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위로금
페이지 정보
본문
#103 노동백과시선, 퇴직위로금과 퇴직금의 세금처리
퇴직할 때 받게 되는 퇴직금과 퇴직위로금. 이렇게 퇴직시 받는 여러가지 금원을 어떻게 받느냐에 따라 세금도 크게 달라지는데 이에 대해 김노무사가 친절하게 설명해 드립니다.
권고사직 위로금 금액을 알아보자 (실업급여, 부당해고 금전보상)
#권고사직위로금 #해고실업급여 #왕노무사
알아두면 일하는 사람들에게 힘이 되는 노동법 상식
- 실업급여 : 권고사직 vs 해고
- 위로금 왜 줘야 하죠?
- 위로금은 케바케, 3개월?, 내부 관행 확인, 본인 멘탈 체크
- 권고사직 거부와 괴롭힘의 시작
#구독과좋아요는힘이됩니다
개별상담은 카톡 kwy0131 로 연락주세요
'권고사직으로 퇴사하면 위로금을 받을 수 있나요?' 권고사직과 퇴직 위로금 - 공인노무사 박현웅 강의
노동법 전문서적 베스트셀러 저자에게 직접 듣는 특강!
[쉽게 풀어 쓴 노동법], [일하는 사람들을 위한 쏙쏙 노동법] 저자 박현웅 노무사의 노동법 강의
- 근로계약을 체결하면 근로자와 사용자 모두 근로계약 기간을 준수해야 하지만 중도 퇴사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 의원면직: 근로계약 기간이 남은 상태에서 근로자가 퇴사 의사를 밝히는 것
* 권고사직: 근로계약 기간이 남은 상태에서 회사가 근로자에게 퇴직을 권하는 것
- 근로자는 권고사직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 권고사직을 근로자가 수용하면 합의된 날짜에 근로계약은 종료가 됩니다
- 이 과정에서 '3개월의 위로금'이 지급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의무사항은 아닙니다
- 그러나 근로계약서/취업규칙/단체협약 등으로 정하거나 관행으로 퇴직 위로금이 지급되어 왔다면 지급해야 합니다
- 회사가 퇴직 유도를 위해 퇴직 위로금을 지급하는 경우도 있고, 근로자가 퇴직 위로금 지급을 퇴직 조건으로 요구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저서를 참고하세요]
★ 일하는 사람들을 위한 쏙쏙 노동법 ★
p.276 '권고사직과 해고는 같은 것인가요?''
★ 쉽게 풀어 쓴 노동법 ★
p.556 '권고사직
[키워드]
#권고사직 #퇴직 #위로금 #명예퇴직 #퇴직위로금 #해고 #근로계약 #의원면직 #노동법 #근로기준법
박현웅 노무사의 인사만사 - 네이버카페
https://cafe.naver.com/in4man4
박현웅 노무사 저서 구입 - 도서출판 푸른겨울
https://smartstore.naver.com/greenwinter_books
박현웅 노무사의 쉽게 풀어 쓴 노동법 -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thruth98
박현웅 노무사의 쏙쏙 노동법 - 유튜브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oypvnyqK_N1fQ7tmq_9zng
박현웅 노무사의 쏙쏙 노동법 - 네이버TV
https://tv.naver.com/laborlaw
퇴직할 때 받게 되는 퇴직금과 퇴직위로금. 이렇게 퇴직시 받는 여러가지 금원을 어떻게 받느냐에 따라 세금도 크게 달라지는데 이에 대해 김노무사가 친절하게 설명해 드립니다.
권고사직 위로금 금액을 알아보자 (실업급여, 부당해고 금전보상)
#권고사직위로금 #해고실업급여 #왕노무사
알아두면 일하는 사람들에게 힘이 되는 노동법 상식
- 실업급여 : 권고사직 vs 해고
- 위로금 왜 줘야 하죠?
- 위로금은 케바케, 3개월?, 내부 관행 확인, 본인 멘탈 체크
- 권고사직 거부와 괴롭힘의 시작
#구독과좋아요는힘이됩니다
개별상담은 카톡 kwy0131 로 연락주세요
'권고사직으로 퇴사하면 위로금을 받을 수 있나요?' 권고사직과 퇴직 위로금 - 공인노무사 박현웅 강의
노동법 전문서적 베스트셀러 저자에게 직접 듣는 특강!
[쉽게 풀어 쓴 노동법], [일하는 사람들을 위한 쏙쏙 노동법] 저자 박현웅 노무사의 노동법 강의
- 근로계약을 체결하면 근로자와 사용자 모두 근로계약 기간을 준수해야 하지만 중도 퇴사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 의원면직: 근로계약 기간이 남은 상태에서 근로자가 퇴사 의사를 밝히는 것
* 권고사직: 근로계약 기간이 남은 상태에서 회사가 근로자에게 퇴직을 권하는 것
- 근로자는 권고사직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 권고사직을 근로자가 수용하면 합의된 날짜에 근로계약은 종료가 됩니다
- 이 과정에서 '3개월의 위로금'이 지급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의무사항은 아닙니다
- 그러나 근로계약서/취업규칙/단체협약 등으로 정하거나 관행으로 퇴직 위로금이 지급되어 왔다면 지급해야 합니다
- 회사가 퇴직 유도를 위해 퇴직 위로금을 지급하는 경우도 있고, 근로자가 퇴직 위로금 지급을 퇴직 조건으로 요구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저서를 참고하세요]
★ 일하는 사람들을 위한 쏙쏙 노동법 ★
p.276 '권고사직과 해고는 같은 것인가요?''
★ 쉽게 풀어 쓴 노동법 ★
p.556 '권고사직
[키워드]
#권고사직 #퇴직 #위로금 #명예퇴직 #퇴직위로금 #해고 #근로계약 #의원면직 #노동법 #근로기준법
박현웅 노무사의 인사만사 - 네이버카페
https://cafe.naver.com/in4man4
박현웅 노무사 저서 구입 - 도서출판 푸른겨울
https://smartstore.naver.com/greenwinter_books
박현웅 노무사의 쉽게 풀어 쓴 노동법 -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thruth98
박현웅 노무사의 쏙쏙 노동법 - 유튜브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oypvnyqK_N1fQ7tmq_9zng
박현웅 노무사의 쏙쏙 노동법 - 네이버TV
https://tv.naver.com/laborlaw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