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각수첨가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픽맨 조회 34회 작성일 2020-08-08 16:29:13 댓글 0

본문

엔진냉각수 관리만 잘해도 연비가 향상 됩니다~부산-모토픽스-MotorFix

#현대_뉴엑센트 차량~
#엔진냉각수부족 으로 입고~
#냉각수누수현상은 없으며,#냉각수관리만 잘해도 #연비가향상이되죠~
#부동액교환진행 후 작업 마무리~
더블레인보우 : 비중은 몇 대 몇 인가요?
ᄃᄃᄃ : 냉각수PH가 엄청중요합니다 연비 진동 소음기타등등좋아집니다 사장님전혀 PH 망원경 같은거로 안보시네요?어쨋튼 영상 잘보고갑니다
ᄃᄃᄃ : 사장님은 냉각수 PH얼마로 맞추나요? 설마 눈때중으로 맞추나요?
TF K : 본 냉각수 첨가제는 냉각수 비중이 늘어나는것이 아닌 pH와 냉각성능만 향상 시키는것인가요?

농축원액 보충과 어떤차이가 있습니까?
Jasmine : 메탈라이저 좀 구하는곳 알려주세요.
KSO K :
박종성 : 뉴프라이드 디젤 타고 있습니다... 부동액 교환비용이 얼마나 될까요? 부산지역 운행하고 있습니다.
Ho bbang : 안녕하세요? 잘 보았습니다. 결론은 냉각성능이 좋아져서 냉각팬이 작동되는 시간이 줄어드니 전기적 부하가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 연비가 향상된다는 말씀이신가요? 저 자동차가 공도에 나가서 달리고 있다면 결과는 어떻게 될까요?
황쭌 : 차알못인데요...
부산지역인데 냉각수 중에 부동액 비중이 너무 높은거 아닌가요?
부동액 3리터 : 수돗물 2.5리터 = 55% : 45% 정도쯤일테고,
부동액 비중이 높으면 부식방지나 동파방지 효율은 좋겠지만,
점성이 높아져서 워터펌프 회전 저항이 많아지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자동차 회사 출고시에 부동액 : 물 = 45% : 55%로 출고되는데,
사실 이 비중도 부동액 비중이 우리 나라 실정에 비하면 너무 높다고 봅니다.
부동액 비중이 45%이면 대략 어는점이 -30도C 정도인데, 이것은 유럽의 추운지역 기준이고요,
물론 부동액 비중이 높으니 부식방지 기능도 같이 오래 유지되게 하려고 출고시에 45%로 조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네요.
수도권 지역도 부동액 비중이 30% ~ 40% (동점기준 : -16도 ~ -26도) 정도면 적당하고,
부산 등 남부지역은 부동액 비중을 너 낮추어도 좋을 듯합니다.


물론 부동액 비중이 낮아서 생기는 문제로 부식등의 염려가 있고,
사실, 현기차 정비지침서에서는 45% 미만일 경우 부식 또는 동결 위험이 있고,
60% 이상인 경우 냉각효과 감소시킬 수 있다라고 하지만,
제 생각에 냉각수 관리 안하는 차주 및 유럽 추운지방 기준일 경우에 해당되고 우리 나라 실정에는 잘 안맞는다고 봅니다.


부동액 비중이 낮아서 생기는 부식 염려는, 냉각수 보조제 (녹방지제+워터펌프윤활기능)을 넣어 주면 보강되는데, 녹방지를 위해서 알칼리 첨가 성분을, 워터펌프 윤활 기능을 위해서는 침수제/침투제 (물 표면장력을 낮추어 물의 회전 저항을 낮추는 성분)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네요.


녹은 통상 산성 (PH 7이하)에서 발생하고, 부동액과 냉각수 녹방지제를 섞어서 대략 ph 8.5 +/- 0.3 정도로 맞추어 주면 좋다고 하던데요.
참고로, 녹방지제를 너무 과하게 사용하면 물 표면장력이 너무 낮아져서 호스연결 부위에서 미세하게 누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부동액 누수 방지제는 표면 장력을 너무 높여주고 이물질 등을 응결/떡지게 하여 히터코어 막힘이나 냉각수 유동성을 막는다고 들었네요


(개인적 경험으로는 국내외 고가 냉각수 녹방지제와 저가 녹방지제의 성능 차이는 없는 것 같습니다.)


냉각수와 연비 관련해서도, 라디에이터 캡 0.9바, 서모스탯 82도C로 하면, 엔진온도가 대략 85~90도 최적 조건이 형성되는데, 최근 몇년 동안 출고되는 차량은 1.1바, 88도C로 출고되는 경우가 많더군요.
실제로 동일 차량을 비교하면 과거 세대 엔진 차량이 최신 엔진 장착 차량보다 연비가 좋게 나오는 이유가 혹시 라디에이터캡 압력과 서모스탯에 있지 않나 의심해 봅니다.
(모르겠습니다. 높은 압력의 캡과 서모스탯의 장점이 뭔지를.... 예열시간 감소? 수치상의 최고출력마력이 높아서? 정말 모르겠네요. 6천rpm까지 끌어올려 최고출력에서 운전하는 사람이 있는지...에혀...)


그냥 비전문인이 주워 듣고 경험한 것 주절주절 늘어 놓은 것뿐입니다...
김상동 : 냉각수관리도중요하지요~~~~역시냉각수교환까지완벽하게교환하시는사장님~~~^^근대연비까지행상된다는정보는처음알았어요~~~냉가수에도이런냉각성능보호제가있었다니~~~^^좋은정보감사합니다~~~^^저도냉각성능보호제넣고싶어요~~^^냉각수교환한지2만km지났는데..지금넣어도괜찮겠지요???^^

냉각수교환때 이것만 지키면 연비 엄청 잘나옴 | 비중, PH 이해해보기

#업쿨런트 #냉각수첨가제 #희토류첨가제 #PH첨가제 #차형
냉각수 교환은 누구나 잘하나 4가지를 꼭 신경쓰셔야 퍼펙트한 냉각수 교환이 이루어 집니다. 그 4가지가 비중, PH, 색상, 냄새
내가 사는 지역 온도에 맞게 은전 스타일을 고려하여 교환 및 일년에 한번씩 여름되기 전에 확인해보세요!
만수르 : 이거 진짜 중요한 내용,.
싱그루 : 돈만 1백2십만원이나 받고 효과하나 없었습니다.
카렌스 2009년식 운행한 후 시동을 끄고나서 1시간정도 후에 시동을 걸면 잘 안걸려서, 올해 1월 중순에 권영호 유튜브보고 평택지점에 가서 수리를 받았습니다. 하루동안 수리받고 수리비가 1백2십만원 나왔습니다. 그런데 전혀 효과가 없었습니다. 항의하고 환불 요청했는데 자기들 확인하고 환불해준다고 연락준다고 했는데 지금까지 연락도 안주고 전화도 안받습니다. 신뢰가 없습니다.
saladmaner : 핀마이크라도 사용해주세요 작게들려서 전달력이 많이 떨어집니다
ᄃᄃᄃ : 일반 동네 카센타
ᄃᄃᄃ : PH맞추어달라하는게 그게머죠 하고 물어보는데 머라고말을 해야할지요?
하나님 나라가 이 땅에 : 부동액이라 어원을 사용해야 하시지 않을까요......함참 생각했네...근데 냉각수와 연비와 상관이 있다는 건 처음 들었네요...
이기홍 : 냉각수의 중요성을 자세히 설명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동안 자신이 너무 무식 했던것
같습니다.유익한 정보 공유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강불식20 : 명쾌한 부동액 관리법 감사합니다
이건형 : 우연히 부동액관련검색하다가 영상보게되었는데.. 부동액이 연비에 영향을 미친다.. 그것도 냉각수가 걸쭉?해져서 워터펌프모터가 과부하걸려서 연비가 저하... 이런건 솔직히 논리의 비약이 너무나 심하다봅니다. 엔진냉각이 잘되면 엔진컨디션이 좋아진다는건 백번이해하고 동감하지만.. 또 부동액의 일반물과의 희석비율에따라 엔진냉각성능이 좀 떨어질수는있어도 별 영향을 끼칠정도는 아니고.. 그렇게 자동차설계를 한겁니다. 만에하나 부동액을 물과1대1로 희석해서 빙점온도를 -48도에 셋팅을했다해도.. 제조사에서 그거를 기준으로 냉각장치를 설계한거니 문제될일이없습니다. 외려 부동액비율을 작게 셋팅해서 자칫 부동액기능부족으로 워터펌프핀등에 부식이 생긴다면 그게 더 골아픈상황이되는거고.. 알루미늄이 부식되서 녹이 생기는게아닙니다. 엔진블럭자체도 부식되거나하는게 아니구요. 그리고 부동액이 녹색이나 파란색 금색 핑크색등이 오래되서 색상이 변하고 커피색같이 변했다고 당장 녹이 왕창생겨서 큰일날정도로 부식된게아닙니다. 부동액이 오랜세월 고온에 노출되면서 열을받아서 누렇게 변색이되고 차츰 누런색에서 커피색으로 달여지는거죠. 그이후 부동액기능이 완전히 무너져버리면 부식방지제가 기능상실되고 냉각라인계통부품들에 녹이 발생되는겁니다. 설령 녹이 약간생긴단계에서도 부동액을 교체해주면 부식진행이 대폭 늦춰지고 심지어 정지됩니다. 카센타등에서는 커피색만보이면 무조건 녹생겼다고 냉각라인부품들 몽조리 교환또는 녹제거랍시고 각종 약품시공 클리닝작업을 권유하는데.. 명백히 과잉정비입니다. 그리고 요즘 장수명부동액이 나오는데.. 제조사에서 권유하는정품 부동액과 비슷한성분이면 싼 부동액도 써도됩니다. 크게 인산염계열과 에스테르계열로 나뉘는데.. 같은 계열정도로만 써줘도 문제없습니다. 가급적 장수명부동액을 써주는게 좋은데.. 일반 부동액도 표시된 기간 키로수보다 넉넉하게 상태가 유지됩니다. 암튼 냉각수색상을 가끔씩보면서 색상이 누렇게..변해가면 부동액교체시기가된겁니다. 일반소비자들은 PH가 몇이고 어떻고 알길이없고.. 색상으로 판별하면됩니다. 부동액제조사에서도 그거로 교체시기판별하라고 색소를 넣어서 부동액을 제조합니다.
설까치 : 냉각수도 종류가 여러가지인데 어떤게 좋고 어떤게 나쁜지 궁금합니다

자동차 냉각관리가 이렇게 중요합니다.

민들레의 자동차 이야기
https://blog.naver.com/qorhvk456

자동차를 좋아하는..
바퀴를 좋아하는..
엔진을 좋아하는..
당신과 나의 이야기..

#냉각수 #관리 #중요성
소중한시간들 : 승현님
폴로 1.4tdi(15년식, 50000Km))를 가지고 있는데
냉간시 운행을 시작하여 20분 정도 지나면 간혹 수온이 110도 이상으로도 오르락 내리락하다가
90도로 돌아오고곤 합니다. 오일온도도 110도도 넘기곤 합니다.
엔진 열을 올리기 위한 일시적인 현상인가요...?
아니면 점검을 받아봐야하나요...?
집에서 와이프가 타고 다니는데 걱정이 되네요

승현님의 귀중한 조언 부탁합니다.
Hyeong Jun Cheon : 일반적 기준 수온 "90도" 영상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장준혁 : 이분 관리방법이나 이런것도 알려주셔서 구독하고있는데..이건 거의 일반인에게 알려주는 컨텐츠가 아니야..업으로 삼으시는 분들께 얘기하는거같에..ㅎㅎ그래도 중간중간 일반인이 관리할수있는방법을알려주셔서 감사하게 잘보고있습니다~^.^
Bula Kwon : dpf도 단면으로보면 메쉬같은거죠. 배기에서 배출된 미세한 파티클들 물론 미세한 dpf홀로 통과할수있는 것들이지만 메쉬에 걸려, 얹혀지며 확장되어 서서이 구멍을 막게되죠. 그 점착되는 진행기간이 바로 배압과 관련있는겁니다.
ᄃᄃᄃ : 보동 냉각수 얼지안기위해그런건데 90도라고정상이라고하는데 우리나라 추위가영하 30도40도가나요 ㅠㅠㅠ라지에타 캡에 보면 온도나와있는ㄷ걸로압니다 그리고 섬 머 스타트는 보통 82도 짜리거로 압니다
최영재 : 냉각수가 매연에 영향을 줍니다 엔진오일 냉각수가 매연을 만듭니다
YI Y CH : 어느 동영상을 보니, 우리나라 부동액의 품질이 안좋아서 엔진 내부에 녹이난다고 하더라구요. 수입차의 부동액은 품질이 좋아서 녹이 안난다고 하는데, 국산차에 수입차의 부동액 넣어도 될까요?
최용복 : 흑흑 정말이지 문의드리구 찾아뵙구싶습니다 지금 제차가 그런증상인데 견적한번 내구싶어요ㅠㅠ 어떻게 연락을 치하면 대죠ㅠㅠ?알려주세요
이규일 : 콜라인것 같네요
행복행복 : 인터넷은 구형만 파네요

... 

#냉각수첨가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3,993건 1178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uljinpension.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cs@epr.kr