' 학생이 있었습니다. 둘 다 공부와는 거리가 멀었던 학생인데요. 수학을 잘할 수 있는 비결의 힌트가 이 두 사람에게 있었습니다. 수학을 잘 공부할 수 있는 세 가지 비결, 함께 알아봅시다!
✻ 정유빈 강사의 강연 섭외는 세바시 홈페이지로 문의주세요! ☞ https://sebasi.co.kr/speaker/610 (좌측 메뉴 '섭외요청' 클릭)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http://bit.ly/2odEydm
✻ 세바시 콘텐츠의 A 부터 Z까지 누릴 수 있는 유튜브 멤버십 http://bit.ly/2URQKU4
✻ 가장 빠른 세바시 강연회 신청 https://apply.sebasi.co.kr
✻ 세바시 홈페이지에서 강연회와 연사들의 다양한 강의를 만나보세요! ☞ http://www.sebasi.co.kr
세바시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sebasi15
세바시 인스타그램 | http://www.instagram.com/sebasi15/
세바시 카카오스토리 | http://story.kakao.com/ch/sebasi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한국어/베트남어 자막 : 세바시 열린번역 크루 3기, 권수진
@sebasi15 : ✻ 강연 소개 : '자뻑'이 심한 학생과 성실하게 '찍는' 학생이 있었습니다. 둘 다 공부와는 거리가 멀었던 학생인데요. 수학을 잘할 수 있는 비결의 힌트가 이 두 사람에게 있었습니다. 수학을 잘 공부할 수 있는 세 가지 비결, 함께 알아봅시다!
✻ 정유빈 강사의 강연 섭외는 세바시 홈페이지로 문의주세요! ☞ http://sebasi.co.kr/speaker (좌측 메뉴 '섭외요청' 클릭)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http://bit.ly/2odEydm
@user-of6gk9hq6n : 어 이분 그 그림그리실때 눈치보시던... 유튜브의 알수없는 알고리즘에 의해 보게된 영상에서 본 분인데 이런 분이셨구낭
@eel5290 : 내가혼자 이걸풀다니~하는 희열을 느끼는순간 풀때마다 자신감이 생기고 설령 틀렸다해도 담에 이문제를 틀리지 말아야지 하는 오기도 생겨요
@user-zw8bz3bv4u : 1.자뻑 칭찬 2. 의지가 있어야 함 3. 흐름을 이해 = 논리적으로 흐름을 이해하는 것
@user-yx2np6mt2u : 수학문제를 풀때 무조건 이 문제를 어떻게든 풀겠다는 마음으로 임해야하는 것 같습니다. 모르는 문제라도 답지를 보지 않고 몇일동안 풀면서 문제 해결력을 점점 늘리는 것이 본질적인 공부인 것 같습니다.
공부가 안된다? 여러분 탓이 아닙니다. 방법을 안 가르쳐줘서 그래요. 연구원만 300명 배출한 교수가 공부 비법 3가지를 알려드립니다! 공부 잘하는 법 / 공부법/ 학습코칭
[아이캔대학 2023 가을학기] 얼리버드 수강생 2만원 할인 중!
https://vo.la/HC71E
김교수의 매일 5분 강의 (유튜브 멤버십)
https://vo.la/tzeiL
이룸 모닝루틴
https://vo.la/utZsW
[거인의 노트] 자기계발 분야 베스트셀러
https://vo.la/gnE8K
공부해야 하는 건 알지만 재미도 없고
해봐야 성과도 잘 나지 않는 느낌..
모두 한 번쯤은 경험해보셨거나,
지금도 같은 문제를 겪고 계신 분들이 꽤 많으실 것 같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성과를 내는 공부형 인간이 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3가지 공부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김익한명지대교수 #공부법 #공부잘하는법 #공부체크리스트 #자격증공부 #성적잘받는법 #아이캔유튜브대학
@ican : [아이캔대학 2023 가을학기] 얼리버드 수강생 2만원 할인 중!
https://vo.la/HC71E
@minso131 : 감동적이었어요~~~~~
@jaeboumkim1213 : 교수님, 감사합니다!
——————————-
#공부가 안되는 이유
-> 원래 정말 힘들고 어려운 것이라는 점을 관과하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공부는 그 어려운 장벽을 넘어 자유를 획득하는 것
-> [장벽에 가로 막혔다 => 답답, 넘고 싶은 욕구 강해 => 이렇게 저렇게 시도 => 방법 찾았다] => 넘는 행위[ ] 반복 => 넘었다 희열
-> 하기 싫은 걸 억지로? => 공부 X.
-> 명확한 장벽 넘기 전략 없이 대충 무계획? => 공부 X.
#스스로 체크 포인트 3가지 => 아래 세가지 모두 긍정 답 나와야 공부 가능한 것
(1) 지금 이것을 공부하는 이유는? 장벽, 자유인가 확인.
-> 욕구의 진정성, 강도 체크
(2) 공부하는 방법 찾아 구체적인 계획 수립? <= 꼭 체크 해야 함.
-> 방법도 없이 그냥 미련하게 공부하는 것은 하나마나다.
(3) 몸에 익히기 위해 반복, 지속하고 있나?
ex) 3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반복하고 있나?
#공부가 잘 안되는 현상 3가지
(1) 시작이 안 된다. => 욕구는 있는데 벌떡이 안 됨. 욕구의 절박성 약함, 혹은 타인(엄마)의 욕구
(2) 하기는 하는데 집중이 안 된다.
-> 공부는 [이해 -> 새로운 깨달음 -> 재미] 가 동반되어야 함.
-> 형식적 공부는 이해X 남는것X 재미X
(3) 지속이 안 된다 => 작심 3일
==> "펵 시작"해야 하고 "집중"해서 "지속"하는 것이 공부
#공부가 잘 안 되는 것을 극복하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
-> 공부가 뭔지 몰라서 그렇다. (정말 의외로 공부가 뭔지 모르는 사람 많아)
-> 그 본질을 이해해서 시행하면 문제 극복 가능
#공부는 장인 공(工) 아비부(夫)
-> 공은 장인, 반복 단련을 통해 아주 익숙해진 기능인 같은 상태 만드는 것
-> 부는 아미 혹은 선생, 알려줄 수 있는 사람
=> 공부는 "반복"해서 기능을 완전히 "익히고" 그걸 다른 사람에게 사랑으로 "말"해줄 수 있는 상태
** 주의점: 그냥 대충 이해하고 "나 공부했다?" 이것 아님
=> 장인들도 머리로도 이해, 몸이 자동적으로 행함 : 자유의 쟁취
=> 대충하고 이해했다 라는 공부 경험 누적되면, 공부의 실효 잘 못 느낌 => 동기의 강력한 강도 유지 못하게 됨.
공부의 원래 뜻, 장인과 같은 상태. 그것을 공부한 것을 결과로 해서 실행해보니 너무 좋은 상태
"나는 굉장히 유능한 사람으로 움직일 수 있다." => 이것을 실제로 경험 => 현재 느끼는 장벽을 넘는 것(공부)이 나에게 자유를 줄것이라는 생각의 강도를 높여줄 수 있다.
#공부 잘하는 방법 세가지
(1) 동기의 구체화, 강도 최고조로 만들어주기
ex) 부동산 중계사 시험에 합격? -> 장벽이 아님
-> 실제 장벽은 내가 부동상 중계사가 되었다고 가정할 때, 고객에게 서류를 원할하게 작성해줄 수 있도록 배경지식이 있어야 한다. 즉, 거래양식 처리라는 벽을 넘기 위한 공부 --> 자유를 획득(거래양식을 능수능란하게 작성할 수 있다.) => 이런것이 공부의 목표이어야 한다.
-> 이런 목표를 절절하게 느껴야 공부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ex) 회사에서 어떤 일이 익숙치 않아 --> 과제들 셋팅 --> 벽 넘기 공부 계획 --> 유능한 사람이 된다. (동기)
-> 동기를 구체화 해야 동기를 최고조로 만들 수 있다.
(2) 깨달음과 숙련하기
-> 대충 이해하고 넘어가면 안됨.
-> 생각하면서 공부, 공부한 것을 써보기, 또 되니어보기 등 반복해서 완전 숙련공, 장인 되기가 실현 된다.
-> 이해하고 외우고 되뇌이지 않는 공부는 공부가 아니다.
=> 암기 없이 그냥 대충 이해하는 식의 공부는 반드시 고쳐야 한다.
=> 완전히 자기것이 되어 숙련공이 되려면 몸에 착 붙는 지식을 만들어야 공부하는 것이다.
(3) 자유 확인하기
ex) 내가 거래 관련 서류 능수능란한지 실제 가상해서 써본다.
ex) 내가 그 회사일 이제는 자신있게 능수능란하게 할 수 있는지 실제로 실행하여 느껴보아야 한다.
-> 낮은 단계는 말해보기, 써보기 나아가서 실행하면서 자유 느끼기
[노트 -> 카드에 써본다. -> 말해보기] * 반복
#공부 잘 하고 있는지 확인위해 추가적으로 체크할 지점
(1) 공부가 몸에 익는지 체크 해야 함. --> 공부는 정신, 육체 모두 동원되어서 이루어 짐. --> 머리속 익숙해 지는 것을 넘어서 몸에 익숙해져야 한다.
(2) 긍정적 생각 --> 공부의 결과가 나에게 긍정 될 때 더 공부에 더 집중적으로 할 수 있다.
-> 작은 아웃풋을 자주 설계하는 것 필요
ex)2시간 진도 -> 아웃풋 지식 이해 했는지 말 했는지 확인, 아웃풋 구체적 설계 -> 그 결과에 대한 확신 -> 공부에 더 집중
#공부를 못하는이유!
- 의외로 공부를 가볍게 보고 진검승부라는 것을 모른다.
- 공부를 너무 가볍게 보거나 두루뭉술하게 보는 테도
@user-tt7de6ii9d : 안녕하세요 교수님 현재 군대에 입대해서 남는 시간이나 자투리 시간에 교수님 책과 유튜브 영상 챙겨보는 현역장병입니다. 저도 나름 재수도 해보고 기타 여러 시험에 응시한 경험이 제법 되는데 , 그때마다 시험에 가까이 갈수록 마음에 조급함이 더 심해지면서 제대로 된 공부법을 이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예를 들면 마음이 조급해지면서 여유가사라지고, 평소 습관을 잘 이행하지 못하고 무작정 진도만 빨리 나가게 되더라구요.. 교수님도 혹시 비슷한 경험이 있으시다면 이를 소재로 한 영상을 만들어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tl5we7ho3j : 공부의 핵심은 반복하여 눈에 익힌 다음에 얼개를 잡는 겁니다.
그리고 그것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 Time to Performance 입니다.
그래서 의대생들이 암기는 제일 뒤로 하고 맨 처음 하는게 기출문제부터 푸는 거고요.
간단한 예를 들어 일본어를 정복하고자 한다면 학원에 가는 게 아니라 먼저 JLPT 기출단어장 3000 단어장 책 사서 정독으로 10번 빠르게 반복해서 보는 겁니다.
열한 번째 부터 아는 단어는 젖히고 모르는 단어만 체크해서 3000 단어를 마스터 할 때까지 줄여나가는 겁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하는 게 두꺼운 JLPT 1급 문제집을 사서 오답 문항지문은 읽지도 않으면서 빼고 정답 문항지문만 정독하면서 정답지문 전체를 아예 노랑 형광펜으로 마킹합니다.
그리고 답안지는 버립니다.
그렇게 마킹한 상태 그대로 JLPT 1급 문제집 전체를 정독으로 문제와 답만 3번 가볍게 훑어봅니다.
그다음 모든 문항 지문들을 노랑 형광펜으로 정독하면서 전체 마킹 뒤 이제는 분홍형광펜으로 번호만 점 찍어 문제 푸는 형식으로 책 한 장 문제를 다 풉니다.
분홍형광펜으로 전체 채점하여 맞는 것은 동그라미 틀린 것은 선 긋습니다.
※ 단 찍어서 맞힌 것은 맞아도 틀림으로 표시합니다.//
다시 틀린 문제만 정독하면서 정답 오답 구분 없이 분홍형광펜으로 문제 번호들 전체 마킹, 그리고 재차 녹색 형광펜으로 분홍형광펜이 틀렸다는 것만 푸는데 이번에는 녹색 형광펜으로 번호만 점 찍어 문제 풀고 녹색 형광펜으로 전체 채점하여 맞는 것은 동그라미 틀린 것은 선 긋습니다.
여기까지 하면 책 한 권을 한꺼번에 두 번 훏어보는 건데.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이번에는 파랑 형광펜으로 세 번, 책 한 권 전체를 한꺼번에 훏어 봅니다.
그리고 여기서 틀린 문제는 더는 풀지 말고 틀린 문제 바로 하단의 공백 부분에 서술형 문장으로 바꿉니다.
그런데 빈칸 채울 문장이 길다 싶으면 자릅니다. 문장이 길다 싶으면 “비타민 D는 ( ) 과 ( ) 의 흡수촉진, ( ) 의 정상적인 발육에 관여한다. 그리고 결핍 시, ( 구루병 )병, ( 골연화 )증, ( 골다공 )증이 생긴다.”
이렇게 윗부분만 빈칸 채우기 만들고 아래 빈칸 채우기는 답을 적어 보입니다.
이런 식으로 책 전체를 가볍게 정독하면서 10번을 봅니다.
다음에는
“비타민 D는 ( 칼슘 ) 과 ( 인 ) 의 흡수촉진, ( 뼈 ) 의 정상적인 발육에 관여한다. 그리고 결핍 시, ( )병, ( )증, ( )증이 생긴다.”
이렇게 아랫부분만 빈칸 채우기 만들고 위 빈칸 채우기는 답을 적어 보입니다.
이것 또한 위와 같은 식으로 책 전체를 가볍게 정독하면서 10번을 봅니다.
복잡한 문장이나 수식은 한꺼번에 빈칸 채우기를 하지 말고 될 수 있으면 따로따로 분리해서 간단하게 만들어 서로를 부분으로 만든 다음 채워 넣기를 합니다.
10번 반복 이후에도 빈칸에 답을 못 적으면 두꺼운 책의 틀린 문제 부분에 인덱스를 달아 문제 번호를 쓰고 다른 건 보지 않고 인덱스 단 부분만 들춰서 맞춘 건 인덱스를 뜯고 틀린 건 인덱스를 붙여 둔 채 마지막 한 문제라도 다 빈칸 채우기를 할 수 있을 때까지 무한반복 합니다.
여기까지 오면 대략 얼개가 잡힙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JLPT 1급 실전 모의고사 문제집 ( 5회분 ) 사서 앞에 서술한 방법 그대로 하면 됩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중요한 게 몰입과 집중입니다.
하루의 목표를 세울 때 “3시간 하고 30분 쉬자”가 아닙니다. “아침 9시부터 저녁 10시까지 책 한 권을 훏어보자” 입니다.
이렇게 온종일 몰입과 집중이 이루어지고 그 다음 날에 무조건 쉬는 겁니다.
쉬는데 그냥 집에서 어슬렁거리지 말고 오전에는 한강 자전거도로 가서 한 시간가량 자전거 타고 저녁에는 복싱장 이나 격투기장 가서 2시간 죽어라 운동하는 겁니다.
하루 공부하고 하루 쉬는 걸 반복합니다. 공부를 농구 처럼 하는 거지 마라톤 처럼 하지 말라는 겁니다.
마지막으로 빠른 스피드와 즐거움입니다.
공부는 암기가 아닙니다. 공부는 반복입니다.
“공부는 암기다” 라고 생각하는 그 순간부터 고통이 시작됩니다.
앞서 언급 했듯이 우리가 농구를 할 때는 늘 긴장하게 되지요. 왜냐하면, 공격이든 수비이든 간에 앞 사람을 뚫던지 막아야지요. 근데 따분해하지 않습니다.
워낙 일이 매우 급하게 돌아가기 때문에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몰두하게 되어 있습니다.
위에 설명을 보면 암기하라는 말은 없습니다. 가능하면 빨리빨리 문제를 풀라고 합니다.
그리고 반복하라고 합니다. 문제를 풀면서 이벤트가 일어나고 그 문제에 대해 채점을 하면서 피드백이 이루어집니다.
빠르게 문제를 풀거나 반복하면서 지루한 틈을 주지 말라는 겁니다.
아기가 부모에게 아빠, 엄마라고 부를 때 보통 아기는 부모에게 아빠, 엄마라는 말을 최소한 100번 이상 듣는다고 합니다.
어느 날 아기가 부모에게 “아빠, 엄마” 라고 듣고 머릿속에 외워서 내뱉는 말이 아니라는 겁니다.
끊임없이 반복하여 뇌에 각인시킨 후에 그제야 아기는 “아빠, 엄마” 라는 말을 합니다.
공부 또한 그러합니다. 공부는 익히는 거지 암기가 아닙니다.
맨 처음 공부할 때 정독도 지겹다. 그러면 속독부터 하세요. 그리 한 5번 속독하고 정독하면 눈에 익은 내용이 있어 머릿속에 잘 들어옵니다.
이처럼 “속독 -> 정독 -> 반복 -> 문제풀이 -> 틀린문제 풀기 -> 반복 -> 빈칸 채워넣기 -> 반복” 의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공부해야지 공부할 때도 고통을 느끼지 않고 즐겁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거듭 말하지만, 공부를 꾸준히 이어가게 지탱하는 힘은 재미입니다.
그리고 재미를 북돋기 위해서는 최대치로 하루에 책 한 권을 훏어 보는 목표가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분량이 많다 치면 책 한 권을 나누어 1/4 또는 최소한 1/8로 겨우 감내할 수 있는 분량을 목표로 삼아야 합니다. 그래야지 시간에 쫓겨 몰입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몰입만 한다고 공부를 계속 이어가기는 힘들지요.
문제를 계속 풀어야 하는 이유는 문제를 푸는 동안에 틀리면 피드백이 생기고 맞으면 쾌감이 들기 때문입니다.
결국, 주어진 시간 내에 작업을 끝내야 한다는 몰입과 계속 맞닥뜨리는 문제, 그리고 그 문제를 풀면서 생기는 피드백과 쾌감이 공부를 끝까지 이어나가게 되는 마중물이 됩니다.
** 내용정리 **
1. 정 공부하기 싫고 동기부여가 안되면 일본어 공부 안하고 백지 상태에서 일본 워킹 홀리데이 신청한 후 한국사람 없는 곳에서 1년간 살아 봅니다. (1년 생활하면 독립성이 생깁니다 )/
2. 일본에 1년 살다 오면 정신 차립니다.(동기부여 만땅) /
3. 공부법 요점//
첫 번째. 참고서 사서 외우지 말고 노트필기도 하지 말고 강의도 듣지 말고 두꺼운 기출문제집 문제 풀어 반복하여 얼개 잡기. /
두 번째. 두꺼운 문제집 가지고 책이 걸레가 될 때 까지 수없이 풀어 반복하기/
세 번째. 두꺼운 기출문제집을 최대한 한 번 빨리 훏어 본다는 생각으로 빨리빨리 문제풀기(암기해서 한 페이지 세월아 네월아 하지 말고 히말라야 정상에서 스키타고 내려온다는 기분으로 문제집의 진도를 엄청 스피드 있게 나감)/
네 번째. 암기를 절대 하지말것 그 자체가 고통임. 문제푸는 걸 놀이로 생각하고 공부를 즐기셈./
참고사항. 난해한 지문이나 강의도 더 쉽게 이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잠잘 때 방 불 끄고 누워서 유튜브 들으면 됩니다. 그 중에서도 설명이나 서사 또는 요약이 잘 된 재미있는 유튜브 방송을 듣습니다. 절대 잡담하는 건 듣지 않습니다. /
조회수가 많이 나오는 공포, 역사, 경제, 과학 유튜브 방송을 듣습니다. 이게 별거 아닌 거 같지만 공포 방송에서 입담이 좋은 얘기꾼의 설명을 들을 때 뇌는 듣는 그 자체로 설명에 대해 어떻게든 정리를 할려고 합니다./
다시 말해서 유튜브 방송을 많이 접할수록 이해도가 높아 갑니다./
"지금 당장 시작하세요." 머리 나쁜 사람이 공부 잘하는 진짜 비결 (메가스터디 전한길 강사 2부)
지식인사이드 네이버 카페 가입하기
https://cafe.naver.com/knowledgeins
지식인사이드에 출연을 원하신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https://forms.gle/u4LxVcwFdhvkLH8m6
오늘은 메가스터디 전한길 강사님을모시고
머리가 안 좋은 사람이 공부 잘하는 비결에 대해 들어보았습니다.
영상이 유익 했다면 구독!! 영상이 재밌으셨다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지식인사이드 #전한길 #공부
전한길 강사님의 저서
[네 인생 우습지 않다]
교보문고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2469875
제작 : 어썸엔터테인먼트 (주)
https://awesomeentad.com/
00:00 인트로
00:33 수강생 50만명 가르치고 깨달은 잔인한 사실
01:34 꿈도 없고 재능도 없다면 ‘이걸’ 해야 성공한다
04:53 인생 난이도를 뚝 떨어뜨리는 방법-1
09:03 인생 난이도를 뚝 떨어뜨리는 방법-2
10:46 뒤쳐진 것 같아 불안해하는 사람들에게
14:02 결국 이 3가지가 최고의 스펙 만든다
@knowledgeInS : 더 많은 지식이 궁금하다면?
전한길 강사님의 저서, 『네 인생 우습지 않다』 ― https://bit.ly/3N2ae1H
✏"학벌시대는 끝났다." 가난하게 죽기 싫으면 당장 끊어야 할 '3가지' (메가스터디 전한길 강사 1부) ―
@jskim9130 : 젊잖아, 한마디에 정신이 번쩍드네
@user-sv1wf8zy6p : 제발 쭉 시리즈로 가주세요 한길쌤은 여전히 할 말이 산더미 같아보임 ㅋㅋ
@rayyang9214 : 전한길 선생님이 정말 대단한게 30대에 업계 탑을 찍고 한번 망해서 나락으로 떨어졌는데 재기에 성공해서 다시 업계 탑클래스가 된거. 정상 찍고 밑바닥 갔다가 다시 정상으로. 진짜 리스펙 할수밖에 없는 분임
@micael2005 : 젊은 친구나 수험생들에게만 해당되는 내용이 아니라 이 시대를 사는 4-50대 모두에게 필요한 강연이네요.
집중력이 떨어져 너무 힘들었는데 자신감과 용기가 생깁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내 분야에 최고가 되도록 다시 한번 도전해야겠습니다.
✻ 강연 소개 : '자뻑'이 심한 학생과 성실하게 '찍는' 학생이 있었습니다. 둘 다 공부와는 거리가 멀었던 학생인데요. 수학을 잘할 수 있는 비결의 힌트가 이 두 사람에게 있었습니다. 수학을 잘 공부할 수 있는 세 가지 비결, 함께 알아봅시다!
✻ 정유빈 강사의 강연 섭외는 세바시 홈페이지로 문의주세요! ☞ https://sebasi.co.kr/speaker/610 (좌측 메뉴 '섭외요청' 클릭)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http://bit.ly/2odEydm
✻ 세바시 콘텐츠의 A 부터 Z까지 누릴 수 있는 유튜브 멤버십 http://bit.ly/2URQKU4
✻ 가장 빠른 세바시 강연회 신청 https://apply.sebasi.co.kr
✻ 세바시 홈페이지에서 강연회와 연사들의 다양한 강의를 만나보세요! ☞ http://www.sebasi.co.kr
세바시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sebasi15
세바시 인스타그램 | http://www.instagram.com/sebasi15/
세바시 카카오스토리 | http://story.kakao.com/ch/sebasi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한국어/베트남어 자막 : 세바시 열린번역 크루 3기, 권수진
@sebasi15 : ✻ 강연 소개 : '자뻑'이 심한 학생과 성실하게 '찍는' 학생이 있었습니다. 둘 다 공부와는 거리가 멀었던 학생인데요. 수학을 잘할 수 있는 비결의 힌트가 이 두 사람에게 있었습니다. 수학을 잘 공부할 수 있는 세 가지 비결, 함께 알아봅시다!
✻ 정유빈 강사의 강연 섭외는 세바시 홈페이지로 문의주세요! ☞ http://sebasi.co.kr/speaker (좌측 메뉴 '섭외요청' 클릭)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http://bit.ly/2odEydm
@user-of6gk9hq6n : 어 이분 그 그림그리실때 눈치보시던... 유튜브의 알수없는 알고리즘에 의해 보게된 영상에서 본 분인데 이런 분이셨구낭
@eel5290 : 내가혼자 이걸풀다니~하는 희열을 느끼는순간 풀때마다 자신감이 생기고 설령 틀렸다해도 담에 이문제를 틀리지 말아야지 하는 오기도 생겨요
@user-zw8bz3bv4u : 1.자뻑 칭찬 2. 의지가 있어야 함 3. 흐름을 이해 = 논리적으로 흐름을 이해하는 것
@user-yx2np6mt2u : 수학문제를 풀때 무조건 이 문제를 어떻게든 풀겠다는 마음으로 임해야하는 것 같습니다. 모르는 문제라도 답지를 보지 않고 몇일동안 풀면서 문제 해결력을 점점 늘리는 것이 본질적인 공부인 것 같습니다.
공부가 안된다? 여러분 탓이 아닙니다. 방법을 안 가르쳐줘서 그래요. 연구원만 300명 배출한 교수가 공부 비법 3가지를 알려드립니다! 공부 잘하는 법 / 공부법/ 학습코칭
[아이캔대학 2023 가을학기] 얼리버드 수강생 2만원 할인 중!
https://vo.la/HC71E
김교수의 매일 5분 강의 (유튜브 멤버십)
https://vo.la/tzeiL
이룸 모닝루틴
https://vo.la/utZsW
[거인의 노트] 자기계발 분야 베스트셀러
https://vo.la/gnE8K
공부해야 하는 건 알지만 재미도 없고
해봐야 성과도 잘 나지 않는 느낌..
모두 한 번쯤은 경험해보셨거나,
지금도 같은 문제를 겪고 계신 분들이 꽤 많으실 것 같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성과를 내는 공부형 인간이 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3가지 공부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김익한명지대교수 #공부법 #공부잘하는법 #공부체크리스트 #자격증공부 #성적잘받는법 #아이캔유튜브대학
@ican : [아이캔대학 2023 가을학기] 얼리버드 수강생 2만원 할인 중!
https://vo.la/HC71E
@minso131 : 감동적이었어요~~~~~
@jaeboumkim1213 : 교수님, 감사합니다!
——————————-
#공부가 안되는 이유
-> 원래 정말 힘들고 어려운 것이라는 점을 관과하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공부는 그 어려운 장벽을 넘어 자유를 획득하는 것
-> [장벽에 가로 막혔다 => 답답, 넘고 싶은 욕구 강해 => 이렇게 저렇게 시도 => 방법 찾았다] => 넘는 행위[ ] 반복 => 넘었다 희열
-> 하기 싫은 걸 억지로? => 공부 X.
-> 명확한 장벽 넘기 전략 없이 대충 무계획? => 공부 X.
#스스로 체크 포인트 3가지 => 아래 세가지 모두 긍정 답 나와야 공부 가능한 것
(1) 지금 이것을 공부하는 이유는? 장벽, 자유인가 확인.
-> 욕구의 진정성, 강도 체크
(2) 공부하는 방법 찾아 구체적인 계획 수립? <= 꼭 체크 해야 함.
-> 방법도 없이 그냥 미련하게 공부하는 것은 하나마나다.
(3) 몸에 익히기 위해 반복, 지속하고 있나?
ex) 3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반복하고 있나?
#공부가 잘 안되는 현상 3가지
(1) 시작이 안 된다. => 욕구는 있는데 벌떡이 안 됨. 욕구의 절박성 약함, 혹은 타인(엄마)의 욕구
(2) 하기는 하는데 집중이 안 된다.
-> 공부는 [이해 -> 새로운 깨달음 -> 재미] 가 동반되어야 함.
-> 형식적 공부는 이해X 남는것X 재미X
(3) 지속이 안 된다 => 작심 3일
==> "펵 시작"해야 하고 "집중"해서 "지속"하는 것이 공부
#공부가 잘 안 되는 것을 극복하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
-> 공부가 뭔지 몰라서 그렇다. (정말 의외로 공부가 뭔지 모르는 사람 많아)
-> 그 본질을 이해해서 시행하면 문제 극복 가능
#공부는 장인 공(工) 아비부(夫)
-> 공은 장인, 반복 단련을 통해 아주 익숙해진 기능인 같은 상태 만드는 것
-> 부는 아미 혹은 선생, 알려줄 수 있는 사람
=> 공부는 "반복"해서 기능을 완전히 "익히고" 그걸 다른 사람에게 사랑으로 "말"해줄 수 있는 상태
** 주의점: 그냥 대충 이해하고 "나 공부했다?" 이것 아님
=> 장인들도 머리로도 이해, 몸이 자동적으로 행함 : 자유의 쟁취
=> 대충하고 이해했다 라는 공부 경험 누적되면, 공부의 실효 잘 못 느낌 => 동기의 강력한 강도 유지 못하게 됨.
공부의 원래 뜻, 장인과 같은 상태. 그것을 공부한 것을 결과로 해서 실행해보니 너무 좋은 상태
"나는 굉장히 유능한 사람으로 움직일 수 있다." => 이것을 실제로 경험 => 현재 느끼는 장벽을 넘는 것(공부)이 나에게 자유를 줄것이라는 생각의 강도를 높여줄 수 있다.
#공부 잘하는 방법 세가지
(1) 동기의 구체화, 강도 최고조로 만들어주기
ex) 부동산 중계사 시험에 합격? -> 장벽이 아님
-> 실제 장벽은 내가 부동상 중계사가 되었다고 가정할 때, 고객에게 서류를 원할하게 작성해줄 수 있도록 배경지식이 있어야 한다. 즉, 거래양식 처리라는 벽을 넘기 위한 공부 --> 자유를 획득(거래양식을 능수능란하게 작성할 수 있다.) => 이런것이 공부의 목표이어야 한다.
-> 이런 목표를 절절하게 느껴야 공부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ex) 회사에서 어떤 일이 익숙치 않아 --> 과제들 셋팅 --> 벽 넘기 공부 계획 --> 유능한 사람이 된다. (동기)
-> 동기를 구체화 해야 동기를 최고조로 만들 수 있다.
(2) 깨달음과 숙련하기
-> 대충 이해하고 넘어가면 안됨.
-> 생각하면서 공부, 공부한 것을 써보기, 또 되니어보기 등 반복해서 완전 숙련공, 장인 되기가 실현 된다.
-> 이해하고 외우고 되뇌이지 않는 공부는 공부가 아니다.
=> 암기 없이 그냥 대충 이해하는 식의 공부는 반드시 고쳐야 한다.
=> 완전히 자기것이 되어 숙련공이 되려면 몸에 착 붙는 지식을 만들어야 공부하는 것이다.
(3) 자유 확인하기
ex) 내가 거래 관련 서류 능수능란한지 실제 가상해서 써본다.
ex) 내가 그 회사일 이제는 자신있게 능수능란하게 할 수 있는지 실제로 실행하여 느껴보아야 한다.
-> 낮은 단계는 말해보기, 써보기 나아가서 실행하면서 자유 느끼기
[노트 -> 카드에 써본다. -> 말해보기] * 반복
#공부 잘 하고 있는지 확인위해 추가적으로 체크할 지점
(1) 공부가 몸에 익는지 체크 해야 함. --> 공부는 정신, 육체 모두 동원되어서 이루어 짐. --> 머리속 익숙해 지는 것을 넘어서 몸에 익숙해져야 한다.
(2) 긍정적 생각 --> 공부의 결과가 나에게 긍정 될 때 더 공부에 더 집중적으로 할 수 있다.
-> 작은 아웃풋을 자주 설계하는 것 필요
ex)2시간 진도 -> 아웃풋 지식 이해 했는지 말 했는지 확인, 아웃풋 구체적 설계 -> 그 결과에 대한 확신 -> 공부에 더 집중
#공부를 못하는이유!
- 의외로 공부를 가볍게 보고 진검승부라는 것을 모른다.
- 공부를 너무 가볍게 보거나 두루뭉술하게 보는 테도
@user-tt7de6ii9d : 안녕하세요 교수님 현재 군대에 입대해서 남는 시간이나 자투리 시간에 교수님 책과 유튜브 영상 챙겨보는 현역장병입니다. 저도 나름 재수도 해보고 기타 여러 시험에 응시한 경험이 제법 되는데 , 그때마다 시험에 가까이 갈수록 마음에 조급함이 더 심해지면서 제대로 된 공부법을 이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예를 들면 마음이 조급해지면서 여유가사라지고, 평소 습관을 잘 이행하지 못하고 무작정 진도만 빨리 나가게 되더라구요.. 교수님도 혹시 비슷한 경험이 있으시다면 이를 소재로 한 영상을 만들어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tl5we7ho3j : 공부의 핵심은 반복하여 눈에 익힌 다음에 얼개를 잡는 겁니다.
그리고 그것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 Time to Performance 입니다.
그래서 의대생들이 암기는 제일 뒤로 하고 맨 처음 하는게 기출문제부터 푸는 거고요.
간단한 예를 들어 일본어를 정복하고자 한다면 학원에 가는 게 아니라 먼저 JLPT 기출단어장 3000 단어장 책 사서 정독으로 10번 빠르게 반복해서 보는 겁니다.
열한 번째 부터 아는 단어는 젖히고 모르는 단어만 체크해서 3000 단어를 마스터 할 때까지 줄여나가는 겁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하는 게 두꺼운 JLPT 1급 문제집을 사서 오답 문항지문은 읽지도 않으면서 빼고 정답 문항지문만 정독하면서 정답지문 전체를 아예 노랑 형광펜으로 마킹합니다.
그리고 답안지는 버립니다.
그렇게 마킹한 상태 그대로 JLPT 1급 문제집 전체를 정독으로 문제와 답만 3번 가볍게 훑어봅니다.
그다음 모든 문항 지문들을 노랑 형광펜으로 정독하면서 전체 마킹 뒤 이제는 분홍형광펜으로 번호만 점 찍어 문제 푸는 형식으로 책 한 장 문제를 다 풉니다.
분홍형광펜으로 전체 채점하여 맞는 것은 동그라미 틀린 것은 선 긋습니다.
※ 단 찍어서 맞힌 것은 맞아도 틀림으로 표시합니다.//
다시 틀린 문제만 정독하면서 정답 오답 구분 없이 분홍형광펜으로 문제 번호들 전체 마킹, 그리고 재차 녹색 형광펜으로 분홍형광펜이 틀렸다는 것만 푸는데 이번에는 녹색 형광펜으로 번호만 점 찍어 문제 풀고 녹색 형광펜으로 전체 채점하여 맞는 것은 동그라미 틀린 것은 선 긋습니다.
여기까지 하면 책 한 권을 한꺼번에 두 번 훏어보는 건데.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이번에는 파랑 형광펜으로 세 번, 책 한 권 전체를 한꺼번에 훏어 봅니다.
그리고 여기서 틀린 문제는 더는 풀지 말고 틀린 문제 바로 하단의 공백 부분에 서술형 문장으로 바꿉니다.
그런데 빈칸 채울 문장이 길다 싶으면 자릅니다. 문장이 길다 싶으면 “비타민 D는 ( ) 과 ( ) 의 흡수촉진, ( ) 의 정상적인 발육에 관여한다. 그리고 결핍 시, ( 구루병 )병, ( 골연화 )증, ( 골다공 )증이 생긴다.”
이렇게 윗부분만 빈칸 채우기 만들고 아래 빈칸 채우기는 답을 적어 보입니다.
이런 식으로 책 전체를 가볍게 정독하면서 10번을 봅니다.
다음에는
“비타민 D는 ( 칼슘 ) 과 ( 인 ) 의 흡수촉진, ( 뼈 ) 의 정상적인 발육에 관여한다. 그리고 결핍 시, ( )병, ( )증, ( )증이 생긴다.”
이렇게 아랫부분만 빈칸 채우기 만들고 위 빈칸 채우기는 답을 적어 보입니다.
이것 또한 위와 같은 식으로 책 전체를 가볍게 정독하면서 10번을 봅니다.
복잡한 문장이나 수식은 한꺼번에 빈칸 채우기를 하지 말고 될 수 있으면 따로따로 분리해서 간단하게 만들어 서로를 부분으로 만든 다음 채워 넣기를 합니다.
10번 반복 이후에도 빈칸에 답을 못 적으면 두꺼운 책의 틀린 문제 부분에 인덱스를 달아 문제 번호를 쓰고 다른 건 보지 않고 인덱스 단 부분만 들춰서 맞춘 건 인덱스를 뜯고 틀린 건 인덱스를 붙여 둔 채 마지막 한 문제라도 다 빈칸 채우기를 할 수 있을 때까지 무한반복 합니다.
여기까지 오면 대략 얼개가 잡힙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JLPT 1급 실전 모의고사 문제집 ( 5회분 ) 사서 앞에 서술한 방법 그대로 하면 됩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중요한 게 몰입과 집중입니다.
하루의 목표를 세울 때 “3시간 하고 30분 쉬자”가 아닙니다. “아침 9시부터 저녁 10시까지 책 한 권을 훏어보자” 입니다.
이렇게 온종일 몰입과 집중이 이루어지고 그 다음 날에 무조건 쉬는 겁니다.
쉬는데 그냥 집에서 어슬렁거리지 말고 오전에는 한강 자전거도로 가서 한 시간가량 자전거 타고 저녁에는 복싱장 이나 격투기장 가서 2시간 죽어라 운동하는 겁니다.
하루 공부하고 하루 쉬는 걸 반복합니다. 공부를 농구 처럼 하는 거지 마라톤 처럼 하지 말라는 겁니다.
마지막으로 빠른 스피드와 즐거움입니다.
공부는 암기가 아닙니다. 공부는 반복입니다.
“공부는 암기다” 라고 생각하는 그 순간부터 고통이 시작됩니다.
앞서 언급 했듯이 우리가 농구를 할 때는 늘 긴장하게 되지요. 왜냐하면, 공격이든 수비이든 간에 앞 사람을 뚫던지 막아야지요. 근데 따분해하지 않습니다.
워낙 일이 매우 급하게 돌아가기 때문에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몰두하게 되어 있습니다.
위에 설명을 보면 암기하라는 말은 없습니다. 가능하면 빨리빨리 문제를 풀라고 합니다.
그리고 반복하라고 합니다. 문제를 풀면서 이벤트가 일어나고 그 문제에 대해 채점을 하면서 피드백이 이루어집니다.
빠르게 문제를 풀거나 반복하면서 지루한 틈을 주지 말라는 겁니다.
아기가 부모에게 아빠, 엄마라고 부를 때 보통 아기는 부모에게 아빠, 엄마라는 말을 최소한 100번 이상 듣는다고 합니다.
어느 날 아기가 부모에게 “아빠, 엄마” 라고 듣고 머릿속에 외워서 내뱉는 말이 아니라는 겁니다.
끊임없이 반복하여 뇌에 각인시킨 후에 그제야 아기는 “아빠, 엄마” 라는 말을 합니다.
공부 또한 그러합니다. 공부는 익히는 거지 암기가 아닙니다.
맨 처음 공부할 때 정독도 지겹다. 그러면 속독부터 하세요. 그리 한 5번 속독하고 정독하면 눈에 익은 내용이 있어 머릿속에 잘 들어옵니다.
이처럼 “속독 -> 정독 -> 반복 -> 문제풀이 -> 틀린문제 풀기 -> 반복 -> 빈칸 채워넣기 -> 반복” 의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공부해야지 공부할 때도 고통을 느끼지 않고 즐겁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거듭 말하지만, 공부를 꾸준히 이어가게 지탱하는 힘은 재미입니다.
그리고 재미를 북돋기 위해서는 최대치로 하루에 책 한 권을 훏어 보는 목표가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분량이 많다 치면 책 한 권을 나누어 1/4 또는 최소한 1/8로 겨우 감내할 수 있는 분량을 목표로 삼아야 합니다. 그래야지 시간에 쫓겨 몰입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몰입만 한다고 공부를 계속 이어가기는 힘들지요.
문제를 계속 풀어야 하는 이유는 문제를 푸는 동안에 틀리면 피드백이 생기고 맞으면 쾌감이 들기 때문입니다.
결국, 주어진 시간 내에 작업을 끝내야 한다는 몰입과 계속 맞닥뜨리는 문제, 그리고 그 문제를 풀면서 생기는 피드백과 쾌감이 공부를 끝까지 이어나가게 되는 마중물이 됩니다.
** 내용정리 **
1. 정 공부하기 싫고 동기부여가 안되면 일본어 공부 안하고 백지 상태에서 일본 워킹 홀리데이 신청한 후 한국사람 없는 곳에서 1년간 살아 봅니다. (1년 생활하면 독립성이 생깁니다 )/
2. 일본에 1년 살다 오면 정신 차립니다.(동기부여 만땅) /
3. 공부법 요점//
첫 번째. 참고서 사서 외우지 말고 노트필기도 하지 말고 강의도 듣지 말고 두꺼운 기출문제집 문제 풀어 반복하여 얼개 잡기. /
두 번째. 두꺼운 문제집 가지고 책이 걸레가 될 때 까지 수없이 풀어 반복하기/
세 번째. 두꺼운 기출문제집을 최대한 한 번 빨리 훏어 본다는 생각으로 빨리빨리 문제풀기(암기해서 한 페이지 세월아 네월아 하지 말고 히말라야 정상에서 스키타고 내려온다는 기분으로 문제집의 진도를 엄청 스피드 있게 나감)/
네 번째. 암기를 절대 하지말것 그 자체가 고통임. 문제푸는 걸 놀이로 생각하고 공부를 즐기셈./
참고사항. 난해한 지문이나 강의도 더 쉽게 이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잠잘 때 방 불 끄고 누워서 유튜브 들으면 됩니다. 그 중에서도 설명이나 서사 또는 요약이 잘 된 재미있는 유튜브 방송을 듣습니다. 절대 잡담하는 건 듣지 않습니다. /
조회수가 많이 나오는 공포, 역사, 경제, 과학 유튜브 방송을 듣습니다. 이게 별거 아닌 거 같지만 공포 방송에서 입담이 좋은 얘기꾼의 설명을 들을 때 뇌는 듣는 그 자체로 설명에 대해 어떻게든 정리를 할려고 합니다./
다시 말해서 유튜브 방송을 많이 접할수록 이해도가 높아 갑니다./
"지금 당장 시작하세요." 머리 나쁜 사람이 공부 잘하는 진짜 비결 (메가스터디 전한길 강사 2부)
지식인사이드 네이버 카페 가입하기
https://cafe.naver.com/knowledgeins
지식인사이드에 출연을 원하신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https://forms.gle/u4LxVcwFdhvkLH8m6
오늘은 메가스터디 전한길 강사님을모시고
머리가 안 좋은 사람이 공부 잘하는 비결에 대해 들어보았습니다.
영상이 유익 했다면 구독!! 영상이 재밌으셨다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지식인사이드 #전한길 #공부
전한길 강사님의 저서
[네 인생 우습지 않다]
교보문고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2469875
제작 : 어썸엔터테인먼트 (주)
https://awesomeentad.com/
00:00 인트로
00:33 수강생 50만명 가르치고 깨달은 잔인한 사실
01:34 꿈도 없고 재능도 없다면 ‘이걸’ 해야 성공한다
04:53 인생 난이도를 뚝 떨어뜨리는 방법-1
09:03 인생 난이도를 뚝 떨어뜨리는 방법-2
10:46 뒤쳐진 것 같아 불안해하는 사람들에게
14:02 결국 이 3가지가 최고의 스펙 만든다
@knowledgeInS : 더 많은 지식이 궁금하다면?
전한길 강사님의 저서, 『네 인생 우습지 않다』 ― https://bit.ly/3N2ae1H
✏"학벌시대는 끝났다." 가난하게 죽기 싫으면 당장 끊어야 할 '3가지' (메가스터디 전한길 강사 1부) ―
@jskim9130 : 젊잖아, 한마디에 정신이 번쩍드네
@user-sv1wf8zy6p : 제발 쭉 시리즈로 가주세요 한길쌤은 여전히 할 말이 산더미 같아보임 ㅋㅋ
@rayyang9214 : 전한길 선생님이 정말 대단한게 30대에 업계 탑을 찍고 한번 망해서 나락으로 떨어졌는데 재기에 성공해서 다시 업계 탑클래스가 된거. 정상 찍고 밑바닥 갔다가 다시 정상으로. 진짜 리스펙 할수밖에 없는 분임
@micael2005 : 젊은 친구나 수험생들에게만 해당되는 내용이 아니라 이 시대를 사는 4-50대 모두에게 필요한 강연이네요.
집중력이 떨어져 너무 힘들었는데 자신감과 용기가 생깁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내 분야에 최고가 되도록 다시 한번 도전해야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