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곡동 무보증월세
페이지 정보
본문
[단독] "단물까지 다 빨아먹었다"…전세 사기범 집도 '단기 임대' / SBS 8뉴스
〈앵커〉
전세 사기로 경매에 넘어간 집을 단기 임대로 돌리는 사례, 얼마 전 전해 드렸습니다. 저희가 추가로 취재해 봤더니 일부 부동산들이 연합해서 빈 경매 주택들을 관리하고 있는 정황이 확인됐는데, 이들은 큰 피해를 낳았던 전세 사기범 집들도 단기 임대하고 있다고 인정했습니다.
먼저 이호건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무보증 단기 월세 물량을 대거 내놓은 인천의 한 부동산.
다른 부동산과 함께 연합으로 이미 빌라 수천 채를 임대 내줬다며, 문의해 온 임대인에게 집을 맡기라 권유합니다.
[A 부동산 관계자 : ○○부동산이랑은 협업을 하고요. 임대인은 한 7~8명 정도 돼요. 저희 부동산에서 관리하는 것만 지금 1,500채에요.]
관리하는 직원만 18명,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해 경매 넘어간 채 비어있는 집들이 대상입니다.
[A 부동산 관계자 : 저 혼자 관리하는 게 한 180채 정도 되고요. 이것만 저희 전문적으로 하고 있어요. 사실 저희가 지금 들어가고 있는 사람들 중에 80%, 70%가 다 경매에요.]
인천의 또 다른 부동산도 같은 방법으로 단기 월세를 받습니다.
[B 부동산 관계자 : 장담 드리는데 저희 이길 데 없을 겁니다. 저희가 7백몇 개가 될 거예요. 세입자가 맞춰져 있는 집이요. 총 나올 집이 한 2천2백 개가 넘을 겁니다.]
피해가 집중된 인천 미추홀과 강서구 화곡 등의 전세 사기범들 집도 관리한다고 말합니다.
[B 부동산 관계자 : 저희 구속된 사람도 하고 있습니다. 혹시 박○○, 최○○, 권○○ 아실까요? 임대인분이 아실 만한 '네임드'들은 거의 다 저희가 하고 있다고 보시면 되고요. 감옥에 가서 이분 인감증명서랑 인감도장 받아올 수 있는 대리인이 필요합니다.]
월세 수익금은 임대인과 절반씩 나눠 갖는 구조입니다.
[B 부동산 관계자 : 무조건 50대 50입니다. 임대인분 50% 드릴 거고 저희 50% 가져갑니다.]
[A 부동산 관계자 : 단물까지 다 빨아먹었습니다. 1년 4개월 동안 조심스러워야 될 상황이 생긴 적이 단 한 번도 없었어요.]
해당 부동산들을 찾아갔더니, 전세 사기범 집을 포함해 빈 경매 주택들을 대규모로 단기 임대한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A 부동산 관계자 : 그거 다 소화 못 해요. 너무 많아요. (전국 다 하면 뭐 만 채는 되겠네요?) 몇만 채 되는 거, 몇십만 채 되는 거죠.]
이들은 SBS 취재에 대해 불법은 아니라며 오히려 빈집들을 대신 관리해 주는 측면도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영상편집 : 소지혜, 디자인 : 최하늘, VJ : 박현우)
☞더 자세한 정보
https://news.sbs.co.kr/y/?id=N1007543671
☞[SBS 단독보도] 기사 모아보기
https://news.sbs.co.kr/y/t/?id=10000000034
#SBS단독보도 #전세사기 #단기임대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https://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user-mu1kg3pd4y : 모든것을 공인중개사가 책임지도록 해야 법을바꾸어야한다 모든책임도 물어야한다
@user-kd2dn7ye3e : 공인중개사 의 책임이 강화되어야 합니다.
@user-on8mt4rl7r : 중개 해주고 나몰라라 하는 중개인 관련 법도 하나 만들어라
@masterguy9706 : 이번 기회에 저 중개인들 자격 박탈하면 선거에서도 좋은 평가 얻을텐데...머리가 그렇게 안돌아가나...
@user-kf4pw1jj5w : 중개를 돈주고 맡기는 이유는 그만큼의 책임을 지라는 얘기인데
전혀 책임지어지지 않고 문제가 생기면 그 피해는 다 소비자가 지는 우리나라 구조
"6개월 사는 데 문제 없어"…저렴했던 월세방의 정체 / SBS 8뉴스
〈앵커〉
이런 전세 사기에 더해서 나랏돈으로 보증금을 갚아준 주택에 월세를 놓는 나쁜 임대인들이 있다고 어제(10일) 전해드렸는데요. 그런데 이런 꼼수에 공인중개사가 깊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안상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악성 임대인 백 모 씨가 주택도시보증공사, HUG가 전세 보증금을 대신 갚은 집에 월세 세입자를 들인 것은 파악된 것만 7채에 달합니다.
그런데 이 계약들은 모두 인천의 한 부동산에서 중개가 이뤄졌습니다.
이 부동산에서는 지금도 이렇게 또 다른 단기 월세 매물 광고를 올려서 새로운 세입자를 유인하고 있는데요.
저희는 정말 이게 문제는 없는 건지, 직접 찾아가 봤습니다.
먼저 전세 사기 피해 주택이 거래되고 있는지를 물었습니다.
[부동산 관계자 : 그런 부분은 제가 업무상 비밀이다 보니까 말씀 자세히 드릴 수는 없는데, 저희는 아무런 그런 건 없습니다.]
백 씨의 이름을 대자 이내 말이 바뀝니다.
[부동산 관계자 : 좋은 물건을 주셨는데 제가 그거에 대해서 무슨 물건인지 꼬치꼬치 캐물어 버리면 기분 좋아하겠어요? 제가 어떻게 그렇게 하겠어요.]
이곳에서 중개보조원으로 일했던 A 씨는 부동산이 연관돼 있다 말합니다.
[A 씨/전 중개보조원 : '오전에 HUG에서 담당자랑 세입자 빠져나감. 비밀번호는 몇 번' 이렇게 업무 소통방에 카톡이 와요. 그리고서 그다음 날쯤에 (매물) 사진을 찍으러 가거든요.]
전세 사기 피해 주택으로 경매가 예정된 주택임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고 저렴한 월세 매물로 둔갑시킨 겁니다.
[A 씨/전 중개보조원 : '6개월 동안 사는 데 문제가 없을 거다' 이런 식으로 계약을 했어요.]
정부가 대신 보증금을 내준 전세 사기 피해 주택들이 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있다는 점을 악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A 씨/전 중개보조원 : 단기 월세 하기도 바빴어요. 매물이 워낙 많이 나오니까, '2년은 우리는 진짜 배 터지게 먹고 살 거다'라고….]
악성 임대인 주택의 월세를 중개한 또 다른 부동산은 세입자의 항의에 자신들은 상관이 없다며 발뺌했습니다.
[단기 월세 세입자 : (부동산에선) '그건 부동산이랑 별개고 집주인이랑 문제 있는 거 아니냐 모른다' 그냥 이렇게 하고 말았거든요.]
정부가 전세 사기 피해 예방을 위해 중개사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안을 내놨지만, 아직 법은 국회에서 논의 중이고 현장에서도 큰 변화가 없습니다.
[김대진 변호사/세입자114센터 사무처장 : 보증 사고를 낸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계약을 하게 된다면 임차인 입장에선 수선 문제라든지 또 기간 연장이나 계약 종료에 있어서 여러 가지 불이익을 당할 수 (있습니다.)]
국토부는 신종 사기 유형 확산을 막기 위해, 대위 변제 시점에 보증기관이 사용수익권을 갖도록 하는 등 관련 법 개정을 관계 부처와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황인석, 영상편집 : 최혜영, VJ : 박현우)
☞더 자세한 정보
https://news.sbs.co.kr/y/?id=N1007188379
#8뉴스 #전세사기 #월세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user-sz8qh8cc7t : 꽁인중개사들도 책임을 물어야 합니다 도대체 이 중개사는 철밥통입니까 왜 책임을 지지 않나요 화가 납니다
@nyang-e : 저런 중계사들 면허취소시켜버리면 바로 해결됨
@Socoool67 : 진짜... 아무도 믿으면 안되는구나
@yuna-lp9ve : 이사를 해야하는데 영 맘에 드는 집이 없어서 단기 3개월이나 6개월 들어가서 지내면서 좀 더 알아볼 생각으로 단기월세 보고있는데 이건 더 첩첩산중 ㅜ
@mdeg7870 : 저런 공인중개사 엄벌로 다스려야 99프로 정직한 공인중개사가 산다.
[자막뉴스] 이제 월세 사기까지…전국 120여 명 속인 '가짜 집주인' / 2023.04.25.
지난해 12월, 김 모 씨는 월세로 인천의 한 빌라에 입주했습니다.
문을 열어주고 안내해준 조 모 씨와 계약서를 썼습니다.
[김OO/월세 사기 피해자 : "(부동산) 애플리케이션이 있는데 집주인 직거래 매물이고 하니까. 세 번 다 문을 열어주고 자기가 소개를 해주길래 당연히 집주인인 줄 알고…."]
이삿날, 비밀번호가 달라 현관문이 안 열렸지만, 착오로만 여겼습니다.
[김OO/월세 사기 피해자 : "지금 이삿짐 아저씨도 와 계시는데 (주인한테) 그랬더니 '열쇠공을 불러서 문을 따야 할 것 같다'고…."]
그런데 이사 한 달 뒤, '경매 광고지'가 날아들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더니 지난 주말, 진짜 집주인이라는 사람이 찾아왔습니다.
알고 보니 지난해 7월, 경매에 넘어간 집이었습니다.
[김OO/월세 사기 피해자 : "그 사람 사기꾼인데 이러더라고요. (현관문) 비밀번호를 바꿔 놨는데도 또 기어들어 가서 또 사기를 쳤냐고…."]
김 씨는 월세 보증금 3백만 원을 날렸고, 언제 집을 빼줘야 할지 모릅니다.
취업준비생 노 모 씨도 조 씨에게 같은 피해를 입었습니다.
지난해 11월 부산에서 오피스텔 월세 계약을 했다가 역시 보증금 3백만 원을 날리게 된 겁니다.
[노OO/월세 사기 피해자 : "이렇게 많이 계약했었다. 자기를 믿고 거래해도 된다. 전세에 비해서 그렇게 큰 금액이 아니기 때문에 사기가 있을 거라고 생각을 못 했던 것 같습니다."]
조 씨는 인터넷에서 압류된 집 등 빈집 정보를 알아낸 뒤, 부동산 직거래 앱에 등록하고 집주인 행세를 하며 가짜 월세 계약을 맺어왔습니다.
이런 수법으로 인천과 부산 등 전국 곳곳에서 120여 명이 조 씨에게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됩니다.
경찰은 조 씨를 사기 혐의로 검찰에 송치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이도윤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 최하운/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이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월세사기 #전세사기 #빈집
@user-yz7vr5zf1v : 월세 사기 가짜 집주인들을 전부 다 각각 징역 20년에 쳐 하도록 하라
@cedarred5050 : 댓글들이 짜증나네.
확인 꼼꼼히 안 한게 잘한건 아니지만 사기친 놈이 잘못이지 당한 사람들한테 당할만했다는 소리가 왜 나와?
@dong-younhwang9636 : 액수의 크기와 상관없이 주거관련 사기범들은 무기징혁에 처하라.
@user-yu3jy3lh9s : 사기친놈들 처벌이 약하니 깜방 갔다나와
재범확률 높다 법위에서 군림하는 사기꾼
제발 중형으로 처벌해야
@sh_lucky : 월세의 경우 중개수수료가 얼마안되니 안전하게 부동산에서 계약하는게 좋겠네요. 사회초년생들이 유독 피해를 많이 당해 큰일입니다.
〈앵커〉
전세 사기로 경매에 넘어간 집을 단기 임대로 돌리는 사례, 얼마 전 전해 드렸습니다. 저희가 추가로 취재해 봤더니 일부 부동산들이 연합해서 빈 경매 주택들을 관리하고 있는 정황이 확인됐는데, 이들은 큰 피해를 낳았던 전세 사기범 집들도 단기 임대하고 있다고 인정했습니다.
먼저 이호건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무보증 단기 월세 물량을 대거 내놓은 인천의 한 부동산.
다른 부동산과 함께 연합으로 이미 빌라 수천 채를 임대 내줬다며, 문의해 온 임대인에게 집을 맡기라 권유합니다.
[A 부동산 관계자 : ○○부동산이랑은 협업을 하고요. 임대인은 한 7~8명 정도 돼요. 저희 부동산에서 관리하는 것만 지금 1,500채에요.]
관리하는 직원만 18명,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해 경매 넘어간 채 비어있는 집들이 대상입니다.
[A 부동산 관계자 : 저 혼자 관리하는 게 한 180채 정도 되고요. 이것만 저희 전문적으로 하고 있어요. 사실 저희가 지금 들어가고 있는 사람들 중에 80%, 70%가 다 경매에요.]
인천의 또 다른 부동산도 같은 방법으로 단기 월세를 받습니다.
[B 부동산 관계자 : 장담 드리는데 저희 이길 데 없을 겁니다. 저희가 7백몇 개가 될 거예요. 세입자가 맞춰져 있는 집이요. 총 나올 집이 한 2천2백 개가 넘을 겁니다.]
피해가 집중된 인천 미추홀과 강서구 화곡 등의 전세 사기범들 집도 관리한다고 말합니다.
[B 부동산 관계자 : 저희 구속된 사람도 하고 있습니다. 혹시 박○○, 최○○, 권○○ 아실까요? 임대인분이 아실 만한 '네임드'들은 거의 다 저희가 하고 있다고 보시면 되고요. 감옥에 가서 이분 인감증명서랑 인감도장 받아올 수 있는 대리인이 필요합니다.]
월세 수익금은 임대인과 절반씩 나눠 갖는 구조입니다.
[B 부동산 관계자 : 무조건 50대 50입니다. 임대인분 50% 드릴 거고 저희 50% 가져갑니다.]
[A 부동산 관계자 : 단물까지 다 빨아먹었습니다. 1년 4개월 동안 조심스러워야 될 상황이 생긴 적이 단 한 번도 없었어요.]
해당 부동산들을 찾아갔더니, 전세 사기범 집을 포함해 빈 경매 주택들을 대규모로 단기 임대한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A 부동산 관계자 : 그거 다 소화 못 해요. 너무 많아요. (전국 다 하면 뭐 만 채는 되겠네요?) 몇만 채 되는 거, 몇십만 채 되는 거죠.]
이들은 SBS 취재에 대해 불법은 아니라며 오히려 빈집들을 대신 관리해 주는 측면도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영상편집 : 소지혜, 디자인 : 최하늘, VJ : 박현우)
☞더 자세한 정보
https://news.sbs.co.kr/y/?id=N1007543671
☞[SBS 단독보도] 기사 모아보기
https://news.sbs.co.kr/y/t/?id=10000000034
#SBS단독보도 #전세사기 #단기임대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https://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user-mu1kg3pd4y : 모든것을 공인중개사가 책임지도록 해야 법을바꾸어야한다 모든책임도 물어야한다
@user-kd2dn7ye3e : 공인중개사 의 책임이 강화되어야 합니다.
@user-on8mt4rl7r : 중개 해주고 나몰라라 하는 중개인 관련 법도 하나 만들어라
@masterguy9706 : 이번 기회에 저 중개인들 자격 박탈하면 선거에서도 좋은 평가 얻을텐데...머리가 그렇게 안돌아가나...
@user-kf4pw1jj5w : 중개를 돈주고 맡기는 이유는 그만큼의 책임을 지라는 얘기인데
전혀 책임지어지지 않고 문제가 생기면 그 피해는 다 소비자가 지는 우리나라 구조
"6개월 사는 데 문제 없어"…저렴했던 월세방의 정체 / SBS 8뉴스
〈앵커〉
이런 전세 사기에 더해서 나랏돈으로 보증금을 갚아준 주택에 월세를 놓는 나쁜 임대인들이 있다고 어제(10일) 전해드렸는데요. 그런데 이런 꼼수에 공인중개사가 깊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안상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악성 임대인 백 모 씨가 주택도시보증공사, HUG가 전세 보증금을 대신 갚은 집에 월세 세입자를 들인 것은 파악된 것만 7채에 달합니다.
그런데 이 계약들은 모두 인천의 한 부동산에서 중개가 이뤄졌습니다.
이 부동산에서는 지금도 이렇게 또 다른 단기 월세 매물 광고를 올려서 새로운 세입자를 유인하고 있는데요.
저희는 정말 이게 문제는 없는 건지, 직접 찾아가 봤습니다.
먼저 전세 사기 피해 주택이 거래되고 있는지를 물었습니다.
[부동산 관계자 : 그런 부분은 제가 업무상 비밀이다 보니까 말씀 자세히 드릴 수는 없는데, 저희는 아무런 그런 건 없습니다.]
백 씨의 이름을 대자 이내 말이 바뀝니다.
[부동산 관계자 : 좋은 물건을 주셨는데 제가 그거에 대해서 무슨 물건인지 꼬치꼬치 캐물어 버리면 기분 좋아하겠어요? 제가 어떻게 그렇게 하겠어요.]
이곳에서 중개보조원으로 일했던 A 씨는 부동산이 연관돼 있다 말합니다.
[A 씨/전 중개보조원 : '오전에 HUG에서 담당자랑 세입자 빠져나감. 비밀번호는 몇 번' 이렇게 업무 소통방에 카톡이 와요. 그리고서 그다음 날쯤에 (매물) 사진을 찍으러 가거든요.]
전세 사기 피해 주택으로 경매가 예정된 주택임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고 저렴한 월세 매물로 둔갑시킨 겁니다.
[A 씨/전 중개보조원 : '6개월 동안 사는 데 문제가 없을 거다' 이런 식으로 계약을 했어요.]
정부가 대신 보증금을 내준 전세 사기 피해 주택들이 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있다는 점을 악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A 씨/전 중개보조원 : 단기 월세 하기도 바빴어요. 매물이 워낙 많이 나오니까, '2년은 우리는 진짜 배 터지게 먹고 살 거다'라고….]
악성 임대인 주택의 월세를 중개한 또 다른 부동산은 세입자의 항의에 자신들은 상관이 없다며 발뺌했습니다.
[단기 월세 세입자 : (부동산에선) '그건 부동산이랑 별개고 집주인이랑 문제 있는 거 아니냐 모른다' 그냥 이렇게 하고 말았거든요.]
정부가 전세 사기 피해 예방을 위해 중개사의 책임을 강화하는 방안을 내놨지만, 아직 법은 국회에서 논의 중이고 현장에서도 큰 변화가 없습니다.
[김대진 변호사/세입자114센터 사무처장 : 보증 사고를 낸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계약을 하게 된다면 임차인 입장에선 수선 문제라든지 또 기간 연장이나 계약 종료에 있어서 여러 가지 불이익을 당할 수 (있습니다.)]
국토부는 신종 사기 유형 확산을 막기 위해, 대위 변제 시점에 보증기관이 사용수익권을 갖도록 하는 등 관련 법 개정을 관계 부처와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황인석, 영상편집 : 최혜영, VJ : 박현우)
☞더 자세한 정보
https://news.sbs.co.kr/y/?id=N1007188379
#8뉴스 #전세사기 #월세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user-sz8qh8cc7t : 꽁인중개사들도 책임을 물어야 합니다 도대체 이 중개사는 철밥통입니까 왜 책임을 지지 않나요 화가 납니다
@nyang-e : 저런 중계사들 면허취소시켜버리면 바로 해결됨
@Socoool67 : 진짜... 아무도 믿으면 안되는구나
@yuna-lp9ve : 이사를 해야하는데 영 맘에 드는 집이 없어서 단기 3개월이나 6개월 들어가서 지내면서 좀 더 알아볼 생각으로 단기월세 보고있는데 이건 더 첩첩산중 ㅜ
@mdeg7870 : 저런 공인중개사 엄벌로 다스려야 99프로 정직한 공인중개사가 산다.
[자막뉴스] 이제 월세 사기까지…전국 120여 명 속인 '가짜 집주인' / 2023.04.25.
지난해 12월, 김 모 씨는 월세로 인천의 한 빌라에 입주했습니다.
문을 열어주고 안내해준 조 모 씨와 계약서를 썼습니다.
[김OO/월세 사기 피해자 : "(부동산) 애플리케이션이 있는데 집주인 직거래 매물이고 하니까. 세 번 다 문을 열어주고 자기가 소개를 해주길래 당연히 집주인인 줄 알고…."]
이삿날, 비밀번호가 달라 현관문이 안 열렸지만, 착오로만 여겼습니다.
[김OO/월세 사기 피해자 : "지금 이삿짐 아저씨도 와 계시는데 (주인한테) 그랬더니 '열쇠공을 불러서 문을 따야 할 것 같다'고…."]
그런데 이사 한 달 뒤, '경매 광고지'가 날아들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더니 지난 주말, 진짜 집주인이라는 사람이 찾아왔습니다.
알고 보니 지난해 7월, 경매에 넘어간 집이었습니다.
[김OO/월세 사기 피해자 : "그 사람 사기꾼인데 이러더라고요. (현관문) 비밀번호를 바꿔 놨는데도 또 기어들어 가서 또 사기를 쳤냐고…."]
김 씨는 월세 보증금 3백만 원을 날렸고, 언제 집을 빼줘야 할지 모릅니다.
취업준비생 노 모 씨도 조 씨에게 같은 피해를 입었습니다.
지난해 11월 부산에서 오피스텔 월세 계약을 했다가 역시 보증금 3백만 원을 날리게 된 겁니다.
[노OO/월세 사기 피해자 : "이렇게 많이 계약했었다. 자기를 믿고 거래해도 된다. 전세에 비해서 그렇게 큰 금액이 아니기 때문에 사기가 있을 거라고 생각을 못 했던 것 같습니다."]
조 씨는 인터넷에서 압류된 집 등 빈집 정보를 알아낸 뒤, 부동산 직거래 앱에 등록하고 집주인 행세를 하며 가짜 월세 계약을 맺어왔습니다.
이런 수법으로 인천과 부산 등 전국 곳곳에서 120여 명이 조 씨에게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됩니다.
경찰은 조 씨를 사기 혐의로 검찰에 송치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이도윤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 최하운/영상편집:여동용/그래픽:이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월세사기 #전세사기 #빈집
@user-yz7vr5zf1v : 월세 사기 가짜 집주인들을 전부 다 각각 징역 20년에 쳐 하도록 하라
@cedarred5050 : 댓글들이 짜증나네.
확인 꼼꼼히 안 한게 잘한건 아니지만 사기친 놈이 잘못이지 당한 사람들한테 당할만했다는 소리가 왜 나와?
@dong-younhwang9636 : 액수의 크기와 상관없이 주거관련 사기범들은 무기징혁에 처하라.
@user-yu3jy3lh9s : 사기친놈들 처벌이 약하니 깜방 갔다나와
재범확률 높다 법위에서 군림하는 사기꾼
제발 중형으로 처벌해야
@sh_lucky : 월세의 경우 중개수수료가 얼마안되니 안전하게 부동산에서 계약하는게 좋겠네요. 사회초년생들이 유독 피해를 많이 당해 큰일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