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정역산부인과
페이지 정보
본문
사라지는 분만 산부인과…원정 분만가는 농어촌 산모들 / KBS 2024.10.11.
어제는 저출산 극복을 위해 2006년 제정된 임산부의 날이었는데요. 19회째를 맞았지만 출생아 수는 해마다 줄고 있습니다. 아이를 낳을 수 있는 분만 산부인과도 급감해 농어촌 지역 산모들은 출산도 어려운 형편입니다. 손민주 기자가 실태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산후조리원에서 생후 한 달된 딸을 돌보고 있는 정지안 씨.
전남 완도에 딸린 소안도에 살고 있지만 딸은 광주광역시의 산부인과에서 낳았습니다.
제왕절개를 위해 출산 1주일 전 입원도 했습니다.
[정지안/전남 완도 소안도 거주 : "배를 타고 광주까지 3시간이 걸려요. 왔다 갔다 하면 하루에 6시간이 걸리는데 언제 어느 순간에 분만하게 될지 잘 모르기 때문에…"]
완도에도 산부인과가 있지만 아기를 낳을 수 없습니다.
출생아가 줄어 2010년부터 분만을 중단했기 때문입니다.
[전이양/전남 완도 대성병원 원장 : "(한 달에 출생아가) 10명 정도 선으로 떨어지니 우리가 운영할 수 없죠."]
대도시의 종합병원이나 대형병원 등 분만 가능한 기관도 10년 사이 35% 줄었습니다.
이곳은 광주광역시에서도 규모가 큰 분만병원이었지만 분만율이 줄면서 개원 17년 만인 지난해 폐원했습니다.
의원급 산부인과는 상황이 더 열악합니다.
전국의 동네 산부인과 의원 1,300여 곳 중 올해 7월까지 분만 수가를 청구하지 않은 곳은 88.4%.
10곳 가운데 9곳 가까이 분만을 하지 않은 겁니다.
전국 250개 시군 가운데 분만 산부인과가 없는 군 단위 지자체는 60곳이 넘습니다.
[나하나/전남 완도군 거주 : "(한때는) 제가 사는 지역 탓을 하기도 했어요. 왜냐하면 도시나 잘 돼 있는 곳들은 바로 집 앞에서 저렇게 편하게 다니는데…"]
정부는 지속적으로 분만 산부인과 지원 정책을 펴 왔지만 2011년 52곳이던 분만 취약지는 지난해 오히려 2배로 늘었습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8078988\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r
\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r
\r
#산부인과 #저출산 #산모 #분만 #출생아
산부인과 왔는데 "문 앞에서 출산"…당시 CCTV 보니 (현장영상/단독) / SBS
병원 코 앞에서 의료진 도움 없이 아기를 낳아야 한다면 어떨까요.
지난해 6월, 실제로 이런 일이 서울 강남에서 벌어졌습니다.
저희 쪽으로 제보를 해온 아기 엄마는 둘째 딸을 병원 문 앞에서 홀로 낳았다고 말합니다.
원문 기사 더보기
https://news.sbs.co.kr/y/?id=N1006199316
[뉴스영상] 기사 더보기
https://news.sbs.co.kr/y/t/?id=10000000121
#산부인과 #출산 #CCTV #SBS뉴스 #뉴스영상 #아기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LIVE] 임산부의 날 특집! 임신, 출산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어제는 저출산 극복을 위해 2006년 제정된 임산부의 날이었는데요. 19회째를 맞았지만 출생아 수는 해마다 줄고 있습니다. 아이를 낳을 수 있는 분만 산부인과도 급감해 농어촌 지역 산모들은 출산도 어려운 형편입니다. 손민주 기자가 실태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산후조리원에서 생후 한 달된 딸을 돌보고 있는 정지안 씨.
전남 완도에 딸린 소안도에 살고 있지만 딸은 광주광역시의 산부인과에서 낳았습니다.
제왕절개를 위해 출산 1주일 전 입원도 했습니다.
[정지안/전남 완도 소안도 거주 : "배를 타고 광주까지 3시간이 걸려요. 왔다 갔다 하면 하루에 6시간이 걸리는데 언제 어느 순간에 분만하게 될지 잘 모르기 때문에…"]
완도에도 산부인과가 있지만 아기를 낳을 수 없습니다.
출생아가 줄어 2010년부터 분만을 중단했기 때문입니다.
[전이양/전남 완도 대성병원 원장 : "(한 달에 출생아가) 10명 정도 선으로 떨어지니 우리가 운영할 수 없죠."]
대도시의 종합병원이나 대형병원 등 분만 가능한 기관도 10년 사이 35% 줄었습니다.
이곳은 광주광역시에서도 규모가 큰 분만병원이었지만 분만율이 줄면서 개원 17년 만인 지난해 폐원했습니다.
의원급 산부인과는 상황이 더 열악합니다.
전국의 동네 산부인과 의원 1,300여 곳 중 올해 7월까지 분만 수가를 청구하지 않은 곳은 88.4%.
10곳 가운데 9곳 가까이 분만을 하지 않은 겁니다.
전국 250개 시군 가운데 분만 산부인과가 없는 군 단위 지자체는 60곳이 넘습니다.
[나하나/전남 완도군 거주 : "(한때는) 제가 사는 지역 탓을 하기도 했어요. 왜냐하면 도시나 잘 돼 있는 곳들은 바로 집 앞에서 저렇게 편하게 다니는데…"]
정부는 지속적으로 분만 산부인과 지원 정책을 펴 왔지만 2011년 52곳이던 분만 취약지는 지난해 오히려 2배로 늘었습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8078988\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kbs1234@kbs.co.kr\r
\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r
\r
#산부인과 #저출산 #산모 #분만 #출생아
산부인과 왔는데 "문 앞에서 출산"…당시 CCTV 보니 (현장영상/단독) / SBS
병원 코 앞에서 의료진 도움 없이 아기를 낳아야 한다면 어떨까요.
지난해 6월, 실제로 이런 일이 서울 강남에서 벌어졌습니다.
저희 쪽으로 제보를 해온 아기 엄마는 둘째 딸을 병원 문 앞에서 홀로 낳았다고 말합니다.
원문 기사 더보기
https://news.sbs.co.kr/y/?id=N1006199316
[뉴스영상] 기사 더보기
https://news.sbs.co.kr/y/t/?id=10000000121
#산부인과 #출산 #CCTV #SBS뉴스 #뉴스영상 #아기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트위터: https://www.twitter.com/sbs8news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
[LIVE] 임산부의 날 특집! 임신, 출산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