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선행학습
페이지 정보
본문
탐구과목 선행학습? 이것부터 꼭 하세요!!!
#탐구과목선행 #탐구과목 #사회과학선행
쌍둥이 형제가 운영하는 대치동 수학학원 상담문의
↪ http://pf.kakao.com/_lfTlxj/chat
안녕하세요 서울대 쌍둥이 형제입니다 : )
'사회,과학 과목도 선행학습하는게 좋을까요?'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남겨주신 사연입니다.
이번 주제 관련해서 쌍둥이 형제들이 팩트폭격을 거침없이 날렸는데요 ㅎㅎ
많은 관심 바라며 재미있게 시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SNUtwins : 쌍둥이 형제가 운영하는 대치동 수학학원 상담문의
(온라인수업 개설로 전국 어디서나 수강 가능합니다)
↪ http://pf.kakao.com/_lfTlxj/chat
@MYE-ht1zn : 정말 속이 시원해요~~ 다들 과학선행 하길래 우리 공부할때랑 크게 뭔가 바뀌었나 했어요 고등 내신도 절대평가라고 하는데... 지나친 선행 문제인것 같아요~
@user-cy5kr2hn6x : 공부 안해본 강사들이 심리를 자극해서 잘못된 정보를 주는데 이분들은 찐으로 공부하신 분들이라 정말 확실한 것만 말씀하시는 같아요
@user-tg1pi2lz5w : 고민했던 문제인데..와..시원하게 쌍둥이 선생님께서 답변해 주시니..정말 감사해요..도움과 힘이 되는 영상이었습니다..국,영, 수 먼저...열심히 하겠습니다..쌍둥이 선생님..최고~~~
@joohaoh759 : 진짜 이시대에 꼭 필요한 선생님들❤
일반고 혹은 특목고 준비생 고등 과학 선행 어디까지 해야할까요? (w/ 메가스터디 중고등 과학 일타, 장풍 선생님)
#장풍 #통합과학 #과탐 #특목고
————
대치동캐슬 홈페이지 (교육자료, 공지사항, 수업 시간표) : http://www.dcastle.online
대치동캐슬 온라인 강의 : http://dcastle.co.kr
대치동캐슬 궁금증 및 고민 상담 : https://forms.gle/FvZ4NqusAouDMneq5
강의 / 강연 요청 : incoblue@naver.com
—————
[대치동캐슬 소개]
ㅁKAIST 학부,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졸업
ㅁ현 대치동에서 중고등 수학과 학습습관 지도 - 초중학생 대상
ㅁ전 중앙일보 ‘공부의 신 공신캠프’ 강사, 비타에듀 자기주도학습 컨설턴트
ㅁ서울대학교 습관 디자인 프로젝트 : 습관공부 5분만’의 저자
ㅁ’대치동 수학 공부의 비밀’ 저자
@onetime_go : 이분말 맞는게..중등3학년을 제대로하면 고1의 70프로가 커버되고 고1에서 심화하면 고2의.50푸로가 커버되는데.선행만 하느라 난리인데..해봣자 기억도 못하는 아이들이 대부분이더라(여기는 대치동)..과고 영재고 준비한애들이.중3과학과 고1 과학에서 만점 받는다하면 오산이다. 그 과학과 수능보는 교과 과학은 다르다. 교과 과학은 교과서를 조사빼고 외울정도의 치밀함과 암기력이 있어야하고 무수한 연습이 중요하다. 과학 깊게 선행할생각말고 국어와 수학이나.제대로 많이 많이해라 그것도 제대로 안되는 애가 과학선행하고있는건 미련한짓이다. 그거 다 선행완료하고 모의고사 안정적 1등급뜨는거 보고도 시간나면 수능볼 한과목중 젤 어려운것정도 잊지않게 계속해라.
@DWE409 : 예비고1인데 저 중학교때 과학 너무 좋아해서 수업 끝나고 쉬는시간에 복습하고 집가서 오늘 수업때 배운내용 칠반에다가 막 쓰고 기억 안나는건 확인해 보면서 공부했더니 100점 진짜 껌이에요 근데 문제집은 전혀 안풀고 프린트랑 교과서로만 공부했어요
@user-ri1yh9iq6j : 수학 과학은 암기가 맞는 것 같습니다! 10년인가 11년도에 여의도에서 배우고, 12년도 말에 수능봤지만 22년도 수학 생물을 풀어봐도 아직 다 맞네요... 왜 맞춘건지 모르겠는데 손이 이미 풀고 있습니다 ㅋㅋㅋ
짧은 시간 배웠지만 "웨버!" 처럼 장난 같은 설명은 12년 정도가 지나서 석사인 지금도 기억에 남네요 ㅋㅋㅋ
좋은 강의 응원합니다~!
@user-zw7st3rn3l : 100점이 나오기는 하는데요 지방이고 학군지가 아닌곳 이라 여기서 100점 이라고 잘하고 있는건 아닌것 같아요
선생님이 말씀 하시는 100점은 어느 지역 기준일까요? 대치동 학교 시험으로 풀려보고 기준으로 생각해야 하는거죠?
@user-je9rf3xe2c : 장풍님 덕에 중2울아들 과학 무지좋아합니다
감사합니다 ^^과학백점맞았어요^^
선행학습의 진실! 선행학습이 필요 없는 이유 알려드립니다 | 생각루트
서울대 출신 공학 박사가 알려주는 "공식이 아닌 대화"로 배워가는 수학 공부법,
창쌤과 함께 공부하고 싶다면 구독하기를 눌러주세요!
#수학공부법 #선행학습
@user-bs3uu7im4d : 선행학습은 필요합니다 단 개념이 완벽해야하죠
@user-in4lm9xb7z : 저희아이는 초2인데 수학유투브강의를 볼때 자꾸 강의듣고멈추고 자기가쌤한테질문하고 본인이설명하고 그렇게 강의를봐요 누가가르치지도않았는데 자꾸 대답도안하는 유투브선생님한테설명하고 보네요
수학을 저는 셋째라 전혀시키지않다가 애가 언니오빠인강에호기심이많아서 유투브강의 알아서보라했는데 뭔가 아는거는많은거같은데 문제집으로 훈련을안시켜서
지금 부터 개념이나강의말고 문제집선행이필요할까요
그리고 애는 1학년때 더하기1을하더니 지금은2학년인데 다양한연산을 실수없이하는데 지금중1연산도 호기심있어요 수학을어찌가르쳐야할지 벌써학원을 보내야하는건지 문제집을 기계적으로 풀리는게맞는건지 답답하네요
@yular6772 : 학교수업만 듣고 전국 수석한 사례가 일반적인 케이스가 아닌 것처럼. 말씀 하신 선행이 필요없다는 전제도 일반화하기 힘듭니다. 내려다보는 관점에서 사고력 기르면 현행으로 충분히 커버 가능하다 보는 논리자체가 기저에 숨어있는 낮은 등급 학생들을 기만하는 행위입니다. 같은 노력을 기울인다고 같은 결과가 도출되는게 아닙니다.
다수의 학생들은 절대적으로 선행이 필요합니다. 선행정도의 차이는 의견이 분분하나 대전제는 대부분 동의할 겁니다.
논리의 골자를 이해 못하는 바는 아닙니다. 그 시기에 해야할 논리적 사고를 선행으로 치트키 쓰는 형식은 맞지 않다라는 점이겠지요. 생각하는 과정을 빼았는 꼴이니...
저도 한동안 그렇게 생각했었을 정도니 뭐 이해는 합니다.
하지만 입시 수학은...음...굳이 따지자면 수학이 아니라 just 연산입니다. 복합적인 논리구조가 가미된 연산도 물론 있지만 거창하게 수학이라 할만한 과정은 아니라고 봅니다. 답이 정해져 있는 문제를 주고 "니가 과정만 유추해 봐"를 묻고 있는거니까요. 학부생 시절 목도했던 수학은 적어도 이런건 아니었잖아요.
요약하면 입시수학이란 훈련하고 학습하고 양치기해서 어느 정도 정복할 수 있는 영역 따위의 것이겠지요.
선행으로 득을 본 경우와 선행을 안해도 결과가 좋은 경우 모두 존재하겠지만 어느 쪽이 더 파이가 큰 지는 극명합니다.
때로는 튀는 이론이나 주장이 신선하긴 하나, 세상만사 안하는데는 이유가 있다 는 것 쯤은 깊이 새기셨으면 하네요.
@applesummer7053 : 지금은 고1부터가 중요ㅠㅠ
@user-cv4rz4tq6f : 20년차 현장 선생님입니다. 선행학습을 한 학생과 안한 학생은 차이가 납니다. 상위권으로 갈수록 편차는 더 커집니다. 입시 수학에서는 더 극명하게 차이납니다.
#탐구과목선행 #탐구과목 #사회과학선행
쌍둥이 형제가 운영하는 대치동 수학학원 상담문의
↪ http://pf.kakao.com/_lfTlxj/chat
안녕하세요 서울대 쌍둥이 형제입니다 : )
'사회,과학 과목도 선행학습하는게 좋을까요?'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남겨주신 사연입니다.
이번 주제 관련해서 쌍둥이 형제들이 팩트폭격을 거침없이 날렸는데요 ㅎㅎ
많은 관심 바라며 재미있게 시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SNUtwins : 쌍둥이 형제가 운영하는 대치동 수학학원 상담문의
(온라인수업 개설로 전국 어디서나 수강 가능합니다)
↪ http://pf.kakao.com/_lfTlxj/chat
@MYE-ht1zn : 정말 속이 시원해요~~ 다들 과학선행 하길래 우리 공부할때랑 크게 뭔가 바뀌었나 했어요 고등 내신도 절대평가라고 하는데... 지나친 선행 문제인것 같아요~
@user-cy5kr2hn6x : 공부 안해본 강사들이 심리를 자극해서 잘못된 정보를 주는데 이분들은 찐으로 공부하신 분들이라 정말 확실한 것만 말씀하시는 같아요
@user-tg1pi2lz5w : 고민했던 문제인데..와..시원하게 쌍둥이 선생님께서 답변해 주시니..정말 감사해요..도움과 힘이 되는 영상이었습니다..국,영, 수 먼저...열심히 하겠습니다..쌍둥이 선생님..최고~~~
@joohaoh759 : 진짜 이시대에 꼭 필요한 선생님들❤
일반고 혹은 특목고 준비생 고등 과학 선행 어디까지 해야할까요? (w/ 메가스터디 중고등 과학 일타, 장풍 선생님)
#장풍 #통합과학 #과탐 #특목고
————
대치동캐슬 홈페이지 (교육자료, 공지사항, 수업 시간표) : http://www.dcastle.online
대치동캐슬 온라인 강의 : http://dcastle.co.kr
대치동캐슬 궁금증 및 고민 상담 : https://forms.gle/FvZ4NqusAouDMneq5
강의 / 강연 요청 : incoblue@naver.com
—————
[대치동캐슬 소개]
ㅁKAIST 학부,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졸업
ㅁ현 대치동에서 중고등 수학과 학습습관 지도 - 초중학생 대상
ㅁ전 중앙일보 ‘공부의 신 공신캠프’ 강사, 비타에듀 자기주도학습 컨설턴트
ㅁ서울대학교 습관 디자인 프로젝트 : 습관공부 5분만’의 저자
ㅁ’대치동 수학 공부의 비밀’ 저자
@onetime_go : 이분말 맞는게..중등3학년을 제대로하면 고1의 70프로가 커버되고 고1에서 심화하면 고2의.50푸로가 커버되는데.선행만 하느라 난리인데..해봣자 기억도 못하는 아이들이 대부분이더라(여기는 대치동)..과고 영재고 준비한애들이.중3과학과 고1 과학에서 만점 받는다하면 오산이다. 그 과학과 수능보는 교과 과학은 다르다. 교과 과학은 교과서를 조사빼고 외울정도의 치밀함과 암기력이 있어야하고 무수한 연습이 중요하다. 과학 깊게 선행할생각말고 국어와 수학이나.제대로 많이 많이해라 그것도 제대로 안되는 애가 과학선행하고있는건 미련한짓이다. 그거 다 선행완료하고 모의고사 안정적 1등급뜨는거 보고도 시간나면 수능볼 한과목중 젤 어려운것정도 잊지않게 계속해라.
@DWE409 : 예비고1인데 저 중학교때 과학 너무 좋아해서 수업 끝나고 쉬는시간에 복습하고 집가서 오늘 수업때 배운내용 칠반에다가 막 쓰고 기억 안나는건 확인해 보면서 공부했더니 100점 진짜 껌이에요 근데 문제집은 전혀 안풀고 프린트랑 교과서로만 공부했어요
@user-ri1yh9iq6j : 수학 과학은 암기가 맞는 것 같습니다! 10년인가 11년도에 여의도에서 배우고, 12년도 말에 수능봤지만 22년도 수학 생물을 풀어봐도 아직 다 맞네요... 왜 맞춘건지 모르겠는데 손이 이미 풀고 있습니다 ㅋㅋㅋ
짧은 시간 배웠지만 "웨버!" 처럼 장난 같은 설명은 12년 정도가 지나서 석사인 지금도 기억에 남네요 ㅋㅋㅋ
좋은 강의 응원합니다~!
@user-zw7st3rn3l : 100점이 나오기는 하는데요 지방이고 학군지가 아닌곳 이라 여기서 100점 이라고 잘하고 있는건 아닌것 같아요
선생님이 말씀 하시는 100점은 어느 지역 기준일까요? 대치동 학교 시험으로 풀려보고 기준으로 생각해야 하는거죠?
@user-je9rf3xe2c : 장풍님 덕에 중2울아들 과학 무지좋아합니다
감사합니다 ^^과학백점맞았어요^^
선행학습의 진실! 선행학습이 필요 없는 이유 알려드립니다 | 생각루트
서울대 출신 공학 박사가 알려주는 "공식이 아닌 대화"로 배워가는 수학 공부법,
창쌤과 함께 공부하고 싶다면 구독하기를 눌러주세요!
#수학공부법 #선행학습
@user-bs3uu7im4d : 선행학습은 필요합니다 단 개념이 완벽해야하죠
@user-in4lm9xb7z : 저희아이는 초2인데 수학유투브강의를 볼때 자꾸 강의듣고멈추고 자기가쌤한테질문하고 본인이설명하고 그렇게 강의를봐요 누가가르치지도않았는데 자꾸 대답도안하는 유투브선생님한테설명하고 보네요
수학을 저는 셋째라 전혀시키지않다가 애가 언니오빠인강에호기심이많아서 유투브강의 알아서보라했는데 뭔가 아는거는많은거같은데 문제집으로 훈련을안시켜서
지금 부터 개념이나강의말고 문제집선행이필요할까요
그리고 애는 1학년때 더하기1을하더니 지금은2학년인데 다양한연산을 실수없이하는데 지금중1연산도 호기심있어요 수학을어찌가르쳐야할지 벌써학원을 보내야하는건지 문제집을 기계적으로 풀리는게맞는건지 답답하네요
@yular6772 : 학교수업만 듣고 전국 수석한 사례가 일반적인 케이스가 아닌 것처럼. 말씀 하신 선행이 필요없다는 전제도 일반화하기 힘듭니다. 내려다보는 관점에서 사고력 기르면 현행으로 충분히 커버 가능하다 보는 논리자체가 기저에 숨어있는 낮은 등급 학생들을 기만하는 행위입니다. 같은 노력을 기울인다고 같은 결과가 도출되는게 아닙니다.
다수의 학생들은 절대적으로 선행이 필요합니다. 선행정도의 차이는 의견이 분분하나 대전제는 대부분 동의할 겁니다.
논리의 골자를 이해 못하는 바는 아닙니다. 그 시기에 해야할 논리적 사고를 선행으로 치트키 쓰는 형식은 맞지 않다라는 점이겠지요. 생각하는 과정을 빼았는 꼴이니...
저도 한동안 그렇게 생각했었을 정도니 뭐 이해는 합니다.
하지만 입시 수학은...음...굳이 따지자면 수학이 아니라 just 연산입니다. 복합적인 논리구조가 가미된 연산도 물론 있지만 거창하게 수학이라 할만한 과정은 아니라고 봅니다. 답이 정해져 있는 문제를 주고 "니가 과정만 유추해 봐"를 묻고 있는거니까요. 학부생 시절 목도했던 수학은 적어도 이런건 아니었잖아요.
요약하면 입시수학이란 훈련하고 학습하고 양치기해서 어느 정도 정복할 수 있는 영역 따위의 것이겠지요.
선행으로 득을 본 경우와 선행을 안해도 결과가 좋은 경우 모두 존재하겠지만 어느 쪽이 더 파이가 큰 지는 극명합니다.
때로는 튀는 이론이나 주장이 신선하긴 하나, 세상만사 안하는데는 이유가 있다 는 것 쯤은 깊이 새기셨으면 하네요.
@applesummer7053 : 지금은 고1부터가 중요ㅠㅠ
@user-cv4rz4tq6f : 20년차 현장 선생님입니다. 선행학습을 한 학생과 안한 학생은 차이가 납니다. 상위권으로 갈수록 편차는 더 커집니다. 입시 수학에서는 더 극명하게 차이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