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
페이지 정보
본문
축산 | 동물을 교배해서 혼종 만드는 게임
▶긴착맨(침착맨 풀버전) 재생목록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r...)
▶2021년 11월 9일 방송분
()
▶편집: 8호 침투부수호자
▶썸네일: 8호 침투부수호자
밀려드는 미국, 호주산…"이제 줄도산만 남았다" [9시 뉴스] / KBS 2023.04.26.
산지 솟값은 곤두박질치는데 사룟값은 폭등하면서 축산 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2년 동안 한우 농가 2만 여곳이 줄도산할 거라는 전망까지 나왔습니다. 이용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비닐로 칭칭 동여맨 볏짚이 수북합니다.
치솟는 사룟값을 견디지 못한 축산농가들이 어쩔 수 없이 볏짚으로 사료를 만들어 먹이고 있습니다.
[구자운/충남 예산군 축산개발팀장 : "농가에서 직접 사료를 만들면 사료비를 30% 정도 절감할 수 있는데, 여기에 필요한 미생물을 생산해서 전체 농가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곡물 가격이 폭등하면서 지난 2년 동안 배합사료 가격은 50%가량 뛰었습니다.
하지만 한우 소비는 둔화되면서 이달 들어 도매 가격은 1㎏에 만 5천 원 선으로 2년 전보다 오히려 30% 떨어졌습니다.
[이지원/한우 사육 농민 : "막상 경매돼서 들어온 금액을 보면 생산비조차 안 나오는 게 현실이에요, 지금. 소를 팔면 팔수록 손해라는 게…"]
한우정책연구소는 송아지를 24개월 동안 키워 현 시세대로 팔면 한 마리에 415만 원 순손실을 본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가다간 전체 한우 농가의 24%에 해당하는 2만 천 농가가 도산할 수 있다며 사룟값 안정 대책을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서영석/한우정책연구소 정책지도국장 : "농가나 정부나 사료업체에서 '사료 안정 기금을 만들어서 한번 써보자.'라는 요구를 하고 있는데, 그 부분은 아직 반영 안 돼서 계속 요구하고 있고..."]
3년 뒤 미국산, 5년 뒤엔 호주산 쇠고기 관세가 철폐됩니다.
더욱이 한·메르코수르 자유무역협정 협상 결과에 따라 남미산 쇠고기마저 수입되면 한우 생산 기반 붕괴가 가속화될 것이라며 농가들은 촉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용순입니다.
촬영기자:이동훈\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7661679\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한우 #산지 #도매가
한우 한마리 가격은 얼마일까?ㅣ하락가격공개ㅣ축산업ㅣ궁금증ㅣ시골생활ㅣ일상브이로그ㅣ가격비교
#한우 #가격비교 #시골 #축산업 #브이로그 #힐링
안녕하세요 영농이여러분!
최근 들어 날씨가 참 변덕스럽네요 이럴때일수록 감기 조심하시구요!
오늘은 남편이 준비한 업로드 내용인데, 소통남인만큼? 소와 관련된 주제랍니다! ㅎㅎ
오늘도 재밌게 시청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조금이나마 시청하시면서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녁식사 맛있게 하시구요!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용!
감사합니다!
▶긴착맨(침착맨 풀버전) 재생목록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r...)
▶2021년 11월 9일 방송분
()
▶편집: 8호 침투부수호자
▶썸네일: 8호 침투부수호자
밀려드는 미국, 호주산…"이제 줄도산만 남았다" [9시 뉴스] / KBS 2023.04.26.
산지 솟값은 곤두박질치는데 사룟값은 폭등하면서 축산 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2년 동안 한우 농가 2만 여곳이 줄도산할 거라는 전망까지 나왔습니다. 이용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비닐로 칭칭 동여맨 볏짚이 수북합니다.
치솟는 사룟값을 견디지 못한 축산농가들이 어쩔 수 없이 볏짚으로 사료를 만들어 먹이고 있습니다.
[구자운/충남 예산군 축산개발팀장 : "농가에서 직접 사료를 만들면 사료비를 30% 정도 절감할 수 있는데, 여기에 필요한 미생물을 생산해서 전체 농가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곡물 가격이 폭등하면서 지난 2년 동안 배합사료 가격은 50%가량 뛰었습니다.
하지만 한우 소비는 둔화되면서 이달 들어 도매 가격은 1㎏에 만 5천 원 선으로 2년 전보다 오히려 30% 떨어졌습니다.
[이지원/한우 사육 농민 : "막상 경매돼서 들어온 금액을 보면 생산비조차 안 나오는 게 현실이에요, 지금. 소를 팔면 팔수록 손해라는 게…"]
한우정책연구소는 송아지를 24개월 동안 키워 현 시세대로 팔면 한 마리에 415만 원 순손실을 본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가다간 전체 한우 농가의 24%에 해당하는 2만 천 농가가 도산할 수 있다며 사룟값 안정 대책을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서영석/한우정책연구소 정책지도국장 : "농가나 정부나 사료업체에서 '사료 안정 기금을 만들어서 한번 써보자.'라는 요구를 하고 있는데, 그 부분은 아직 반영 안 돼서 계속 요구하고 있고..."]
3년 뒤 미국산, 5년 뒤엔 호주산 쇠고기 관세가 철폐됩니다.
더욱이 한·메르코수르 자유무역협정 협상 결과에 따라 남미산 쇠고기마저 수입되면 한우 생산 기반 붕괴가 가속화될 것이라며 농가들은 촉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용순입니다.
촬영기자:이동훈\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7661679\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
#한우 #산지 #도매가
한우 한마리 가격은 얼마일까?ㅣ하락가격공개ㅣ축산업ㅣ궁금증ㅣ시골생활ㅣ일상브이로그ㅣ가격비교
#한우 #가격비교 #시골 #축산업 #브이로그 #힐링
안녕하세요 영농이여러분!
최근 들어 날씨가 참 변덕스럽네요 이럴때일수록 감기 조심하시구요!
오늘은 남편이 준비한 업로드 내용인데, 소통남인만큼? 소와 관련된 주제랍니다! ㅎㅎ
오늘도 재밌게 시청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조금이나마 시청하시면서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녁식사 맛있게 하시구요!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용!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