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진단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야쿠르트 조회 15회 작성일 2024-05-19 18:31:01 댓글 0

본문

뒤늦게 장애등급 신청하시려는 분들 필독

오래전 병원진료기록 찾기 힘드시죠?

▶공식카페 https://cafe.naver.com/jaehwal100
▶블로그 https://blog.naver.com/sjseol523

✔ 간단한 질문은 댓글로, 사진첨부 필요한 질문은 네이버 카페로.
✔ 기타문의 sjseol523@naver.com

#장애등급

심부전 환자의 장애 진단 [AMC 병법]

Q. 심부전으로 장애진단을 받을 수 있나요?

심부전 환자의 장애판정 기준에 의한 심장장애인의 정의는, 심장의 기능 부전으로 인해 일상생활 정도의 활동에도 호흡곤란 등의 장애가 있어서 일상생활 활동에 현저한 제한을 받는 사람을 뜻합니다.
따라서 심장장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장애진단 직전 1년 이상 지속해서 내과, 소아청소년과 또는 흉부외과의 진료를 받아야 하며, 장애진단을 하는 전문의가 확인한 장애판정 직전 1년 이상의 상태에 따라 판정하게 됩니다.
이러한 심장장애는 1급에서 5급까지 5개의 항목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따라서 심부전 환자가 심장장애진단을 받고자 할 때는 동일 심장질환에 대해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진료한 전문의와 상의해 환자 본인의 상태를 확인받는 것이 좋습니다.

심장판막질환 치료 후 장애진단 [AMC 병법]

Q. 시술이나 수술 후에 장애진단을 받을 수 있나요?

심장장애 판정 기준은 운동부하검사 또는 심장질환 증상의 중등도, 심장 초음파 검사, 핵의학검사, 심장 수술 및 중재 시술 병력, 입원 병력, 입원횟수, 치료병력 등의 세부사항을 점수로 환산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심방중격결손이나 판막의 수술을 받은 대부분 환자는 심장 기능이 정상이고 증상도 치료받기 전에 비해 호전되는 경우가 더 많아서 시술이나 수술을 받았다는 것만으로 심장장애에 해당되지 않고, 장애판정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송종민 교수 /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 심장내과

... 

#장애진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275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