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핀홀카메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신사임당 조회 7회 작성일 2024-03-11 10:03:18 댓글 0

본문

온두 핀홀카메라 Ι 바늘구멍카메라 Ι ONDU Ι

ONDU에서 핀홀카메라를 지원받아 영상을 리뷰하게 되었습니다. 핀홀카메라는 렌즈가 없이 렌즈가 있어야할 부분에 바늘구멍만 있는 카메라로 쉽게 생각하시면 카메라의 시초라고 할수 있습니다. 제가 실제로 사용하면서 느꼈던점, 아쉬웠던점 그리고 단점들에 대한 제 생각을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제가 영상에서 사용하는 카메라는 온두의 120중형필름을 사용하는 6*6 포켓입니다.

온두 공홈 : https://ondupinhole.com/
온두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ondu_pinhole/
필름장노출표 : https://drive.google.com/file/d/1S6UE5RsZIko-OS4vJu2CU7E5IqUd4WC9/view

#핀홀카메라 #바늘구멍카메라 #필름카메라
@user-yy3fg8nh2l : 재료가 나무라 손 때가 묻으면
고풍스러운
분위기가 날 것 같습니다.
아주 깔끔하고 예뻐서
끌어 댕기네요.ㅎㅎ
덕분에 좋은 구경을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psk2321 : 새롭게 알게 되었네요 ㅎㅎ
재임스님만의 풍경이 더 기대됩니다 ㅋㅋ
@CPA_fotog : 아 이게 자석을 굉장히 잘 활용해서 여러가지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카메라네요
아 필카 쓰고싶다 ㅋㅋㅋㅋㅋㅋㅋ
@user-wy3lp5gm1l : 신기하네요 ㅋㅋㅋ잘봤습니다~
@moonshickoh1874 : 재밌네요. 잘 봤습니다 ㅎㅎ

핀홀 카메라 만드는 방법 pinhole camera, 강종원카메라

강종원카메라,보안카메라
초소형 카메라 만들기

핀홀카메라를 교체하면 바늘구멍사에서도 영상을 똑똑하게 확인 할 수 있더군요.

은행 ATM기계나 산업현장의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합니다.

연료게이지,타이머,무선CCTV,원격확인,원격검치,실시간보기,레벨게이지를 확인합니다.

오늘은 핀홀 카메라 만드는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제로이미지 핀홀카메라 사용법을 알려드립니다 | zero image pinhole camera | 색다른 느낌의 핀홀카메라 사진! #zero image 핀홀카메라

제로이미지 핀홀카메라 사용법을 알려드립니다.
색다른 느낌의 사진을 원하시면 핀홀카메라 어떠세요?

화각이 넓은 카메라로 사진을 찍는게 재미있었습니다.
바로 앞에 있는 것도 거리가 있게 찍히더라고요. 반짝임도 좋고요!!
핀홀로 찍는건 즐거운 일입니다 :)




*필름을 좋아하신다면 slowlens.net에 놀러오세요.
슬로우렌즈(slowlens.net)는 사진관련 웹사이트로 웹진과 쇼핑몰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고래사진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한정스캔권 및 다양한 필름 관련 이벤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진 직접 찍으시죠?
스캔도 직접 해야 진짜 내 사진입니다. 취향에 따라 밝기, 색감 등을 조절하며 진짜 스캔하는 재미
. 1롤 현상 후 셀프스캔까지 최대 25분안에 가능합니다! 고래사진관에서는
업소용 고급 스캐너(코닥, 노리츠 중 선택)를 직접 체험할 수 있습니다.
밝기, 컨트라스트, 채도 등등을 모두 세밀하게 조절가능합니다. (체험 가능 스캐너 총 11대 운영으로 기다리실 필요가 없습니다)
@antonioyoung4630 : 핀홀 카메라가 필요하시면 고물이 되버린 집에 있는
SLR 필름카메라를 렌즈를 제거하고 바디와 렌즈마운트하는 쪽의 캡의 정 중앙에 1cm정도의 구멍을 뚫고 안으로 블랙 호일을 붙어 역시 2mm정도의 구멍을 내면 끝입니다 필름은 네거티브든 양화든 넣고 일반 카메라처럼 찍어보고 시간을 조절하면 됩니다 .말하자면 홀의구멍이 F라고 할 때 고정되어
있으니 셔터 스피드 ,즉 타임우선 방식으로 빛의 양
X를 받아 들이면 됩니다
노출의 기본은 조리개(F) 셔터스피드(T ) ,감도(ASA)
이며 세가지 값이 적정 할 때 좋은 사진이 됩니다 하지만 예술적 결과물을 위해 의도적으로 노출을 오버 시키거나 부족하게 주는 사진가들도 있습니다
또한 DP&E 할 때도 일부러 패턴을 굵게 해서 거친 이미지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렌즈와 필름의 거리에 따라 심도가 깊거나 얇은데 핀홀은 없고 대신 이를 보완하는 피사계심도가 있는데 카메라 렌즈를 보면 1.4, 2, 2.8,4 ,5.6 ,8 ~ 22 눈금이 있고 예를 들어 22는 황색 ,16은 적색 11은 적색 ,8은 그린색 ,5.6~이하는 흰색 , 숫자가 적을 수록 흐리고
높을수록 심도는 깊어 지는데 하얀색으로 칠해져 있는 숫자는
많이 개방되어 심도가 얇아 정확한 핀트가 요구 됩니다
이는 조리개가 빛을 많이 받아들이게 열러있고 거리를 맞추지만 조금이라도 핀트가 안 맞으면 결과물이 아웃되 버린다는 의미입니다 조리개의 숫자가 높을수록 거리의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면 그 앞쪽[近點]과 뒤쪽[遠點]의 일정한 거리 내에 초점이 맞는데 이때 그 범위를 이르는 말이 피사계 심도입니다 그러니까 당연히 조리계를 열수록 정확하게 핀트를 맞춰야 하며 피사체의 거리가 멀면 조리개를 최대 개방하지 않는한 심도가 얇습니다
핀홀 카메라를 사용하려면 초점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조금씩 흐려지나 흐림이 매우 적은 피사계심도 내에서는 초점을 맞춘 거리와 같은 정도로 선명하게 찍히며 이것을 피사계심도의 기준이 되는 허용흐림이라고 해요
보통 전방보다도 후방심도가 크므로 의식적으로 앞쪽에 초점을 맞추면 피사계심도를 유효하게 쓸 수 있죠
피사계심도는 렌즈를 좁힐수록 또는 피사체 거리가 멀수록 심도는 깊어진다는 겁니다
핀홀 카메라는 일단 심도를 깊이 하려면 밝은 환경에다 가깝지 않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게 좋습니다
역광일 경우 렌즈가 없으므로 할레이션이나 플레어 현상이 일어난다
@BRISNAPTV : 오 카메라 퀄리티 좋아보이네요 ~

... 

#무선 핀홀카메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325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