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이유식만들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박이사 조회 7회 작성일 2024-07-31 09:58:53 댓글 0

본문

초기이유식 1단계 쌀미음 만들기 | 냄비이유식 | 178일 첫 이유식 먹방

제가 임신과 출산을 하면서 입덧이 심해 요리를 거의 안해서 오랜만에 업로드해요.
이제 저희 아기가 이유식을 시작할 시기가 되서 이유식 지침도 2021년이후에 바뀌어 여러가지를 많이 공부후에 이유식을 올려보려고 해요.
이유식에도 많은 정보가 넘치고 각자 생각하시는 내용이 다르다고 생각해요. 모든게 엄마의 선택이라고 생각해요. 정답은 아니니 참고만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쌀미음 만들기(쌀 10배 냄비죽)

■재료
-쌀25g (불린후 35g-60ml 4회분량)
-물 400ml ( 불리는물 50ml 포함)
-냄비
-스파출라
-저울

■조리과정
1. 흐르는 물에 쌀을 깨끗하게 씻어주세요.
2. 400ml 물중 50ml를 쌀에 부어 30분간 불려주세요.(불리면서 물을 흡수한다고 해서 먹는물로 불렸어요.)
3.30분후 물기를 빼주세요.
4. 25g 쌀을 불리니 35g되었어요. 그래서 물도 10배로 350ml 준비했답니다.
5. 믹서기에 불린쌀 + 350ml 중 소량(50ml)을 넣고 갈아주세요.
6.초기여도 개정된 이유식 지침처럼 살짝 입자가 있도록 갈아주세요.
7.냄비에 갈은 쌀을 부어주세요. (물을 넣어 믹서기에 있는 쌀알들을 다 냄비에 넣어주세요.)
8.센불로 끓여주세요.
9.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줄여 5분간 끓여주세요. (바닥에 눌러 붙을수 있으니 계속 저어주세요.)
10. 60g씩 소분해주세요.

4일분 이유식으로 60ml씩 4회 이유식 용기에 소분해서 냉장과 냉동하시면 됩니다.
​저는 저녁에 이유식을 만들어 다음날 먹을 밥은 냉장보관하고 3일분은 냉동하고 있어요.
냉동한 이유식은 미리 전날 냉장으로 옮겨
서서히 해동 후에 다음날 전자렌지나 중탕 이용하여 먹이시면 됩니다.


이전에는 완분은 4~6개월 ,모유수유은 6개월로 알려져있지만, 요즘은 이유식 지침이 바뀌어 음식을 받아들이는데 아이의 장이 미숙한 상태이기 때문에 이유식 시작시기 권장이 6개월로 변경되었어요.

2021년 현재 미국 소아과 학회, 미국 국립보건원,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모두 아기가 생후 6개월부터 고형식으로 된 이유식을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고 합니다.

생후 6개월은 언제까지나 권장사항 이므로 아이의 발달 등을 확인하여 시작하는게 중요합니다.
일찍 시작하면 이유식 거부를 할 확률이 높다고해요.

■이유식 시작할 준비가 되었다는 징후에는 몇가지가 있다고 해요.
1.스스로 목을 가눌 수 있고, 의자에 앉아 놀 수 있을 때(15분이상)
2.손으로 무언가 가지고 가서 입에 넣을 수 있을 때
3. 내뱉기 반사(입에 들어온 음식을 혀로 밀어내는것) 사라지거나 줄어들었나
4.음식에 대한 관심이 생겼나(부모가 밥먹을때 계속 쳐다봄)

위에서 말하는 준비 징후들이 나타날 때가 대부분
생후 6개월 무렵이랍니다.
그래서 이유식을 생후 6개월부터 시작하는 걸 권장해요.

■ 아기가 생후 6개월부터 고형식으로 된 이유식을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바뀐 지침
1.입자크기, 농도의 변화를 처음부터 빠르게 올리기(자기주도이유식으로 질감을 높이는 것으로 시작, 핑거푸드를 권장)
2.초기이유식부터 잡곡 사용 가능
처음에는 쌀 대비 잡곡의 비율을 10~20%로 시작하다가
돌 전에 50%까지 섞어서 먹일 수 있다고 합니다.
3.특정 음식은 알레르기를 잘 유발하기 때문에 늦게 먹여야 했는데
이젠 그렇지 않다.
가장 대표적인 음식이 계란, 땅콩, 밀가루랍니다.
*계란 - 초기부터 노른자 섭취 가능, 노른자 섭취 후 1~2달 뒤 흰자도 가능
돌전에 계란 흰자를 먹여도 된다고해요.
​*땅콩 알레르기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너무 늦게 땅콩을 도입하는 경우
오히려 알레르기 위험성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해요.
돌전부터 땅콩을 섭취하는 게 알레르기 방지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고해요.
돌전에 땅콩을 먹여봐야 한다고해요.
*밀가루 - 땅콩과 마찬가지로 돌전에 미리 먹여보는 게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7개월 이전에 먹이는 게 좋다고 하네요.)
4. 죽 보다는 토핑처럼 음식을 얹어 주는 것을 권장한다고 해요. (음식 재료 고유의 맛을 아이가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고해요)
단, 꿀은 두돌이후(이전에 먹으면 사망할 수 있음)

- 하정훈의 삐뽀삐뽀119 참고하였음-




◆ 한식 조리기능사 국가기술자격증
◆ 양식 조리기능사 국가기술자격증
◆ 일식 조리기능사 국가기술자격증
◆ 중식 조리기능사 국가기술자격증
◆ 제과기능사 국가기술자격증
◆ 제빵기능사 국가기술자격증



영상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과 레시피 무단도용을 금지합니다.

[이유식 시작] 변경된 이유식 지침과 초기이유식 진행방법

[간호사.국제모유수유전문가] 가 말하는 임신.출산.모유수유.육아 채널 입니다.

▶WHO, 미국소아과협회, 미국 보건복지부와 질병통제예방센터와 같은
세계 여러기관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근거한 이유식지침과 초기이유식 진행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저작자(맘똑티비)와의 협의 및 동의가 없는 상업용 영상의 사용을 금합니다.
------------------------------------------------------------------------------------------------------------------
‍‍‍맘똑닷컴 스마트 스토어 (씨어커버,브라운체온계 판매)
https://smartstore.naver.com/momddok

‍‍‍씨어커버 스마트스토어 바로가기
https://smartstore.naver.com/momddok/products/5081069020

브라운체온계 쓰시는 엄마들 주목! 그동안 밤에 우리 아이들 체온 잴 때
귀가 안 보여서 핸드폰 후레쉬로 비추면서 정말 불편하셨죠??
이제 씨어커버로 밤에도 아이들 깨우지 말고 편하게 체온 재세요!

1분 자동꺼짐기능이 추가된빛이 나오는 브라운체온계 전용 [씨어커버]

맘똑티비에서 디자인 및 특허출원한 브라운체온계 전용 라이트커버
"이제 밤에도 핸드폰 후레쉬 없이 씨어커버로 편하게 체온측정 하세요"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momddok_tv/
--------------------------------------------------------------------------------------------------------

초기 이유식 만들기X도빈맘 l 토핑이유식 13종 재료 레시피모음‍ (쌀미음 오트밀 소고기 애호박 브로콜리 단호박 양배추 당근 시금치 닭고기 계란테스트 청경채 두부 큐브)

안녕하세요. 지니입니다 : )

현재 도빈이는 초기를 지나 중기이유식을 진행하고 있어요
처음에는 어떻게해야될지 정말 몰라서
머리도 아파해보고 '이게맞나저게맞나'했었는데..❗

막상해보고나니, 초기에 사용할 수있는 이유식 재료들을 가지고
엄마의 의견대로 이어나가면 되더라구요 :)

당연히 많은 분들이 진행하는 대중적인 재료들로 진행 됬지만요 하핳!


오늘 영상은 초기이유식을 진행하면서
만드는 과정을 담은 영상입니다.

아래 타임라인이 있어
클릭하면 원하시는 메뉴로 넘어가실 수 있습니다.
찜기이유식 하시는 분들에게 도움 되시기 바랄게요.


아차, 베이비무브같은 이유식마스터기나 일반 찜기, 냄비찜기 등
시간만 약간 상이하고 재료손질부터 조리는 동일하니 참고하여 만들어 보세요!

그럼 오늘도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료별 이유식레시피 바로가기
00:00 - 인트로(재료 공통 참고사항 필독)
01:11 - 쌀미음큐브
03:38 - 오트밀큐브
05:37 - 소고기큐브
07:07 - 애호박큐브
08:20 - 브로콜리큐브
09:33 - 단호박큐브
10:48 - 양배추큐브
11:38 - 당근큐브
12:33 - 시금치큐브
14:01 - 닭고기큐브
15:07 - 계란(노른자)큐브
16:13 - 청경채큐브
16:54 - 두부큐브




#초기이유식 #이유식 #이유식레시피 #찜기이유식 #베이비무브 #로얄에식스 #육아브이로그 #육아브이로그 #이유식큐브

... 

#첫이유식만들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234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